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만화로 보는 좌파의 역사
중고도서

만화로 보는 좌파의 역사

: 모두, 좌현으로!

정가
13,000
중고판매가
9,500 (27%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3월 31일
쪽수, 무게, 크기 121쪽 | 504g | 210*285*20mm
ISBN13 9791161691954
ISBN10 1161691952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  판매자 :   판매^^!   평점5점
  •  특이사항 : 상태 좋음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3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프랑스 정치철학자들이 들려주는 재미있는 좌파의 역사 속으로!
‘좌파는 분열로 망한다’는 말이 나온 비하인드 히스토리 공개!
양극화가 절정을 치닫는 팬데믹 시대, 좌파의 돋보기로 본 역사와 사회,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


억압과 착취가 없는 인간세계의 지상낙원. 『유토피아』를 지은 토마스 모어의 구상이었다. 이 책이 나왔던 18세기 유럽은 왕실과 귀족의 수탈로 민중들은 빈곤과 궁핍함에서 허덕여야 했다. 그 후 1789년 프랑스에서 좌파가 등장한 이후,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의회와 왕족과 귀족의 권위를 복구하려는 수구파 세력 간의 갈등과 전쟁이 일어났다. 그리고 승리의 여신은 영원히 한 곳에 머무르는 법이 없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좌파는 사회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초기 사회주의는 민중과 노동자들을 착취하지 않고 공정하게 이익을 나누고 평등한 권리를 행사하는 이상향을 주장했다. 그럼으로써 세금과 일자리를 빼앗기고 비참하게 살아가던 당시 프랑스의 민중들이 가난과 기아에서 벗어나서 평등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프랑스 좌파의 목표였다. 생시몽, 푸리에, 카베 등 18세기 후반 프랑스 철학자들은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자로 불리면서 보다 더 정의로운 이상세계를 꿈꿨다.

1867년 『자본론』으로 유럽 철학계의 스타가 된 칼 마르크스와 함께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떠오르면서 계급갈등과 그 해결책 모색이 정치사상적 화두로 등장했다. 프랑스 혁명이 본래 제3신분의 영향력이 커진 데서 비롯된 것이 사회계급으로서의 갈등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이후 절대왕정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세웠지만 각기 다른 속셈을 가진 정부 각료로 이뤄진 임시정부는 의견일치를 얻을 수 없었다.

프랑스 혁명의 주동자층이었던 당시 시민계층과 부르주아지들로 이뤄진 프랑스 정부는 조금씩 민심에서 멀어져가고 선거결과에서도 패하고 만다. 그렇지만 왕정복고와 공화정이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조금씩 시민사회의 요건을 갖추기 시작한다.『만화로 보는 좌파의 역사: 모두, 좌현으로!』는 좌파를 통해서 민주시민사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만화로 보여준다.

유럽사와 정치사의 근현대를 지탱하는 좌파의 역사!
양차 세계대전을 치른 뒤 드러나는 유럽 사회주의 좌파의 변천사!


1882년 프랑스 최초 사회주의 정당인 POF가 등장하면서 다양한 사회주의 운동 분파가 나타난다. CGT(노동총연맹), FTSF(프랑스 사회주의노동자연맹)과 같은 분파들과의 단일화를 위해 장 조레스가 노력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 막으려 하자 암살되면서 좌파는 전쟁에 찬성하는 우파에 밀려 의회에서 세력이 약해진다.

러시아에서는 마르크스주의로 국가를 세우려는 레닌이 등장하고 프랑스는 러시아 공산당의 영향력에 맞서 SFIO(노동자인터내셔널 프랑스지부)와 SFIC(국제공산주의자 프랑스지부)와 같이 사회주의 진영이 나뉘게 된다. 그럼에도 가까스로 연합전선을 형성해서 선거에 승리하지만 스페인 내전과 히틀러가 등장하면서 밀려난다. 그리고 스탈린과 히틀러의 불가침조약으로 파시즘이 유럽전역에 퍼진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좌파는 레지스탕스로 대거 참여하고 1944년에는 나치에 맞선 승리자로서 정부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후 1960년대 미국과 소련의 냉전을 견디면서 프랑스는 행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드골이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그 후 프랑스의 좌파는 문화지식인으로서의 활동을 하면서 급진적인 젊은 세대들이 질서와 권위를 거부하면서 사회주의 정당으로서의 위기를 맞게 된다.

자유주의 경제사상을 바탕으로 한 신자유주의가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 영국의 대처 수상을 위시로 강대국의 경제이념이 되면서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당도 경제적 양극화와 세대 간의 갈등을 해결할 방안을 모색해야 했다. 그로인해 분열과 연합을 반복하면서 우파와도 동거정부를 형성한다. 소련의 해체와 자유시장체제의 심화, 유권자들의 변화를 따라잡기 위해서 애쓰지만 여전히 논쟁과 갈등은 이어지고 있다.

- 예수가 좌파라구?

돈과 권력자들의 억압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해 예수는 폭력도 불사했다. 그리고 빈부의 차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평등한 사랑을 실천했다. 가장 낮은 곳에서 민중과 함께하고자 하는 태도는 좌파의 그것과 다름이 없다.

- 처음에 좌파는 보통선거를 싫어했다는데?

1848년 12월 10일 나폴레옹 황제 조카인 루이 나폴레옹이 선거에 이겨서 쿠데타를 일으켜서 다시 왕정복고를 이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좌파는 대중을 선동하는 자가 선거를 이기면 체제를 뒤바꾸는 권력을 가진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의회의 중요성에 대해 교훈을 얻었다.

- 좌파는 왜 의견일치가 안 될까?

프랑스의 사회주의는 왕정을 견제하기 위하 의회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점점 세력을 세분화했다. 그러다가 의회구성원인 부르주아지 계급을 비판하고 프롤레타리아 정권을 목표로 하는 공산주의와 모든 정부권력을 거부하고 오로지 ‘밑으로부터의 혁명’을 주장하는 아나키즘과도 뿌리를 함께하면서 연관이 깊다. 이러한 경향이 현대에 들어서면서 권력투쟁을 위한 갈등과 싸움으로 변질됨에 따라 연합과 분열을 이어왔다. 반복된 분열과 갈등으로 전쟁을 겪어야 했고 정권을 얻기 위해서는 우파와도 동거정부를 형성하기도 했다. 이런 지난한 싸움과 연대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9,5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