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성법에서 더빙 언어는 라디오 드라마나 TV 드라마보다도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라디오 드라마나 TV 드라마 대사는 일상 언어 형태로 쓰이고, 연기자도 발성하는 중에 외부의 어떤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TV 외화는 녹음 중 연기자는 화면을 봐야 하고, 또 헤드폰을 통한 스타의 옵티컬 대사를 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더빙 언어는 강조, 억양, 악센트 등이 연기자 자신도 모르게 그 원음에 따라 적용되어 우리의 일상 언어 형태에서 벗어나기 쉽다.
--- 「02 더빙 언어의 특성」 중에서
더빙 언어에서 엄격하게 시제를 지키면 오히려 어색한 대사가 된다. 우리말은 과거와 미래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현재형은 과거와 미래가 포함되어 있다. … 대화에서는 조사가 거의 붙지 않는다. 오히려 조사를 붙이면 대사가 어색해진다. 조사가 붙어 매끄럽지 않은 대사가 될 때, 조사를 삭제해도 충분히 표현될 때 조사를 삭제한다.
--- 「03 더빙 언어의 문법 파괴」 중에서
영상 음악은 극적 분위기를 묘사하고, 그 분위기를 더 고조시키거나 저하하기도 한다. 또한 영상 음악은 대사를 강조하기도 하고, 연기자의 대사 표현 한계를 보충해주고, 영상 표현의 한계를 보충한다. 즉, 연기자가 표현하지 못한 영역과 영상이 표현 못 하는 것을 표현해주는 것이다. 영상 음악은 대사와 대사 사이, 그리고 대사가 생략된 장면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한 요소로 작용해야 한다.
--- 「07 더빙 언어와 음악, 음향효과」 중에서
자막 제작 프로그램은 다양하다. 더구나 요즈음은 외국어를 동시에 번역하고, 그것을 동시에 영상에 표시하는 실시간 자막 편집기가 있다. 즉, 번역된 내용을 탭 한 번으로 자막으로 자동 변환한다. 요즈음 국제 주요 행사에서 사회자와 출연자와의 대화가 자국어로 번역되어 동시에 화면에 표시되고, 인터뷰 프로그램에서 대담자의 내용도 실시간으로 번역되어 자막으로 표시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 「09 영상 자막 제작하기」 중에서
더빙 성우는 무엇보다 눈, 귀, 입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에 익숙해져야 하며 그 다음이 연기다. 더빙은 대본 해석보다도 화면 해석이 더 중요하다. 자기 나름대로 연기 창조에 앞서 수정이 불가능한 화면을 자기 연기로 받아들여야 한다. 더빙 녹음은 영화, TV 드라마처럼 대사를 임의로 처리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 화면이 요구하는 언어를 완벽하게 메꾸는 것이 더빙 성우의 연기다.
--- 「10 더빙 성우의 조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