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중고도서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
판매자
jehee98
판매자 평가 5 1명 평가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한정판매의 특성상 재고 상황에 따라 품절 가능

책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한국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1장 우리는 국가를 소비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인터뷰이 소개: 벤자민 바버
이건희 회장 손녀에게도 무상급식을
대통령을 소비하는 사회
하버드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보다 중요한 것들
전파하고 소통하라

2장 촘스키, 한국 언론의 정의를 말하다
인터뷰이 소개: 노암 촘스키, 로버트 맥체스니
‘나꼼수’를 해부하라
놀랍고도 너무 놀라운
그들을 열렬히 응원합니다

3장 대통령의 자격, 무엇이 필요한가?
인터뷰이 소개: 프랜시스 후쿠야마, 그레그 브래진스키
아웃사이더 전성시대
미국 역대 최고 대통령 세 사람
정당 없는 민주주의를 상상하다
카터의 한계 그리고 대통령의 자격

4장 남과 북. 통일의 길목에서
인터뷰이 소개: 존 페퍼, 로렌스 윌커슨
미국! 너만 빠지면 돼!
주변국, 그들의 속사정
엇갈리는 남북, 그 접점을 찾아서

5장 개방과 보호, 양날의 검 앞에서
인터뷰이 소개: 클라이드 프레스토위츠, 혼다 히로쿠니
믿을 수 없는 너!
자유무역, 상상 이상의 전쟁
대기업? 중소기업?
2012년, 국부론 그리고 진화론

6장 복지, 어떻게 바꿀 것인가?
인터뷰이 소개: 실비아 알레그레토, 에카르드 슈뤠터
미국의 치부를 들추다
유럽식? 미국식?

7장 세계가 속고 있는 한국 교육을 해부하다
인터뷰이 소개: 레지나 머티, 마이클 세스
한국의 교육이 모델이라고?
문제는 교육 밖에 있다
우리가 잊고 있는 것들

맺음말: 촘스키, 한국에 놀라다

저자 소개3

이만열

Emanuel Pastreich,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1964년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출생으로 한국명은 이만열이다. 미국 예일대학교 중문과 및 전체 우등 졸업 후 동경대학교 대학원(비교문화학) 석사, 하버드대학교 대학원(동아시아언어문명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겸임교수, 일리노이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아시아문제연구소 객원교수, 동경대학교 교환교수, 펜실베니아대학교 동아시아학센터 객원연구원, 조지워싱턴대학교 역사학과 겸임교수, 우송대학교 솔브릿지 국제경영학부 교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아시아연구소 소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지구경영연구원 원장 및 대외협력 부총장,
1964년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출생으로 한국명은 이만열이다. 미국 예일대학교 중문과 및 전체 우등 졸업 후 동경대학교 대학원(비교문화학) 석사, 하버드대학교 대학원(동아시아언어문명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겸임교수, 일리노이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아시아문제연구소 객원교수, 동경대학교 교환교수, 펜실베니아대학교 동아시아학센터 객원연구원, 조지워싱턴대학교 역사학과 겸임교수, 우송대학교 솔브릿지 국제경영학부 교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아시아연구소 소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지구경영연구원 원장 및 대외협력 부총장, 미국 워싱턴대학교 교수를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한국인만 몰랐던 더 큰 대한민국』, 『한국인만 모르는 한국의 보물』, 『연암 박지원의 단편소설The Novels of Park Jiwon: Translations of Overlooked Worlds』(서울대출판사) 『중일 고전소설의 세속성 비교관찰The Observable Mundane: Vernacular Chinese and the Emergence of a Literary Discourse on Popular Narrative in Edo Japan』(서울대출판사) 등이 있다.

노암 촘스키

Avram Noam Chomsky

유대계 미국 언어학자이자 철학자, 인지과학자. 사회비평가이자 정치운동가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 2세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진학한 뒤 언어학자 젤리그 해리스를 만나면서 언어학의 세계에 발을 디뎠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특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1958년(30세) 부교수, 1961년(33세) 종신교수, 1966년(38세) 석좌교수, 1976년(48세) ‘인스티튜트 프로페서Institute Professor(독립적인 학문기관으로 대우하는 교수)’가 된 그는 지
유대계 미국 언어학자이자 철학자, 인지과학자. 사회비평가이자 정치운동가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 2세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진학한 뒤 언어학자 젤리그 해리스를 만나면서 언어학의 세계에 발을 디뎠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특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1958년(30세) 부교수, 1961년(33세) 종신교수, 1966년(38세) 석좌교수, 1976년(48세) ‘인스티튜트 프로페서Institute Professor(독립적인 학문기관으로 대우하는 교수)’가 된 그는 지금까지 논문 1,000여 편과 저서 100여 권을 발표했다. 현재는 MIT 언어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창시자로서 20세기 언어학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학자로 꼽힌다. 언어학뿐 아니라 철학, 사상사, 당대의 이슈, 국제문제와 미국의 외교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해 글을 쓰고 강의해왔다. 노엄 촘스키는 언어학자이자 인지과학 혁명의 주역으로서 명성을 누리는 데 머물지 않았다. 젊은 시절부터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1967년 〈지식인의 책무〉를 발표하면서 세계 지식인들의 양심에 경종을 울린 그는, 여든 살을 넘긴 오늘날까지도 시대의 양심이자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 또한 세계 민중의 한 사람으로서 거대 다국적기업들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세계 질서와 미국의 제국주의, 자본의 언론 장악과 프로파간다를 신랄하게 파헤친다. 주요 저서로는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외에도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비밀, 거짓말 그리고 민주주의》, 《공공선을 위하여》, 《촘스키, 知의 향연》, 《촘스키, 사상의 향연》, 《촘스키, 고뇌의 땅 레바논에 서다》, 《촘스키, 러셀을 말하다》,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숙명의 트라이앵글》, 《지식인의 책무》, 《여론조작》, 《통사 구조》,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 등이 있다. 국내 번역된 저서로 『촘스키의 통사구조』『촘스키, 사상의 향연』『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불평등의 이유』『파멸 전야』등 다수가 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

Francis Fukuyama

스탠퍼드대학교 프리먼 스포글리 국제학연구소Freeman Spogli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의 선임연구원이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발전·법치주의 센터Center on Democracy, Development, and the Rule of Law의 책임자다.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과 조지메이슨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랜드연구소 연구위원, 미 국무부 정책기획실 부국장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역사의 종말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정치 질서와 정치 쇠퇴Politica
스탠퍼드대학교 프리먼 스포글리 국제학연구소Freeman Spogli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의 선임연구원이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발전·법치주의 센터Center on Democracy, Development, and the Rule of Law의 책임자다.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과 조지메이슨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한 바 있으며, 랜드연구소 연구위원, 미 국무부 정책기획실 부국장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 《역사의 종말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정치 질서와 정치 쇠퇴Political Order and Political Decay》, 《정치 질서의 기원The Origins of Political Order》, 《트러스트Trust》, 《기로에 선 미국America at the Crossroads》 등이 있다.
저자 : 벤자민 바버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다. 세계적인 정치사상가로 국제적 베스트셀러 『지하드 대 맥월드(Jihad vs Macworld)』, 21세기 민주주의 사상의 고전이 된 『강한 시민사회 강한 민주주의(Strong Democracy)』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자 : 로버트 맥체스니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교수다. 민주주의에서 언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미국 내 언론 개혁기구인 프리프레스(Free Press)의 공동창업자이자 주간 라디오 쇼 미디어 매터스(Media Matters)의 진행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자 : 그레그 브래진스키
조지워싱턴대학교 역사&국제관계학 교수다. 미국 내 동아시아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다.
저자 : 존 페퍼
미국 내 정치 외교 전문가로서 특히 남북문제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는 정책연구소(Institute for Policy Studies) 공동이사다.
저자 : 래리 윌커슨
미국 국방장관 콜린 파웰의 보좌관, 윌리엄앤메리대학교 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안보문제를 가르치고 있다.
저자 : 클라이드 프레스토위츠
레이건 행정부 통상부장관 자문위원이었으며 워싱턴 DC에 있는 경제전략연구소 소장이다. 다양한 국제무역협상에 참여하면서 협상의 귀재로 알려져 있다.
저자 : 혼다 히로쿠니
도쿄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다. 일본에서 미국 경제와 국제관계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자 : 실비아 알레그레토
UC 버클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임금 및 고용 역학센터 의장으로 있다. 교수로 재직하기 전에는 워싱턴의 비영리 초당파 싱크탱크인 경제정책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미국 노동연구와 관련해 주목받는 복지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저자 : 에카르드 슈뤠터
독일 제플린대학교 공공행정학과 학장이다. 공공영역 개혁 부분 전문가로 이를 위한 사회적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로 알려져 있다. 독일학자협회 부회장이자 공동창립자다.
저자 : 레지나 머티
아일랜드 더블린의 세인트페트릭대학교 교육학 교수다. 교사 교육 전문가로 한국에는 낯선 유럽과 아일랜드 교육을 소개한다.
저자 : 마이클 세스
제임스메디슨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전문가로 『교육열(Education Fever)』 등의 저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2년 10월 29일
쪽수, 무게, 크기
206쪽 | 310g | 152*224*20mm
ISBN13
9788963700724

책 속으로

오늘날 한국은 빈부격차, 복지문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갈등, 포플리즘, 언론탄압, 민주주의 퇴화, 남북문제 등 여러 사회적 문제와 이슈를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얼핏 보면 한국만 가지고 있는 것 같지만 결국에는 국제 문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안을 다룰 때도 범세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객관적 시각을 갖추고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 p.7 (임마뉴엘 페스트라이쉬)

사회적 빈곤을 줄이고 공공 시스템을 강화하고 부의 사회적 기회를 넓히는 쪽으로 바꾸겠는가는 것이 핵심 문제입니다. 한국인에게 묻습니다. 서울을 파리나 베를린 같은 도시처럼 만드시겠습니까? 아니면 미국의 디트로이트처럼 엄청난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공존하는 곳으로 만드시겠습니까?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한국인의 몫입니다. --- p.19 (벤자민 바버)

이제 국가는 국민에게 그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조직으로 변했습니다. 개인은 세금을 내고 선거를 하는 것 이외에는 어떤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그렇게 둘의 관계는 한쪽이 한쪽에 의존하는 형태로 변했습니다. 이러한 의존성은 그거이 국가든 기업이든 상대 조직의 특성이나 모습을 결정짓는 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고 그저 하나의 개체로만 의미가 있을 뿐임을 뜻합니다. --- p.27 (임마뉴엘 페스트라이쉬)

언론이 정부와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활동할 수 있다는 것은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해서 매우 중요합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이것이 보장되지 않는 민주주의는 매우 위험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중략 - MBC와 KBS 사태는 이러한 관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우리 모두의 좋은 사례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노동자의 임금이나 복지뿐 아니라 사회적 윤리와 정의 그리고 공공의 선을 위해 싸우는 한국 언론인과 국민에게 찬사를 보냅니다. --- p.61(노암 촘스키)

안철수 현상과 같이 정치적 아웃사이더가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는 역설적이게도 이들이 자신의 정치적 관점을 전부 드러낼 필요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대부분 이들을 잘 포장된 선물꾸러미처럼 생각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안에 있는 것이 매력적이냐가 아니라 그 안에 무엇이 있는지 알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즉 이들은 선물꾸러미 안에 자신의 희망사항을 반영할 그 무엇이 들어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포장을 뜯는 순간 대중은 실망했습니다. p.74(그레그 브래진스키)

정당은 정치참여를 이끌어내고 조직화하는 수단입니다. 이에 반하는 대안은 그것이 무엇이든 매우 위험합니다. 물론 베니토 물솔리니처럼 총선거를 실시해 대중의 의견에 호소하는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앞에서 말했듯이 결국 한 개인에게 권력이 무제한으로 집중되는 현실을 그간의 많은 역사과정에서 지켜봤습니다. --- p.86(프랜시스 후쿠야마)

또 다른 문제점은 미국인이 거시적 안목을 갖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시리아, 이란, 이스라엘 등 중동문제만 보더라도 그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얼마나 미시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저 역시 동북아시아 국가의 발전 기저에서 여러 가지를 고려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을 갖지 못했습니다. 이는 곧 미국이 인식하는 자국의 이익, 즉 미국의 이익을 넘어서 국제적, 거시적 시야를 갖지 못했다는 말입니다.

--- p.97(로렌스 윌커슨)

출판사 리뷰

세계적 석학들이 한국의
미래를 제시한 최초의 책!


프랜시스 후쿠야마에서 노암 촘스키까지
세계적 석학 13명이 이야기한 대한민국의 오늘 그리고 미래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안철수 현상에 일침을 가하고
클라이드 프레스토위츠가 미국의 진짜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기업인들에 대한 환상,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정부가 기능하는 방식에 대한 국민의 뿌리 깊은 오해가 있습니다. 정부도 사업과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끈질기게 유지되어온 것이지요. 그러나 정부는 사업처럼 운영할 수 없는 구조적 요인이 분명히 있습니다. -중략- 따라서 사람들이 정치에서 발견하는 비효율적 면모 중 많은 부분이 사실은 정치인과 기업 CEO의 역할이 구조적으로 서로 다르다는 사실과 관계있습니다.” 이것이 세계적인 미래 정치학자이자 역사학자인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코멘트라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실패의 원인들 그리고 안철수 현상에 대해 다시 한 번 곰곰이 따져볼 생각이 들지 않는가?

“그러나 한국 시장 개방에 대해 한국인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이는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한국은 자국 시장을 개방하려는 진정한 의지가 있는지 묻는 것입니다. 자국 시장을 개방하려는 듯한 행동을 하면서 타국 시장 진출권을 따냈지만 정작 실질적인 개방은 하지 않을 거라는 의심이 생깁니다. 이 모든 무역협정의 진정한 실체가 무엇인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이 코멘트가 과거 미국의 대 아시아 무역협상을 주도했던 관료 클라이드 프레스토위츠의 멘트라면 어떠한가?

“언론이 정부와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활동할 수 있다는 것은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해서 매우 중요합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이것이 보장되지 않는 민주주의는 매우 위험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MBC와 KBS 사태는 이러한 관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우리 모두의 좋은 사례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노동자의 임금이나 복지뿐 아니라 사회적 윤리와 정의 그리고 공공의 선을 위해 싸우는 한국 언론인과 국민에게 찬사를 보냅니다.” 이것이 세계적인 언어학자이자 진보학자인 노암 촘스키의 코멘트라면 놀랍지 않은가?

『세계의 석학들, 한국의 미래를 말하다』는 앞서 보인 예처럼 한국의 미래를 결정 지을 수 있는 정치, 복지, 교육, 외교, 경제 등의 첨예한 현안들을 13명의 세계적인 석학들의 눈으로 바라보고 좀 더 나은 방안을 제시한 책이다.

이러한 대형 프로젝트가 가능하기까지

이 책을 집필한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한국을 사랑하는 대표적인 친한파 미국인 인문학자다. 그는 예일대학교, 도쿄대학교, 하버드 대학원을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도쿄대학교, 조지워싱턴대학교 등 세계 명문 대학 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한국사랑은 유별나며 특히 선비정신과 연암 박지원 그리고 다산 정약용에 대한 애정이 깊어 2011년에는 연암 박지원의 단편소설을 영어로 번역해서 미국에서 출판하기도 했다.

그런 그가 이 책을 집필하게 된 동기를 프롤로그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애초에 이렇게까지 한국과 연을 맺게 될지는 몰랐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한국 학교에 다니면서 한국 사회에서 제 친구들이 하나둘 생기고 저 또한 학교에서 제자들이 하나둘 늘어나면서 그 사람들에 대한 애정이 한국에 대한 애정으로 변화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어느새 한국은 저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중요한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대내외적으로 올해와 내년은 한국 국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중요한 시기에 저 역시 한국의 미래를 위해 힘을 보태보고 싶었습니다. 한국 사회에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고민하던 중 한국 사회의 문제들을 좀 더 객관적이며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인들이 국제적 전문가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본 한국의 문제들에 대한 조언을 듣고 이를 통해 더 나은 미래를 그려보길 희망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한 이 책은 세계적 전문가 13명이 한국의 현 사회적 문제들을 그들의 세계적 수준의 통찰을 통해 진단하고 미래를 그리는 책으로 완성되었다.

세계적인 석학들의 맞춤형 어드바이스

이 책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우리가 직면한 치명적이면서 매우 중대한 문제들을 세계적 석학들의 눈으로 한 권의 책에서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욱 큰 장점은 그들이 우리의 이야기를 우리 현실과 눈높이에 맞춰 맞춤형으로 해준다는 사실이다. 기존 세계적 석학들의 책이 그들 나라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쓰인 후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면 이 책은 시작점부터 그들이 한국의 현상을 정확히 이해한 후 그에 맞는 그들의 생각을 한국의 독자들을 대상으로 썼다는 것이다. 그 결과 그들의 제언과 통찰은 책 속에서 살아 숨 쉰다.

저자가 집필동기에서 밝힌 것처럼 그 어느 해보다 중요한 시기를 맞이한 대한민국. 그러나 매일 똑같은 프레임에 갇혀 매일 돌고 도는 이야기 속에서 답답해하고 있는 우리. 세계적 석학들의 객관적이며 깊이 있는 통찰과 제언을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상품정보안내

  •  주문 전 중고상품의 정확한 상태 및 재고 문의는 [판매자에게 문의하기]를 통해 문의해 주세요.
  •  주문완료 후 중고상품의 취소 및 반품은 판매자와 별도 협의 후 진행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 > 주문내역 > 주문상세 > 판매자 정보보기 >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부적합 상품 신고하기

신고하기
  •  구매에 부적합한 상품은 신고해주세요.
  •  구매하신 상품의 상태, 배송, 취소 및 반품 문의는 판매자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상품정보 부정확(카테고리 오등록/상품오등록/상품정보 오등록/기타 허위등록) 부적합 상품(청소년 유해물품/기타 법규위반 상품)
  •  전자상거래에 어긋나는 판매사례: 직거래 유도
3,000
1 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