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3년 07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152*225*20mm |
ISBN13 | 9791140705184 |
발행일 | 2023년 07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8쪽 | 152*225*20mm |
ISBN13 | 9791140705184 |
1장 네트워크 기본 개념을 알아보자 01 네트워크 의미: 네트워크란 02 네트워크의 연결 형태와 종류: 네트워크 연결 방법 03 네트워크 구성 요소: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데 필요한 것 04 데이터 전송 원리: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하기 2장 데이터를 주고받는 원리를 알아보자 05 프로토콜: 통신하는 데 필요한 약속 06 네트워크 계층: 효율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계층 구조 07 네트워크 모델: 각 기기가 통신하는 계층의 모델 08 TCP/IP: 인터넷으로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09 IP 주소: 출발지와 목적지 네트워크를 특정하는 식별자 10 IPv4/IPv6: 길이가 다른 IP 주소 2개 11 MAC 주소: 기기나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 12 ARP: 통신할 때 MAC 주소를 조사하는 프로토콜 13 포트 번호: 애플리케이션 종류와 클라이언트 식별자 14 회선 교환 방식: 유선 전화에서 사용되는 일대일 연결 방식 15 패킷 교환 방식: 데이터를 분할해서 전송하는 통신 방식 16 라우터: LAN끼리 연결해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비 17 액세스 포인트: 무선 LAN 전파를 모으는 장치 18 허브(집선 장치): 여러 회선을 모으는 장치 19 스위치(스위칭 허브): 회선을 모아서 연결 대상을 전환하는 장치 20 케이블: 데이터를 전송하는 회선 21 커넥터: 케이블을 이어 주는 연결부 22 DHCP: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23 NAT/NAPT: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능 24 라우팅: 통신 경로를 제어하는 기능 25 기본 게이트웨이: 라우터가 판단할 수 없는 미지의 패킷을 보내는 곳 26 서브넷: 네트워크를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구조 3장 네트워크 종류와 구성을 알아보자 27 클라이언트 서버형과 피어 투 피어형: 장치를 연결하는 방식의 차이 28 LAN: 제한된 범위의 네트워크 29 이더넷: 오피스 내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30 무선 LAN: 전파로 장치를 연결한 네트워크 31 IEEE 802.x 규격: LAN을 규정하는 규격 32 WAN: 넓은 범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33 VLAN: 세그먼트를 분할하거나 결합하는 기술 34 SDN: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집약하는 기술 35 LAN끼리 연결한 네트워크: 각 세그먼트를 모아 구성되는 기업의 LAN 36 인터넷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넷을 라우터로 중계하는 네트워크 37 모바일 네트워크를 활용한 네트워크: 모바일에서 인터넷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4장 인터넷 구조를 알아보자 38 인터넷 구조: 네트워크끼리 연결하는 광범위한 네트워크 39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는 규약 40 이메일을 주고받는 구조: SMTP와 POP를 사용한 이메일 송수신 41 웹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구조: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의 통신 42 URL/URI: 인터넷상의 장소를 특정하는 식별자 43 HTTP/HTTPS: 웹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44 DNS: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관리하는 구조 45 ICMP: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프로토콜 46 텔넷: 서버에 원격 로그인하는 프로토콜 47 SSH: 암호화해서 원격 접속하는 프로토콜 48 FTP: 파일을 송수신하는 프로토콜 49 NTP: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 50 Ajax, REST API: 그 밖의 웹 기술과 프로토콜 5장 클라우드 구조를 알아보자 51 클라우드 구조: 클라우드 구성 요소 52 서버 가상화: 서버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기술 53 분산 기술: 노드가 자율적으로 통신하는 기술 54 IaaS/PaaS/SaaS/DaaS: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형태 55 클라우드 컴퓨팅/온프레미스: 인터넷상의 리소스를 이용하는 기술 56 에지 컴퓨팅: 단말기에 가까운 위치에 서버를 분산 배치하는 구조 57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동작 환경을 가상으로 구축하는 기술 58 마이크로서비스: 기능을 조합하여 앱을 실현하는 기술 59 AWS: 아마존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60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마이크로소프트가 운영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61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구글이 운영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62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형태 63 CDP/DDP: 데이터를 관리하는 플랫폼 6장 모바일·무선 통신의 구조를 알아보자 64 모바일 네트워크: 휴대 단말기, 기지국, 교환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65 4G/5G: 모바일 네트워크 통신 규격 66 로컬 5G: 특정 구역에 구축하는 5G 네트워크 67 이동 통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 68 Wi-Fi: IEEE 802.11 시리즈에서 무선 접속을 하는 기술 69 공중 무선 LAN: 공공시설이나 점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LAN 70 LPWA: 저소비 전력·장거리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 240 71 블루투스/NFC: 근거리에서 주변 기기나 IC 카드와 통신하는 기술 72 센서 네트워크: 다수의 센서를 연결한 네트워크 7장 보안 구조를 알아보자 73 보안의 기본과 개념: 자산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것 74 멀웨어/컴퓨터 바이러스: 악영향을 미치는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75 암호화 기술: 해독 불가능한 상태로 통신하는 기술 76 공통키 암호화 방식/공개키 암호화 방식: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복호화하는 기술 77 서버 인증서/인증 기관: 접속할 곳의 정당성을 증명하는 구조 78 SSL/TLS: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 79 방화벽: 외부에서 오는 공격을 제어하는 구조 80 DMZ: 내부 네트워크와 분리시킨 세그먼트 81 IDS/IPS: 내부 네트워크로 침입을 탐지하는 시스템 82 VPN/터널: 네트워크 내 가상의 전용선을 구축하는 기술 83 트래픽 감시/로그 감시: 네트워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
이 책은 큰 챕터 하위 소주제를 개념별로 쪼개어서 목차가 구성되어있다.
장점은 하나의 개념만 다루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개념별로 잘 설명이 되어있다.
스위치를 예로들면, 스위치에 대해 말로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간결하면서 그림과 같이 설명해준다.
한번쯤 정리해놓고, 꺼내보면 좋을 네트워크 지식이고
인터넷, 클라우드, 무선통신, 보안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어서
개발자라면 당연히 알고 있으면 좋을 내용인 것 같다.
2023년 8월 20일에 읽기 시작하여 8월 27일에 마무리함.
개인적으로 길벗출판사의 `그림으로 이해하는` 시리즈는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책의 디자인은 귀여우며, 컴팩트한 사이즈로 휴대성이 뛰어납니다. 무엇보다도, 이 시리즈는 네트워크나 클라우드 같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주제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특징은 이 시리즈의 책이 지식을 확장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만듭니다. 즉, 이 책은 독자에게 `이 주제를 더 깊게 탐구하고 싶다` 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특히 네트워크의 기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와줍니다.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와 기술을 그림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실질적인 이해에 중점을 둡니다. 이런 방식은 독자가 어려운 개념을 빠르게 파악하고 익숙해지도록 도와줍니다. 이 책은 전문가나 고급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깊이 있는 분석은 제공하지 않지만, 초보자나 주니어 개발자에게는 매우 유용한 자료로 작용합니다.
이 책은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네트워크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접근성이 좋습니다. 복잡한 용어나 이론을 그림을 활용해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므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이 책은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와 `네트워크의 기본 작동 원리는 무엇인가` 를 알려주는 좋은 시작점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 책은 복잡한 네트워크의 세계를 알기 쉽게 단순화해주며,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더 깊은 이해를 원한다면 추가적인 공부가 필요하지만, 이 책은 네트워크 분야에 첫 발을 디딘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오늘은 책 한권을 리뷰해 보려고한다.
리뷰 전 간단하게 개인적인 이야기를 조금하고 싶다.
수포자 (수학을 포기한자) , 영포자(영어를 포기한자) 처럼 나는 부끄럽지만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네포자(네트워크를 포기한자) 였다.
왜냐면 네트워크 공부가 너무나 지루하고 어렵고 따분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공부할 시기를 놓쳤다.
지금 IT 업계에서 근무한지 벌써 6년이 넘었다. 그러다버니 서당개가 되어 어느정도 네트워크에 대한 얘기가 나왔을때 흐름을 따라가긴해도 깊게 들어가면 바보가 되고 만다.
하지만 이 네트워크라는게 경력이 쌓일 수록 반드시 필요한 시기가 오는 것을 느낀다. 특히 요즘은 단일 서버에서 모든게 처리되는 방식은 지났다. 마이크로서비스라는 개념이 등장했고 각 서비스간 네트워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알고 있는것은 매우 중요해졌다.
문득 네트워크를 다시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이 책을 감히 네트워크 공부를 시작 혹은 다시 시작하기에 아주 괜찮은 책이라고 추천한다.
그에 대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먼저 이 책은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시작해, 인터넷, 보안 등 네트워크 관련된 내용을 아주 쉽게 설명한다. (물론 깊게 공부하기 위해서는 다른 수단 이나 매체등을 이용해서 조금더 공부하는게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이책은 아주 재밌게 그리고 쉽게 술술 읽힌다. 내가 네포자(네트워크를 포기한 자) 가 된 이유는 바로 재미가 없어서 인데, 이 책은 재밌게 술술 읽혀 짧은 기간에 완독할 수 있었다. 내가 긴 시간을 투자한 것도 절대 아니다. 출퇴근을 위해 지하철을 오고가면서 읽었는데 일중일 안에 책을 다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그림을 통해 개념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해주다보니 더 흥미있게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은 말그대로 네트워크에 대한 얇고 넓은 지식을 공유한다. 만약 여러분이 실제 네트워크 관련된 직무를 수행해야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은 조금 부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같이 네트워크에 대한 작업을 하진 않지만 그래도 네트워크를 어느정도 알아야하는 개발자 같은 경우에는 넓은 네트워크 기술과 지식을 빠르게 얻을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
혹시나 지금 당장 네트워크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한번쯤 이책을 통해 네트워크를 시작하셨으면 좋겠다.
준비한 모든것이 실전에 쓰이진 않지만 준비했던 것이 필요할 때가 온다면 그것 때문에 승리한다고 한다.
언젠가 네트워크 지식도 여러분에게 큰 도움이 되는 날이 올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