초창기 소셜 미디어는 자신의 간단한 소식을 전하고, 오랫동안 연락하지 못했던 현실 세계의 친구들과 온라인에서 연결되는 공간으로 기능했다. 소셜 미디어의 대표 주자인 페이스북은 학교 인증을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실제 관계를 확장하는 수단으로 쓰였다. 한국의 싸이월드도 실제 인연을 기반으로 한 ‘일촌’으로 연결을 확장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 당시 우리가 열광하며 밤을 새우게 했던 이 서비스들은 10년이 넘는 시간을 거치면서 정제된 콘텐츠를 전시하는 개인 쇼룸으로 변모해버렸다. 아름답게 포장된 공간들을 구경하며 나 또한 경쟁에 휩싸이게 된다. 다들 너무 행복한 것 같은데 나만 불행한 것은 아닌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 나 또한 나의 쇼룸을 최대한 열심히 꾸며서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고 발버둥 쳐본다. 하지만 결국 포장에 능하거나 업로드를 꾸준히 잘해내는 몇몇 사람들만 살아남는다.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업로드 자체를 포기하며 단순 소비자로 전락하게 된다. 소셜 미디어를 사용함에 있어 포장된 모습만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감이 엄청난 피로감으로 다가온 것이다.
--- p.26~27
클럽하우스는 1인 1계정을 원칙으로 하며, 그 계정의 정체성은 ‘사람’이어야 한다. 브랜드 계정은 커뮤니티 규칙 위반이며, 한 사람이 두 개의 계정을 만드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거기에 더해서 원칙적으로 실명을 사용해야 하고 이름의 변경도 제한적이다. 하나의 계정을 한 명의 실존하는 존재와 일치시키기 위한 클럽하우스의 노력이 느껴진다. 실명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갖는 장단점은 너무나도 뚜렷하지만, 클럽하우스에서는 이 실존성이 확실히 안전성과 신뢰감은 부여하는 데 기여한다. 내가 말을 하고 있을 때, 내 말을 듣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안다는 것은 말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안전함을 느끼게 한다. 내가 대화하고 있는 상대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생기는 신뢰감은 말할 것도 없다. 익명성이 주는 자유의 부재가 아쉽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서로 예의를 갖춘 상태로 안전한 대화가 일어난다는 점에서 장점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 p.40
클럽하우스에서의 경험은 모더레이터, 스피커, 리스너 간의 긴밀한 공조로 만들어진다. 방을 만들지 않았다면 방에 들어갔을 때 기본적으로 리스너로서 객석에 위치하게 된다. 제목을 보고 바로 들어가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처음에는 가급적 스피커들의 발언을 들으며 분위기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어느 정도 해당 방의 분위기와 대화 내용을 파악했다면 적절한 타이밍에 손을 들고 참여하면 된다(참여 여부는 완전히 자유다). 방에서 듣고만 있다고 해서 아무 역할도 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다. 내가 어느 방에 들어간 순간, 내 친구들의 복도에 내가 입장한 방이 노출되기 시작한다. 결국 내 선택이 다른 이들의 클럽하우스 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현재 방의 경험을 친구와 공유하고 싶다면 적극적으로 ‘핑ping’(친구를 해당 방으로 부르는 알림)을 통해서 사람들을 모을 수도 있다. 우리가 이들을 액티브 리스너라고 부르는 이유다. 실제로 나를 포함한 다수의 사람은 클럽하우스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리스너로 보내게 된다. 원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필요할 때는 경청해주는 것, 이것이 리스너의 미덕이다.
--- p.54
클럽하우스의 등장으로 우리는 우리 자신이 원하는 대화, 즉 ‘대화 취향’을 알아갈 기회가 생겼다. 우리는 일상에서 ‘원하는 대화’를 얼마나 할 수 있을까. 어쩌면 원하는 대화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사람이 된 건 아닐까. 이는 마치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라는 말처럼, 사실 우리는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말하고 싶어 하는지’에 관한 충분한 고민과 경험이 부족할지도 모른다. 조건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한정된 대화 패턴만 되풀이하며 일상에 지루해하고 있었을지 모른다는 말이다. 좋은 대화는 막혔던 감정을 풀어주고 의식을 더 높은 차원으로 끌어주어 쳇바퀴 같은 삶에서 한 발짝 떨어지게 한다. 우리를 쉬게 하고, 또 성장하게 하는 대화의 기능을 클럽하우스에서 피부로 느끼는 요즘이다.
--- p.86
한국 커뮤니티 운영진으로서 받는 다양한 질문들을 보면 놀랍게도 ‘내가 누군가에게 피해를 끼치고 있을까 두렵다’, ‘클럽하우스에서 통용되는 기본적인 에티켓은 무엇인가’, ‘내가 지금 모더레이팅을 잘하고 있을까’, ‘내가 운영하는 방의 인원들이 즐거웠으면 좋겠다’는 질문과 걱정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일부러 왜곡된 시선으로 ‘다 자기들이 얻는 게 있으니까 그렇지’라며 위악을 드러내고 싶지는 않다. 대다수의 사람은 잘 디자인된 환경 속에서 서로 자연스럽게 마주할 경우, 상대에게 해를 끼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즐거움을 원하는 우리는 함께하는 상대방이 즐거울 때 당연히 나의 기분도 좋아진다. 우리는 두려움이 촉발하는 편견을 가지고 있으나 선의의 연결을 추구하는 욕망과 공감의 욕구도 함께 가진 복합적인 존재다. 관건은 클럽하우스 서비스가 어떤 측면을 더 살려주느냐에 달려 있다.
--- p.14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