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장 영문법의 효과적인 학습법
왜 ‘우리는 영어를 잘 못한다’고 하는가? 010 ‘의미순’으로 영어의 문장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014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의미순 맵’ 018 제2장 문장 형식을 알아보자 1형식 문장 (SV) 022 2형식 문장 (SVC) 026 3형식 문장 (SVO) 030 4형식 문장 (SVOO) 032 5형식 문장 (SVOC) 036 There 구문 040 평서문 (긍정문 · 부정문) 044 의문문 048 명령문 054 감탄문 056 영어의 문장 구조를 간파하다 060 단문 062 중문 064 복문 066 제3장 문법 사항을 알아보자 동사 070 기본 시제 076 조동사 080 진행형 084 완료형 088 수동태 094 부정사 100 동명사 106 분사 110 비교 114 관계사 120 가정법 128 화법 134 무생물 주어 구문 138 강조 구문 142 제4장 문장을 만들기 위한 품사를 더 알아보자 명사 148 대명사 152 형용사 158 부사 162 전치사 166 접속사 170 감탄사 174 |
잘 못하는 이유를 알면 효과적인 학습법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성인 영어 학습자분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해서 초·중·고등학교 10년간, 대학까지 포함하면 총 12~14년 정도 영어를 배웠습니다. 그런데도 영어 원서 읽기나 외국인과의 소통은커녕 간단한 대화조차 입이 잘 안 떨어집니다. 우리는 왜 이렇게 영어를 어려워하고 잘 못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자주 하는 실수와 영어에서 ‘이것을 틀리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는 실수를 예로 들어 우리가 영어를 잘 못하는, 영어에 서투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유 ① 어순의 차이를 의식하지 못한다 우리말과 달리 영어는 어순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언어입니다. 우리말은 “그 남자는 사과를 먹었다.”를 “사과를 그 남자는 먹었다,” “사과를 먹었다, 그 남자는”과 같이 말의 순서를 바꿔도 의미가 통합니다. 하지만 영어는 의미가 전혀 통하지 않는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영어를 말하거나 쓸 때 꼭 피해야 하는 실수가 어순의 실수인데, 영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달라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이 어렵게 느끼는 것입니다. 이유 ② 주어를 종종 생략한다 우리말에서는 주어를 일부러 말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주어를 말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할 경우, 주어를 생략하고 “오늘 몇 시에 돌아올 거니?”, “7시쯤 됐을까?”와 같이 말합니다. 하지만 영어는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주어가 필요한 언어입니다. 우리말에 대한 감각을 그대로 영어에 적용하면 대화할 때 의미가 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유 ③ 의미가 아닌 단어에 얽매인다 영어 문장의 의미를 생각하지 않고 우리말 그대로 영어로 바꾸면 원어민이 사용하지 않는 어색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예를 들어 커피숍에서 “나는 홍차를 마실 건데, 너는 뭘 마실래?” “나는 커피.”라는 대화를 나눈다고 가정합시다. 이때 “나는 커피.”라는 우리말 문장 그대로 영어로 바꾸면 그 의미가 달라집니다. ---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