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이뤄질 수 있는 ‘공모(결탁)’는 애빌린 패러독스의 가장 기본적 요소다. 상사의 독재에 공모하는 부하직원이 없는 한 독재하는 상사는 나오지 않으며, 부하직원의 아부에 공모하는 상사가 없는 한 아부하는 부하직원도 생기지 않는다. 쉽게 말해서 애빌린으로 향하는 자멸적 조직의 각 구성원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동료, 상사, 부하직원과 공모해 위험을 만들어낸다. 현대적인 표현으로 고쳐 말하면 애빌린으로 가는 것도 팀워크가 필요하다.
때문에 모든 구성원들에게는 조직이 애빌린으로 가게 된 것에 대한 책임이 있다.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책임 전가를 하기 위한 대상을 찾는 것은 조직은 물론이거니와 자기 자신에게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합의를 무시해 곤경에 처하게 된 조직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개인에게도 심리적 위안을 주지 못한다. 그 어떤 때보다도 합의가 중요한 시점에서 갈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좋을 것이 하나도 없다. 책임을 전가하는 소란은 위안은커녕 갈등을 더욱 부추기는 행동밖에는 되지 않는다. ---pp.38-39
얼마 전 대기업의 인적자원부 부장으로 있는 친구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제리, 나 해고됐네.”
“뭐, 해고? 완전히 쫓겨난 건가?”
“아니, 완전히는 아닐세. 부장 자리에서 밀려났네. 내가 하던 일 대신에 월급을 관리하는 임시직을 맡기더군. 그 임시직이란 게 정말 말이 아니야. 인적자원 관리처럼 해볼 만한 일이 아니지. 지금 내가 하는 일은 신출내기도 할 수 있는 월급 명세서나 만드는 일이야.”
“행크, 그런데 왜 밀려난 건가?”
“모르겠네. 그 이유를 직접 들은 건 아니거든. 위에서 나를 해고하라고 했다더군.”
“뭣 때문에?”
“상사가 말을 얼버무리고 확실하게 이야기하지 않아서 모르겠어. 그저 자기 상사가 말하기를 내가 그 일을 수행할 만한 충분한 능력이 없다고 했다더군.”
“상사의 상사라는 그 사람에게 자네를 해고한 이유를 직접 물어봤나?”
“물어보지 못했어.”
“왜 안 물어봤나?”
“그건 명령 체계를 무시하는 행동이라네. 우리 회사에서는 그런 짓 못해.”
“왜?”
“그런 짓을 했다간 해고될 수도 있어.”
“그렇지만 행크, 자넨 벌써 해고됐잖아!”
“아, 그렇지.” ---pp.57-58
“아브라함아.”
“예, 주님!”
“네가 그토록 사랑하는 너의 외아들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산으로 가거라. 그곳에서 이삭을 나에게 제물로 바쳐라.”
“하나님!”
“나의 사랑하는 종 아브라함아, 왜 그러느냐?”
“지금 농담하십니까?”
“물론 농담이 아니다, 아브라함아. 이런 문제를 놓고 내가 농담을 하겠느냐?”
“잠깐만요. 전화 한통만 하겠습니다.”
아브라함은 안쪽 사무실로 들어가 아내 사라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사라가 전화를 받자 아브라함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빨리 가서 이삭을 이웃집에 숨기시오. 하나님이 또 술에 취한 것 같소. 이삭을 태워 제물로 바치라는 둥 충성스런 조직원이 돼야 한다는 둥 엉뚱한 소리를 하고 있구려. 그냥 조금 피곤하신 것 같지만 알 수 없잖소. 그리고 무슨 일이 있어도 하나님의 비서에게서 걸려오는 전화는 받지 말구려. 지금 내가 하나님을 잘 설득해보려고 하는데, 그 아첨꾼들과 대화해서는 성공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
아브라함은 돌아와 하나님과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아브라함아, 네가 나를 사랑하고 믿는다면 내가 시키는 대로 이삭을 죽여 뒷마당의 바비큐 통에 넣어라.”
아브라함은 이렇게 대답합니다.
“당신께서 이삭을 죽이기를 바란다면 직접 하셔야 할 겁니다. 저는 이삭을 사랑합니다. 그러나 당신이 진심으로 이삭이 죽기를 바란다면 저에게는 막을 힘이 없음을 잘 압니다. 나는 당신이 이삭을 죽일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당신께서 그렇게 부당한 일을 하실 리가 없습니다. 나는 당신을 사랑하지만 그런 미친 짓을 할 만큼은 아닙니다.”
“너는 날 믿느냐, 아브라함?”
“하나님과 논쟁을 벌일 정도로는 믿지만, 당신께서 내게 주신 지혜와 성실을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내 아들 아브라함아, 너는 별난 놈이다.”
“하나님만큼은 아닙니다.”
“아브라함아, 오늘은 아주 힘든 날이었다. 인도에는 기근이 들었고 아프가니스탄에는 전쟁이 일어났으며, 교황이 저격을 당했는가 하면 캘리포니아 출신이 백악관을 차지했단다.”
“하나님 혼자서 그 모든 걸 처리해야 하니 정말 힘드시겠군요. 혹시 제가 도울 일이라도 있습니까?”
“그래, 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 앞에 머리를 조아리며 “그것이 무엇입니까”라고 물었습니다. ---pp.92-93
“충만한 삶을 위해서는 죽음을 감수하고 죽음의 궁극적 결정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조직 안에서 개인이 느끼는 ‘분리 불안’에 대한 공포는 심각한 수준이다. 왕따, 불인정, 해고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이런 불안심리 때문에 개인은 조직 안에서 자신이 어떤 선택을 하게 될 때 항상 조직이 원하는 것을 해야 한다는 압력을 느끼게 된다. 심지어 그렇게 하지 않으면 부도덕한 인물이 될 것이라는 강박증에 시달리기까지 한다. 이렇듯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조직의 압력이 자신에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믿으며 스스로를 무기력하게 만드는 제약을 받아들인다.
하지만 이런 위험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집단 폭압은 상상 속에서 존재한다. 집단의 압력이라는 것은 우리가 집단에서 도덕성을 잃고 무책임하게 행동하고 다른 사람을 탓할 때 사용하는 핑계일 뿐이다. 이런 핑계를 대지 않아도 되고 집단의 폭압으로부터 자유롭기를 원한다면, 다소 생뚱맞게 들릴지 몰라도 우리 스스로 자신에 대한 영적이 이해를 높여야 한다. 진짜든 상상이든 집단 폭압에서 개인이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언제나 영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다. 여기서 영적이라는 의미는 개인이 자신의 정신세계에 의미를 부여하고 무엇인가를 위해 목숨을 내걸 용기를 주는 신비한 힘이 무엇인지를 알려고 하는 인생관과 가치관, 즉 우주관을 뜻한다. 이것은 바로 스스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이며 또 자신의 삶이란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알려고 하는 자세다.
---pp.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