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8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0쪽 | 444g | 152*245*15mm |
ISBN13 | 9788931466591 |
ISBN10 | 8931466595 |
발행일 | 2022년 08월 05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0쪽 | 444g | 152*245*15mm |
ISBN13 | 9788931466591 |
ISBN10 | 8931466595 |
Ch 1. 웹 기술의 기본 1-1. 웹이란? 1-2. 웹 시스템의 구조 1-3. 웹 페이지를 열람한다 1-4. URL이란? 1-5. 웹 서버의 외형과 내용 1-6. 브라우저의 기능 1-7. 브라우저와는 다른 존재 1-8. 웹 시스템을 두는 장소 1-9 해외의 웹 사이트에 도달하려면? 1-10. 인터넷과 웹의 관계 해 보자 웹 사이트의 규모 Ch 2. 웹의 독자적인 구조 2-1. 웹 기술의 변화 2-2. 웹 사이트의 안과 밖 2-3. 웹 사이트 바깥쪽의 메인 2-4. 웹 사이트 바깥쪽의 서브 2-5. 변화하지 않는 페이지와 변화하는 페이지 2-6. 웹 사이트의 안쪽① HTTP 요청 2-7. 웹 사이트의 안쪽② HTTP 응답 2-8. HTTP 메시지를 확인한다 2-9. 프로그램의 실행 2-10.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나누는 사고방식 2-11. 클라이언트 측의 스크립트 2-12. 서버 측의 스크립트 2-13. 재접속을 지원하는 구조 2-14. 일련의 처리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관리 해 보자 HTML과 CSS / CSS에 의한 차이의 예 Ch 3. 웹을 지탱하는 구조 3-1. 웹 전체를 지탱하는 구조 3-2. 웹 접속의 기본 3-3. IP 주소와 MAC 주소의 차이 3-4. 주소를 부여한다 3-5. 도메인명과 IP 주소를 연결한다 3-6. 인터넷 통신의 대행 3-7.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암호화 3-8. 웹 서버로의 파일 전송과 요청 식별 3-9. 웹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3-10. 웹 서버를 구축한다 3-11. 웹 서버를 선택한다 3-12. 웹 서버를 만든다 해 보자 DNS 서버와 통신한다 / nslookup 명령어의 표시 예 Ch 4. 웹 보급과 확산 4-1. 다양화하는 웹의 세계 4-2. 스마트폰의 등장으로부터 4-3. 많이 이용되는 브라우저는? 4-4. 많이 이용되는 검색 엔진은? 4-5. 온라인 쇼핑의 성장 4-6. SNS의 활용 4-7. SNS의 안쪽 4-8. 기업에서의 웹 시스템의 활용 4-9. 웹 전용의 직업 4-10. 5G가 바꾸는 웹의 세계 해 보자 개발자 도구를 사용해 본다 / 개발자 도구의 Network 탭에서 응답 시간을 측정한다 Ch 5. 웹과 다른 시스템 5-1. 웹으로 할 수 없는 시스템 5-2. 멈출 수 없는 시스템① 5-3. 멈출 수 없는 시스템② 5-4. 기존 시스템의 클라우드화의 장벽 5-5. 웹과 궁합이 좋은 메일 서버 5-6. 인터넷 이외의 네트워크 5-7. 서버의 기능 차이 해 보자 ping 명령어 / ping 명령어 실행 후의 예 Ch 6. 클라우드와의 관계 6-1. 클라우드의 개요와 특징 6-2. 클라우드 서비스의 분류 6-3. 클라우드의 2가지 조류 6-4. 가상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6-5. 클라우드 사업자의 개요 6-6.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6-7. 대량의 IT 리소스를 관리하는 구조 6-8.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화하려면? 해 보자 리소스의 이용 상황을 본다 / Windows 10의 태스크 매니저의 예 Ch 7. 웹 사이트의 개설에 즈음하여 7-1.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지 여부 7-2. 타깃은 누구? 7-3. 사이트 개설 준비 7-4. 콘텐츠 관리 7-5. 도메인명의 취득 7-6.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대처 7-7. https 접속을 지원하는 기능 7-8. 스마트폰과 PC 양쪽에 대응한다 7-9. 보완하는 디바이스로의 대응 7-10. 이미지 파일의 종류 7-11 복사 방지는 필요한가? 7-12. 동영상 및 음성 파일 7-13. 관리자로서 웹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해 보자 파비콘으로부터 웹 비즈니스를 본다 / 파비콘의 예(톱 페이지 또는 오피셜 사이트) Ch 8. 웹 시스템의 개발 8-1. 웹 앱의 백엔드 구성 요소 8-2. 웹 앱은 무료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8-3. 애플리케이션 설계의 사고방식 8-4. 개발 프레임워크 8-5. ASP.NET과 JSP 8-6. 프론트와 백의 경계 8-7. 웹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 8-8. 서버의 기능을 나누는 대처 8-9. 결제 처리로 보는 외부 접속의 방식 예 8-10. 서버의 가상화 기술 8-11. 웹 시스템의 새로운 조류 8-12. 웹 서버의 부하 실측 8-13. 가상 서버의 성능 견적 8-14.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구성 예 해 보자 컨테이너화하는 서비스 픽업 / 접근 예 Ch 9. 보안과 운용 9-1. 위협에 따른 보안 대책 9-2. 보안 대책의 물리적인 구조 9-3. 완충 지대에서의 방어 방법 9-4. 완충 지대를 빠져나간 곳의 방어 9-5. 고객을 지키는 구조 9-6. 내부의 보안 대책 9-7. 가동 후의 관리 9-8. 서버의 성능 관리 9-9. 장애에 대응하는 구조 9-10. 백업에 대해서 생각한다 해 보자 시스템의 가용성과 보안 / 보안 위협을 확인하는 예 |
최근 클라우드 등.. 웹 기술이 매우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웹을 공부한다고 하면, HTML 자바스크립트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만 공부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저의 대학교 시절을 생각해 보더라도 JSP나 PHP 같은 서버스크립트만 배운 기억이 나네요..)
하지만 위같이 지엽적으로만 공부하다 보면 나중에 기술 응용할 때 매우 힘들어 집니다.
이러한 상황에 나온 위 책은 웹 기술 전반에 관해 설명해주기 때문에 아주 유용한 책인 것 같네요!
우선 내용을 살펴보자면 1장 ~ 3장은 네트워크 기초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4장은 웹이 다양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SNS , 온라인 쇼핑 사이트 같이 평소 어떤 구조일까 궁금했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
5장은 온프레미스를 다루고 있습니다. ( 이중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형태도 다루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교통시스템, 전력시스템 같은 것들도 다루고 있습니다.)
클라우드같은 최신기술만 다루는게 아닌, 온프레미스같은 것들도 다루고 있어 웹기술에 대해 골고루 다루기 때문에 평소 등한시했던 기술들을 알아서 매우 좋았습니다.
또한 주목받지 못하는 기술이라도 신기술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책이 이런 점을 충실하게 반영한게 아닌가 하네요..
6장은 클라우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8장에서는 개발기술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리액트, 도커, 쿠버네티스, 오케스트레이션 같은 최신 기술도 다룹니다.)
이 책의 구성은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쪽은 설명, 반쪽은 그림 형식으로 구성되 있습니다. ( 설명을 읽다 애매한 부분은 바로 옆 그림을 보면 되니 이해하기 수월했습니다.)
또한 일본분들의 책들이 거의 그렇듯 용어에 대한 정의도 명확하기 때문에 책을 읽다 무슨 뜻인지 애매한 부분이 거의 없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 책은 웹사이트, 웹 앱, 웹 시스템을 나눠서 설명합니다.)
책을 읽은 전체적인 느낌은 IT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필독서가 아닐까 싶네요..
웹을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 이미 공부하신 분들이라도 웹기술의 큰 그림을 아는 것은 필수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