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PDF
인공지능 수업 혁명
eBook

인공지능 수업 혁명

: 초등 프로젝트 수업으로 만나는 AI 교육

[ PDF ]
신정 | 포르체 | 2023년 08월 25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 판매지수 108
정가
11,900
판매가
11,900(종이책 정가 대비 30% 할인)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PC 뷰어 이용시 하이라이트 기능 사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8월 25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파일/용량 PDF(DRM) | 16.86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185쪽?
ISBN13 9791192730721

카드 뉴스로 보는 책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프롤로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1장 AI 프로젝트 수업

1. AI 프로젝트 수업이란? 12
2. AI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14
3. AI 프로젝트 수업을 받은 학생의 이야기 16

2장 교실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기초

1. 진로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20
2. 인권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30
3. 안전·건강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40
4. 인성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57

3장 교실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심화

1. 환경·지속 가능 발전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72
2. 민주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83
3. 경제·금융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94
4. 다문화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103
5. 독도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111
6. 프로젝트 수업 후 학생들의 자율 활동 119

4장 인공지능으로 변화하는 미래 교육

1. 교실에서 만나는 메타버스 수업 126
2. 교실에서 만나는 데이터 수업 132
3.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피지컬 컴퓨팅 142
4.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147
5. 인공지능으로 무엇이든 표현하는 세상 151
6.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은 예술일까? 155
7. 미래 교육이 인공지능을 만났을 때 158
8. 미래 교실 안 교사의 역할 160
9. 인공지능 시대, 교육 공동체에 전하는 말 163

에필로그. AI 프로젝트 수업으로 ‘행복’한 우리 166

부록 1. 프로그래밍과 친해질 수 있는 거대 피아노 프로젝트 수업 171
부록 2. 순서도 작성 방법 및 예시 178

저자 소개 (1명)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현재 학교에서 진행되는 인공지능 교육은 단편적이거나 일시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 그 내용이 실생활과 관련이 없어 학생들은 수업 후 배운 내용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교과서와 생활 속에서 만나는 문제를 학생들이 스스로 찾고(자기주도성),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함께 탐색하여(창의와 혁신), 그 방법을 나눌 수 있는(포용성과 시민성) AI 프로젝트 수업을 고안하였다.
--- p.7, 「프롤로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중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은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능력을 키우고 개개인의 아이디어를 서로가 피드백해 줄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나는 모둠 활동에서 배운 것이 가장 많다. 모둠원들이 아이디어를 모아서 주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 방법을 생각해내고 코드를 설계한다. 컴퓨터를 잘하는 친구도, 코딩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는 친구도, 모두 함께 아이디어를 내고 서로에게 배울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좋았다.
--- p.17, 「AI 프로젝트 수업을 받은 학생의 이야기」 중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책 또는 꿈과 관련된 책을 함께 읽은 후, 책을 국어 교과의 독서 단원과 연계하여 자신의 꿈에 영향을 준 책 속 인물을 정하고 그 이유를 생각하는 활동을 한다. 초등학교 6학년의 경우, 6학년 1학기 국어 8단원 ‘인물의 삶을 찾아서’ 또는 6학년 2학기 국어 1단원 ‘작품 속 인물과 나’와 연계한다.
--- p.22, 「진로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중에서

기본 키오스크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면, 어떤 부분을 수정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키오스크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우선, 시각장애인은 앞을 보기 어렵기에 매장에 어떤 메뉴가 있는지 음성으로 안내되어야 한다. 또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화면을 누르거나 자판을 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원하는 메뉴를 말하였을 때 그 음성이 인식되어야 한다.
--- p.36, 「인권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중에서

핵심 속성이란 예측 속성을 바꾸는 값이고, 예측 속성은 예측해야 할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부 시간과 성적의 경우 공부 시간에 따라 성적이 달라지고, 우리는 성적을 예측하려고 하기 때문에 핵심 속성은 ‘공부 시간’, 예측 속성은 ‘성적’이 된다. 마찬가지로 100년 후 연평균 기온을 예측하는 경우, 연도에 따라 기온이 바뀌고, 예측할 값은 연평균 기온이기 때문에, 핵심 속성은 ‘연도’, 예측 속성은 ‘연평균 기온’이 된다.
--- p.79, 「환경·지속 가능 발전 교육에서 만나는 AI 프로젝트 수업」 중에서

퀵드로우 인공지능은 위 데이터가 학습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린 계단 그림을 보고 다른 사용자들의 계단 그림과 비슷하다고 판단하여 계단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직접 그린 계단 그림 또한 자동으로 구글 낙서 데이터의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가 인공지능의 판단에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다.
--- p.141, 「교실에서 만나는 데이터 수업」 중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단점도 물론 있다. 완성된 단계의 인공지능이 아니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있을 수 있다는 것, 학생들의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 등이다. 또한 질문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수십 권의 책을 뒤져보고 해결되지 않아 울어 보는 경험이 학생들에게 필요한 순간도 있다.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초등학생일수록 이런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생성형 인공지능의 단점만 바라보며 피하기보다 그 이점을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 p.150,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중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교육에 도입되더라도 학생에게 질 좋은 지식을 전달하는 교사의 역할에는 변함이 없다. 각 수업의 학습 목표에 알맞은 동기 유발과 스토리텔링은 인간인 교사가 가장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세계화와 관련한 사회 수업 시간에 듣는 선생님의 미국 여행 이야기 하나가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어떤 맞춤형 자료보다 기억에 잘 남을 수 있다. 사람이 가진 경험에 대한 각자의 감정과 느낌은 사람이 가장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161, 「미래 교실 안 교사의 역할」 중에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AI를 활용하여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교실,
미래 교실의 훌륭한 선생님은 AI를 활용한다!


교실에서 생성형 AI의 도움을 잘 활용한다면 현실적인 문제로 실현하지 못했던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제를 생성하고 채점한 뒤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 데이터를 만드는 일은 이제 AI가 하게 될 것이다. 구글의 수석 엔지니어가 만든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중심 학교인 알트스쿨에서는 이미 AI 활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AI를 교실에 도입한다면 교사의 역할은 무엇이 될까?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는 교사의 역량은 무엇일까? 저자는 질 좋은 지식을 전달하는 교사의 근본적인 역할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 예측한다. 단, AI 기술을 무엇을 위해 사용할지 교육하는 역할의 비중이 더 커질 것이다. 《인공지능 수업 혁명》은 오늘날 바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에듀테크 기술을 소개하며 교실의 디지털 전환 방법을 제안한다. 동시에 미래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AI를 통해 변화할 교육의 전망에 대해 교육 공동체에게 전하고자 한다. AI를 활용하여 더 나은 교육을 하는 방법을 이 책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시대, 교사의 역할은 인공지능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달려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교육하라!


학생들은 아날로그적 감성과 경험을 디지털로 공유하는 것이 일상인 시대에 살고 있다. 겪었던 일을 SNS에 공유하고 친구들과는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나누며 방과 후에는 바깥이 아닌 메타버스 속에서 모임을 가진다. IT 기술을 활용하는 데 익숙한 학생들은 약간의 AI 교육만 있어도 이를 활용하여 생각을 나누는 방법을 쉽게 깨닫는다. 자신의 질문이 틀렸을까 두려워하는 학생은 AI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거리낌 없이 자신의 의견을 드러낼 수 있고 예술을 어려워하는 학생은 생성형 AI를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더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AI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나누는 도구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해 교사가 지도해 주는 방법을 소개한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