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hen M. Kosslyn
미국의 심리학자. 현재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과학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전공 분야는 인지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이다. UCLA에서 1970년에 B.A.를 받았고, 1974에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심상(mental imagery)에 관한 연구와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론에서 이미지의 통합체(imagery)는 동일한 현상이 아니다. 그것은 다수의 서로 다른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은 이미지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fMRI-이미징, 그와 유사한 테크닉을 포함한 그의 연구는 다양한 신경망에서 이미지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좌뇌는 범주를 입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상을 생산하는 데 익숙하고, 우뇌는 구체적인 사례 또는 연속적인 거리를 입력하는 데 더 익숙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코슬린은 영상 디스플레이 디자인도 연구 중이다. 이는 심리적 원리가 한눈에 읽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작품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최근에는 심리적 원리가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을 어떻게 전달하고 만들 수 있게 하는지를 보여 주는 연구로 확장했다.
300편이 넘는 과학 논문을 발표했고, 15권의 저서과 편서, 13권의 공동편서가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Image and Mind (1980), Ghosts in the Mind’s Machine (1983), Wet Mind (1992, with Olivier Koenig), Elements of Graph Design (1994), Image and Brain (1994), The Case for Mental Imagery (2006, with Thompson and Ganis) 등이 있다.
건국대학교 시각광고디자인학부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한 후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대학원 과정에서 시각정보디자인을 공부했다. 미국 ACCAD(Advanced Computing Center for the Arts and Design) 인터페이스 디자이너로 실무 경험 후 귀국,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영상미디어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 관련 논문을 주로 저술했으며, 관심 연구 주제는 정보의 시각화, UX 디자인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SN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페르소나 기법 연구:카카오톡을 중심으로”(2013), “Service-learning 과제를 통한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201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디자인 분석”(2013, 공저),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아이콘과 어포던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2012), “대학생 대상 임신출산, 모유수유 UCC 및 웹기반 교육자료 분석을 통한 예비부모 맞춤교육시스템의 적용”(2012, 공저), “보건의료용 모유수유 맞춤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웹사이트 제작 및 분석”(2012, 공저), “국내 자동차 웹사이트의 접근성 평가”(2011, 공저), “스마트폰 웹사이트에 나타난 모션그래픽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2010), “웹기반 모유수유 교육정보의 내용분석 및 사용성평가”(2010, 공저) 등이 있다.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정보디자인학과에서 디자인학 석사학위를,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경제신문사, 기업은행 등에서 디자이너로 일했고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명지대학교, 한동대학교 등에 출강했다. 뉴미디어로 표현되는 정보에 의미를 더하고 조직화하는 작업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던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스마트폰 Interface Design의 개인화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2013),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시각적 자아표현에 관한 연구”(2012, 공저), “색채의 상징성이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2010, 공저), “웹광고에 표현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2010, 공저),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감성 로고타입이 웹 정보이용에 미치는 영향”(2010, 공저), “휴대전화에서 표출된 소비감정이 사용자경험에 미치는 영향”(2010, 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