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신 1.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2. 스피노자가 올덴부르크에게―서신 1에 대한 회신 - 서신 3.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2에 대한 회신 - 서신 4.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3에 대한 회신 - 서신 5.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4에 대한 회신 - 서신 6.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 - 서신 7.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6에 대한 회신 - 서신 8. 시몬 데 브리스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9. 스피노자가 시몬 데 브리스에게―서신 8에 대한 회신 - 서신 10. 스피노자가 시몬 데 브리스에게 - 서신 11.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6에 대한 회신 - 서신 12. 스피노자가 뤼도웨이크 메이어르에게 - 서신 13.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11에 대한 회신 - 서신 14.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13에 대한 회신 - 서신 15. 스피노자가 뤼도웨이크 메이어르에게 - 서신 16.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17. 스피노자가 피터르 발링에게 - 서신 18. 블리엔베르그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19. 스피노자가 블리엔베르그에게―서신 18에 대한 회신 - 서신 20. 블리엔베르그가 스피노자에게―서신 19에 대한 회신 - 서신 21. 스피노자가 블리엔베르그에게―서신 20에 대한 회신 - 서신 22. 블리엔베르그가 스피노자에게―서신 21에 대한 회신 - 서신 23. 스피노자가 블리엔베르그에게―서신 22에 대한 회신 - 서신 24. 블리엔베르그가 스피노자에게―서신 23에 대한 회신 - 서신 25.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26.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25에 대한 회신 - 서신 27. 스피노자가 블리엔베르그에게―서신 24에 대한 회신 - 서신 28. 스피노자가 요하네스 바우와메스테르에게 - 서신 29.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30.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29에 대한 회신 - 서신 31.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30에 대한 회신 - 서신 32.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31에 대한 회신 - 서신 33.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32에 대한 회신 - 서신 34. 스피노자가 후드에게 - 서신 35. 스피노자가 후드에게 - 서신 36. 스피노자가 후드에게 - 서신 37. 스피노자가 요하네스 바우와메스테르에게 - 서신 38. 스피노자가 요하네스 판 데르 메르에게 - 서신 39. 스피노자가 야리그 옐레스에게 - 서신 40. 스피노자가 야리그 옐레스에게 - 서신 41. 스피노자가 야리그 옐레스에게 - 서신 42. 람베르트 판 벨튀센이 야콥 오스텐스에게 - 서신 43. 스피노자가 야콥 오스텐스에게―서신 42에 대한 회신 - 서신 44. 스피노자가 야리그 옐레스에게 - 서신 45. 라이프니츠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46. 스피노자가 라이프니츠에게―서신 45에 대한 회신 - 서신 47. 파브리키우스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48. 스피노자가 파브리키우스에게―서신 47에 대한 회신 - 서신 48-2. 스피노자가 야리그 옐레스에게 - 서신 49. 스피노자가 요하네스 게오르기우스 그래비우스에게 - 서신 50. 스피노자가 야리그 옐레스에게 - 서신 51. 휘호 복셀이 스피노자에게 - 서신 52. 스피노자가 휘호 복셀에게―서신 51에 대한 회신 - 서신 53. 휘호 복셀이 스피노자에게―서신 52에 대한 회신 - 서신 54. 스피노자가 휘호 복셀에게―서신 53에 대한 회신 - 서신 55. 휘호 복셀이 스피노자에게―서신 54에 대한 회신 - 서신 56. 스피노자가 휘호 복셀에게―서신 55에 대한 회신 - 서신 57.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58. 스피노자가 슐러에게―서신 57에 대한 회신 - 서신 59.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60. 스피노자가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에게―서신 59에 대한 회신 - 서신 61.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62.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63. 슐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60에 대한 회신 - 서신 64. 스피노자가 슐러에게―서신 63에 대한 회신 - 서신 65.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가 스피노자에게―서신 64에 대한 회신 - 서신 66. 스피노자가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에게―서신 65에 대한 회신 - 서신 67. 알베르트 뷔르흐가 스피노자에게 - 서신 68.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61에 대한 회신 - 서신 69. 스피노자가 람베르트 판 벨튀센에게 - 서신 70. 슐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66에 대한 회신 - 서신 71.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68에 대한 회신 - 서신 72. 스피노자가 슐러에게―서신 70에 대한 회신 - 서신 73.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71에 대한 회신 - 서신 74.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73에 대한 회신 - 서신 75.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74에 대한 회신 - 서신 76. 스피노자가 알베르트 뷔르흐에게―서신 67에 대한 회신 - 서신 77.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75에 대한 회신 - 서신 78. 스피노자가 헨리 올덴부르크에게―서신 77에 대한 회신 - 서신 79. 헨리 올덴부르크가 스피노자에게―서신 78에 대한 회신 - 서신 80.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가 스피노자에게―서신 72에 대한 회신 - 서신 81. 스피노자가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에게―서신 80에 대한 회신 - 서신 82.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가 스피노자에게―서신 81에 대한 회신 - 서신 83. 스피노자가 에렌프리트 발터 폰 치른하우스에게―서신 82에 대한 회신 - 서신 84. 스피노자가 벗에게 옮긴이 해제 옮긴이 후기 |
저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
관심작가 알림신청Benedictus de Spinoza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의 다른 상품
역이근세
관심작가 알림신청이근세의 다른 상품
스피노자 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최근 20여 년간 국내에서도 스피노자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스피노자의 사상은 한편으로는 『소론』, 『지성개선론』, 『데카르트의 철학원리』 등의 초기 저작들 및 『에티카』에서 전개되는 존재론, 인식론, 감정론, 윤리학, 다른 한편으로는 『신학정치론』과 『정치론』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신학 및 정치철학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미 『에티카』나 『신학정치론』 등의 완결된 주저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번역 출간되었고 초기의 미완성 저작들도 부분적으로나마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다수의 스피노자 관련 연구서 및 교양 저작들도 발간되었다. 그러나 정작 영미, 유럽권의 모든 스피노자 전문가들이 1차 문헌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왔으며 스피노자 전집에 당당히 포함되어 있는 서간집은 국내에 전혀 소개되지 않고 있다. 단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서 전문 논문에서 다루어질 뿐이다. 이 책을 통해 국내 스피노자 연구의 이 같은 공백이 메워졌으면 한다
서신이라는 형식 때문에 철학자들은 상대방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서간집은 비교적 쉬운 언어로 그들의 사상이 표현된 값진 자료를 제공해준다. 또한 서신들을 통해 우리는 철학 사상의 진화 과정 및 시대적 배경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서간집과 함께 철학 작품을 고찰할 경우 철학 체계에 대한 이해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실제로 스피노자의 서간집은 철학적 토론 외에도 집필 과정, 용어 변화, 출판 현황, 시대 배경 등을 구체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그의 사상을 재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철학자의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주저들을 해독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철학 저작들은 주요 개념이나 체계에 대한 구체적 예를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철학자의 서신을 통해 주요 개념의 풍부한 예시를 획득함으로써 이론 체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론 체계의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스피노자의 서간집이 없었다면, 그의 존재론에서 매우 난해하고도 중요한 개념인 속성이나 무한 양태에 대한 구체적 이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예수의 부활’ 같은 민감한 사안은 그의 신학 저작에서도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서신에서는 적극적 설명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스피노자의 서간집은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보조적 역할을 넘어서 그의 철학 체계를 온전히 재정립하기 위한 독보적 문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