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단원 지구와 우주
1. 지층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2. 퇴적암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3. 화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4. 화산 분출물과 화성암은 무엇일까요? 5. 지진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쉬어 가기: 화산 활동이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 확인 학습: 어휘 / 독해 2단원 생명 1. 씨가 싹 트고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조건은 무엇일까요? 2. 강낭콩은 어떤 한살이 과정을 거칠까요? 3. 식물의 한살이는 어떻게 다를까요? 4. 잎의 생김새에 따라 식물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5. 사는 곳에 따라 식물의 특징은 어떻게 다를까요? 쉬어 가기: 식물의 특징을 모방하여 만든 물건 확인 학습: 어휘 / 독해 3단원 운동과 에너지 1. 양팔저울로 물체의 무게를 어떻게 비교할까요? 2. 용수철저울로 물체의 무게를 어떻게 측정할까요? 3. 그림자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4. 그림자의 크기를 변화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5. 거울의 성질을 어떻게 이용할까요? 쉬어 가기: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전자저울 확인 학습: 어휘 / 독해 4단원 물질 1. 혼합물이란 무엇일까요? 2. 혼합물을 어떻게 분리할까요? 3.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4. 물이 수증기로, 수증기가 물로 변하는 현상은 무엇일까요? 5. 물은 어떻게 순환할까요? 쉬어 가기: 물의 상태 변화를 이용한 생활 속 예 확인 학습: 어휘 / 독해 *정답과 해설 (교재와 분리하여 책 속의 책 형태로 들어 있어요.) |
*왜 과학도 독해를 공부해야 할까요?
‘과학’ 교과서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다루는 내용이 깊고 다양해져요. 그래서 ‘과학’이 점점 더 어렵고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새로운 과학 개념과 어휘가 많아서 교과서 내용을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거든요.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요한 개념과 어휘를 익힌 다음 독해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국어 과목만 독해 연습을 해야 하는 게 아니에요. 낯선 개념과 읽어야 할 어휘가 많은 ‘과학’도 독해 연습이 꼭 필요해요. [과학도 독해가 먼저다]의 단계적인 독해 연습으로 어렵던 ‘과학’이 쉽고 재미있어져요! *왜 과학은 개념과 어휘를 익혀야 할까요? ‘과학’은 수학처럼 기초가 중요한 과목이에요. 개념이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용의 깊이와 폭이 확장되기 때문에 앞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 뒤의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과학’을 처음 배울 때부터 개념 하나하나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개념을 익히면 과학을 쉽게 공부할 수 있어요. '과학은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낯설고 어려운 교과 내용도 개념만 잡으면 척척 이해할 수 있어요. [과학도 독해가 먼저다]의 체계적인 개념 학습으로 알쏭달쏭하던 '과학'의 개념이 명쾌하게 정리돼요! ]] 구성과 특징 개념 - 어휘 - 독해 3단계 완성 [개념] 그림으로 쉽게 1. 그림으로 개념을 잡고 핵심 개념을 한눈에 파악하고 그림 덩어리로 기억할 수 있어요. 2. 한 문장으로 개념을 정리해요! 핵심 개념을 한 문장으로 또렷하게 정리할 수 있어요. [어휘] 문장으로 똑똑하게 3. 개념 어휘의 뜻을 알고 어휘의 정확한 뜻을 그림과 뜻풀이로 알 수 있어요. 4. 문장으로 개념을 다져요! 어휘를 문장에 직접 넣어 보며 개념을 확실하게 다질 수 있어요. [독해] 읽기+쓰기로 확실하게 5. 핵심 개념을 확인하며 글을 읽고 - 문단 요약어로 지문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을 미리 확인할 수 있어요. - 교과서 여러 쪽에 흩어져 있는 내용을 한 편의 지문에 짜임새 있게 담아, 핵심 개념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글의 구조를 파악하며 효과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어요. 6. 독해력을 키워요! - 어휘 새기기: ‘어휘 잡기’에서 익혔던 어휘를 독해 지문 속에서 다시 한 번 새길 수 있어요. - 바르게 읽기: 지문 내용을 정확하게 읽으며 ‘사실적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어요. - 깊이 읽기: [보기] 글과 연결해서 읽으며 ‘추론적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어요. 7. 구조도로 요약하여 쓰고 - 요약하여 쓰기 [단답형]: 지문을 구조화한 도표 안에 알맞은 어휘를 채우면서 글의 내용을 짜임새 있게 정리할 수 있어요. 8. 서술형 쓰기까지 익혀요! - 종합하여 쓰기 [서술형]: 배운 내용을 문장으로 정리하거나 실생활과 연결하면서 학습 내용을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