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한글을 지킨 사람들
중고도서

한글을 지킨 사람들

: 세종 대왕부터 헐버트까지

정가
12,000
중고판매가
1,200 (90%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2014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3년 10월 05일
쪽수, 무게, 크기 208쪽 | 492g | 188*235*15mm
ISBN13 9788937886256
ISBN10 8937886251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글 : 김슬옹
김슬옹 선생님은 철도고등학교 1학년(1977년) 때 한글 운동에 뛰어들어 우리 말글의 슬기롭고 옹골찬 옹달샘이 되고자 ‘슬옹’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 35년간의 한글 운동과 연구 공로로 문화체육부장관상(2012년)을 받았고 EBS 한글 지킴이로 뽑힌 바 있습니다. ‘동아리’라는 말을 백기완 선생님과 함께 처음으로 퍼뜨리기도 했습니다.
연세대 국어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상명대학교에서 훈민정음 연구로 문학 박사, 동국대에서 맥락 연구로 국어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한글학회 연구위원, 한글문화연대 운영위원, 외솔회 이사, 세종한말글연구소 대표, 전국독서새물결모임 독서A교육연구소장. 짚신문학회 부회장 및 문광부 국어심의위원, 한글박물관 자문위원, 세종시 자문위원, 한글날 공휴일 지정 자문위원, 2012 한글날 기획행사 책임 연구위원, 2013 한글날 큰잔치 추진위원을 맡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한글을 지킨 사람들》외 37권(공저 포함)이 있습니다.
그림 : 이량덕
대학과 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습니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어린이책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작품으로는 《세상을 바꾼 위대한 책벌레들》, 《나는야 미생물 요리사》, 《맛의 거리》, 《눈사람이 엄마를 데려갔어요》, 《떴다! 지식 탐험대》 등이 있고 그린 책으로는《한글을 지킨 사람들》이 있습니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말과 글이 통하는 세상을 이룬 한글,
한글을 지켜온 사람들의 이야기!

* 세종 대왕은 왜 한글을 만들었을까?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한글’로 글을 적고, 읽으며 세상 만물과 소통합니다. 그럼 이전에는 어땠을까요? 우리 조상들은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그리고 널리 쓰이기 전까지 입으로는 ‘한국어’를 말하면서 글은 ‘한자’로 써야 했습니다. 한자는 아주 어렵고 오랫동안 공부해야 했기 때문에 양반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글을 읽고 쓸 수 없었지요. 글자를 모르니 교육을 받을 수도, 지식수준을 높일 수도 없었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세종 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글로써 백성들을 가르치고, 소통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 위대한 문자, 한글을 지킨 사람들
한글을 창제한 세종 대왕은 신하들의 반발을 우려해 비밀리에 가족들과 실험을 했습니다. 절대 음감이었던 정의 공주는 세종의 소리 실험을 도왔지요. 왕이 된 세조와 성종은 세종이 만든 훈민정음을 널리 알리기 위해 여러 책을 펴내고, 직접 한글을 사용했습니다. 한편 집현전 학자들은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해례본을 만들었어요. 《훈민정음》해례본은 새 글자인 훈민정음에 대해 설명한 해설서입니다. 신숙주는 여기에 많은 기여를 했습니다. 우리 소리의 표준을 정한《동국정운》을 집필하기도 했어요. 최세진은 《훈몽자회》라는 책을 통해 한글 교육의 길을 열었지요.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과 《구운몽》을 지은 김만중은 민중과 소통하는 한글의 힘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우리글로 문학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주시경, 최현배, 이극로는 일제강점기, 우리 말글을 일제로부터 지키기 위해 한 몸 바친 분들입니다. 우리말 문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민족의 얼이 담긴 우리 말글을 잃지 않기 위해 일생을 바쳤습니다.

미국인 헐버트는, 한글과 조선을 사랑한 외국인으로, 최초로 한글로만 쓴 교과서를 직접 펴냈습니다.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선 사람이지요. 《한글을 지킨 사람들》에서는 이렇게 한글을 지키는 데 노력한 12명의 인물들을 만나 보면서,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 그리고 이를 지켜 온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세계가 인정한 한글의 우수성!

한글은 매우 짜임새 있고 조화롭게 만들어진 과학적인 글자입니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졌을 당시에는 28개의 글자였고, 오늘날에는 자음과 모음을 합쳐 24자를 사용하는데, 이 24자로 무려 11,172개의 글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 24개의 기본 글자들도 만들어진 원리가 우리의 발성 기관과 비슷하여 직관적으로 익힐 수 있는데다가 모양이 번듯하고 대칭을 이루어 읽고 쓰기도 쉽습니다. 이렇게 과학적이고 우수한 한글은 이제는 세계의 석학들에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 중고품절 상태입니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