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훤히 보이는 음성 언어 기술
중고도서

훤히 보이는 음성 언어 기술

정가
20,000
중고판매가
5,900 (71% 할인)
상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9년 07월 22일
쪽수, 무게, 크기 248쪽 | 628g | 188*254*20mm
ISBN13 9788992885249
ISBN10 8992885245

중고도서 소개

사용 흔적 약간 있으나, 대체적으로 손상 없는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추천의 글
책을 내면서

제1부 지식 사회와 음성·언어 기술

1-1 현실로 다가온 꿈의 세상
1-2 지식 사회의 사용자 장벽
1-3 음성·언어 기술의 역할 증대

제2부 음성 인터페이스 기술

2-1 인터페이스 기술의 진정한 혁명: 음성 인식
2-2 음성 신호의 특징을 잡아라!
2-3 음성 인식 기술의 핵심은?
2-4 기계가 어떻게 음성을 알아듣지?
2-5 음성 인식 기술, 얼마나 발전되어 있나?
2-6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말하는 기계를 향하여
2-7 음성 합성 기술, 어디까지 왔나?
2-8 현실 속 음성 인터페이스 기술

제3부 자동 통·번역 기술

3-1 세계화 시대, 언어 장벽을 넘는다!
3-2 자동 통역 : 온 세계 사람들의 자유로운 대화를 위해
3-3 자동 통·번역 기술 개발 사례

제4부 지식 마이닝 기술

4-1 정보 검색 : 정보의 보고, 가상 세계의 정보 혁명
4-2 정보 검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4-3 시맨틱 정보 기술 : 정보의 의미, 기계가 이해한다
4-4 사례에서 배운다 : 지식 마이닝

용어 정리
참고 문헌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김승희
ETRI SW콘텐츠연구부분 음성언어정보연구부 자동통역연구팀에서 근무중이다. 신호 처리, 음성 인식, 자동 통역을 전공하고, 음성 인식, 자동 통역 부분을 집필하였다.
저자: 노윤형
ETRI SW콘텐츠연구부분 음성언어정보연구부 언어처리연구팀에 있다. 전산학, 자연 언어 처리를 전공하였으며, 자동 번역 부분을 집필하였다.
저자: 정호영
ETRI SW콘텐츠연구부분 음성언어정보연구부 음성처리연구팀에 있다. 음성 인식, 신호 처리 분야를 전공하였으며, 음성 인터페이스 부분을 집필하였다.
저자: 허정
ETRI SW콘텐츠연구부분 음성언어정보연구부 지식마이닝연구팀에 있다. 자연 언어 처리, 정보 검색을 전공하였으며, 지식 마이닝, 정보 검색, 시맨틱 정보 기술 부분을 집필하였다.
저자: 박상규
ETRI SW콘텐츠연구부분 음성언어정보연구부 부장이다. 자동 번역, 자동 통역을 전공하였고, 이 책의 기획/감수 부분을 담당하였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전격 Z 작전〉의 키트를 만나다”

20여 년 전, 첨단 기술을 갖춘 자동차 한 대가 우리의 시선을 빼앗았다. 위험에 닥친 주인공이 “키트, 빨리 와 줘!” 하고 손목시계에 대고 말하면 멋진 스포츠가가 어느새 주인공 앞에 등장한다. 1980년대 방영되었던 외화 시리즈 〈전격 Z 작전〉의 한 장면이다. 주인공과 키트는 친구와 같이 서로 대화가 가능하며, 자동 항법 기능을 갖추고 있어 주인공이 목적지를 말하면 어디든지 안전하게 안내해 준다.
20여 년이 흐른 지금의 출근길.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는 시동을 건 후 “여의도” 하고 말하자, 곧이어 네비게이션은 “여의도까지 예상 소요 시간은 30분입니다.” 라며 길을 안내하기 시작한다.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춘 네비게이션은 이제 운전자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사람과 사람 간의 가장 편리한 의사소통 수단은 음성과 언어다. 그렇다면 사람과 기계 사이에도 이러한 음성과 언어로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걸까? 〈전격 Z 작전〉의 키트는 거의 완벽하게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SF(공상과학) 영화 속의 한 장면으로만 여겨졌던 기계와의 대화가 오늘날 서서히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말로 목적지를 말하는 ‘음성 인식 네비게이션’, ‘010-1234-5678’ 하고 전화번호를 말하면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주는 휴대전화, “밥이 다 되었습니다.” 하고 말로 알려주는 전기밥솥, “오른쪽으로, 왼쪽으로” 소리치면 화면 속 캐릭터가 오른쪽, 왼쪽, 내 맘대로 움직이는 ‘음성 인식 게임기’ 등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예다.

최근에는 기초적인 대화가 가능한 로봇까지 등장했다. 간단한 인사와 함께 자신을 소개할 수도 있다. 길을 묻는 사람에게는 길 안내까지 가능하다. 아직은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간단한 대화만이 가능하지만, 20여 년 전 ‘말하는 자동차, 키트’를 보며 꿈꿨던 미래 세상이 조금씩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음성?언어 기술은 사람과 기계 사이의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다.

“전 우주의 언어를 말할 수 있는 C-3PIO와 친구가 되다”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스타워즈〉에는 기억할 만한 두 로봇이 나온다. 인간의 외모를 닮은 이족보행 로봇 C-3PIO와 깡통 모양의 R2D2가 그들이다. C-3PIO는 인간의 말로 대화할 수 있으며, 전 우주의 언어를 척척 알아듣고 말할 수 있는 멋진 통역사다. R2D2는 인간의 말을 알아들을 수는 있지만 기계어로 말한다. 한 로봇은 ‘삐리 삐리릭’ 기계어로, 다른 하나는 인간의 말로 서로 대화하는 두 로봇의 모습을 보고 있자면 절로 웃음이 난다. 하지만 이러한 기계의 말과 전 우주의 언어를 모두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 C-3PIO가 실제 우리 곁에 있다면 얼마나 유용할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동 통·번역 기술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구소련과 미국이 냉전 체제에서 양국의 정보를 빼내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자동 번역 기술의 한계성에 부딪히면서 기술 개발은 한동안 침체기를 맞는다. 그러나 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다국어 문화권인 유럽과, 일찍부터 통역기 개발을 시작했던 일본 등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기술 개발이 시작된다. 초기에는 군사적 목적에서 출발했지만, 국가 간의 국경이 무너지고 경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통ㆍ번역 기술의 필요성은 점점 더 커졌고, 각국의 기술 개발 경쟁은 치열해졌다. 또한 웹(인터넷)의 발전과 글로벌화에 따라 엄청난 정보의 양이 다양한 언어로 쏟아졌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한 수단으로 자동 통ㆍ번역 기술의 개발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만의 정보 찾기”

컴퓨터와 웹(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개인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무척이나 행복한(?)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무수한 정보 속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찾는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수많은 정보(데이터) 속에서 유용한 정보만을 골라내는 기술을 ‘지식 마이닝’이라 한다. 지식 마이닝 기술로 대표적인 것이 ‘정보 검색 기술’과 ‘시맨틱 정보 기술’이다.

검색 업체인 ‘구글’은 일찍이 지식 마이닝 기술을 통해 세계적인 인터넷 공룡기업으로 성장했다. 스탠퍼드 대학에서 전산학을 전공하던 두 대학원생은 페이지랭크라는 검색 알고리즘을 개발했고, 탁월한 검색 성능을 기반으로 구글을 창업하여 검색 엔진 시장을 석권했다. ‘정보 검색 기술’이 가지는 파급 효과가 어떠한지를 보여 주는 대목이다.

또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웹 기술 중의 하나는 단연 ‘시맨틱 정보 기술’이다. 현재 웹에는 수많은 언어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 5,500억 개 이상의 웹 문서가 있다고 한?. 검색 엔진들은 너무 많은 정보를 찾아 주기 시작했고, 원하지 않은 정보들 사이에서 유용한 정보만을 골라내는 일은 또 다른 현실 문제로 등장했다. 그 해결책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시맨틱 정보 기술’이다. 컴퓨터가 웹 문서에 있는 태그 정보를 이해(인식)하고 알맞은 정보를 알아서 찾아 주는 것으로, 기계가 이해하는 웹을 구현하는 기술이 바로 ‘시맨틱 정보 기술’이다.

국내 최고 SW연구기관의 베테랑 연구진이 밝히는 음성ㆍ언어 기술 완벽 해설서

우리는 오랜 세월 가장 쉽고 원할한 의사소통 수단인 음성과 언어 기술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는 많다. IT와 컴퓨터, 웹(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최근 3년간 생산된 정보량이 그 이전까지의 정보량보다 많은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모든 사람이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공평하게 누리기 위해서는 가장 쉽고 편리한 인터페이스인 음성과 언어 기술의 발전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음성ㆍ언어 기술은 사람과 기계 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음성 인식ㆍ합성 기술’, 외국어를 실시간 통역과 번역을 해 주는 ‘자동 통ㆍ번역 기술’, 수많은 웹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찾아 주는 ‘정보 마이닝 기술’ 등을 포함한다. 이 책은 국내 최고의 연구기관인 ETRI의 전문 연구원들이 그 동안의 연구 성과와 현장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음성ㆍ언어 기술의 기초 지식과 향후 발전 방향을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쓴 입문서다.

총 4부로 구성된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음성 및 언어 처리 기술이 미래 생활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그리고 정보화와 세계화의 패러다임에서 음성·언어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제2부에서는 음성 및 언어 처리 기술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사람을 향한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음성 인식과 음성 합성 기술의 기초 이론 및 발전 과정 등을 소개했다. 제3부에서는 자동 번역과 통역 기술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기초 이론의 소개부터 앞으로의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자세히 소개했다. 제4부에서는 웹 3.0 시대를 맞아 웹을 중심으로 한 정보 검색과 시맨틱 정보 기술이 무엇인지 등 정보 마이닝의 핵심 요소 기술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음성ㆍ언어 기술은 사람과 기계 사이의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기술이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언어 장벽을 해소해 주는 기술이고,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꿈의 기술이라고 저자들은 말한다. 음성ㆍ언어 기술의 응용 분야는 폭넓고 다양하다. 앞으로의 가능성 또한 무궁무진하다. 우리들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변화시켜 줄 음성ㆍ언어 기술의 미래에 대해 관심 있는 모든 독자들에게 적극 추천할 만한 도서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5,9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