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21세기 한일관계와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비전 2
중고도서

21세기 한일관계와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비전 2

정가
32,000
중고판매가
7,500 (77% 할인)
상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7년 12월 14일
쪽수, 무게, 크기 524쪽 | 153*224*35mm
ISBN13 9788946038387
ISBN10 8946038381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부 한일 경제관계 발전의 개관
제1장 포스코와 한일 경제협력 / 윤석만
제2장 한국의 공업화 구도와 한일 경제관계 / 김종걸
제3장 중국의 대두: 일본에게 있어서의 기회와 도전 / 칸시유

제2부 한일 FTA 체결을 위한 양국의 역할
제4장 한일 FTA 체결을 위한 한국의 역할 / 후지타 도오루
제5장 한일 FTA 체결을 위한 일본의 역할 / 이홍배
제6장 일본의 대한 직접투자 추이와 정치·경제적 변수 / 류상영·전용일

제3부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위한 과제
제7장 한일 금융협력의 현황과 과제 / 김동환
제8장 현 단계 세계정보경제체제하의 한일환경공동체 구축방안 / 이동석
제9장 제품 아키텍처에 입각한 한일 기업의 협업 모델
/ 시타쿠 준지로·요시모토 데쓰오·오가와 고이치
제10장 ‘한일해저터널’ 건설과 동북아 물류시스템의 새로운 모색 / 신장철

제4부 라운드테이블
제11장 한일 기업인 라운드테이블
글로벌화 시대의 한일 양국 비즈니스 환경과 비즈니스맨의 역할
제12장 한일 정치인 라운드테이블
미래의 한일관계를 위한 차세대 리더십의 비전을 찾아서
제13장 한일 군사·안보 라운드테이블
미래의 한일 군사·안보협력의 방향과 과제
제14장 한일 언론인 라운드테이블
한일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언론의 역할

제5부 클로징 세션
전체회의 쟁점정리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소개
윤석만 포스코 사장
김종걸 한양대학교 부교수
칸시유(關志雄) 노무라 종합연구소 수석 이코노미스트
후지타 도오루(藤田徹) 스미토모상사 종합연구소 정보조사부장
이홍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
류상영 연세대학교 교수
전용일 성균관대학교 교수
김동환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산업 및 제도연구실장
이동석 히로시마대학 준교수
시타쿠 준지로(新宅純二郞) 도쿄대학 교수
요시모토 데쓰오(善本哲夫) 도쿄대학 교수
오가와 고이치(小川紘一) 도쿄대학 교수
신장철 숭실대학교 부교수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제1부 ‘한일 경제관계 발전의 개관’은 한국의 공업화 과정에서 펼쳐진 한일 경제협력을 주로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포항제철의 설립 과정에서부터의 한일 경제협력을 고찰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공업화를 서두르고 있는 중국이 일본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제2부 ‘한일 FTA 체결을 위한 양국의 역할’은 최근 주요한 외교 협상 과제로 부상한 한일 FTA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즉, 한일 FTA 체결을 위해 한일 양국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가와 함께 제6장에서는 일본의 대한국 직접투자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있다.

제3부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위한 과제’는 동아시아를 시야에 넣은 한일 협력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금융협력, 기업의 협업 모델, 환경공동체 모색, 한일 해저터널 건설 문제 등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제4부에서는 국제학술회의와는 별도로 개최된 한일 전문가 ‘라운드테이블’(기업인, 정치인, 언론인, 군사·안보 전문가)에서 발표·논의된 점들을 정리하여 수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5부 ‘클로징 세션’은 국제학술회의와 전문가 라운드테이블에서 제시된 논의를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본문 요약 중에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이 책을 통해 1965년의 한일 국교정상화의 의의를 되새겨보고, 오늘의 문제점을 점검하며, 금후의 비전이 어떠해야 하고,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 각국이 수행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독자들은 한일 양국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동북아시아의 외교안보 협력 및 경제 협력, 사회·문화 협력이 어떠한 형태로 발전해야 할 것인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7,5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