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3년 10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256쪽 | 190*260*60mm |
ISBN13 | 9788931712186 |
ISBN10 | 8931712189 |
발행일 | 2023년 10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256쪽 | 190*260*60mm |
ISBN13 | 9788931712186 |
ISBN10 | 8931712189 |
ETS 토익 정기시험 기출문제집 1000 Vol.3 READING 리딩
16,020원 (10%)
ETS 토익 정기시험 기출문제집 1000 Vol.3 LISTENING 리스닝
16,020원 (10%)
2023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2,3급) 상
13,950원 (10%)
2023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2,3급) 하
13,500원 (10%)
2023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한국사 기출 500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1,2,3급)
17,550원 (10%)
『1권』 제1편 산업안전관리론 Chapter 01 안전보건관리의 개요 (1) 안전과 생산[안전관리(safety management)] 1-2 1. 안전관리 1-2 2. 안전관리의 목적(안전의 가치, 이념) 1-2 (2) 안전 용어 정의 1-3 1. 안전사고(accident) 1-3 2. 재해(loss, calamity) 1-4 3. 산업재해(industrial losses) 1-4 4. 작업환경 측정 1-4 5. 안전보건진단 1-4 6. 중대재해 1-4 7. 안전사고와 부상의 종류 1-4 8. ILO(국제 노동 통계)의 근로불능 상해의 종류 1-5 9. 공해와 사상 1-5 10. 직업병 1-6 11. 페일세이프(fail safe) 1-6 12. 사건(Incident) 1-6 13. 위험(Hazard) 1-6 14. 위험도(Risk) 1-6 15. 근로자 1-6 16. 사업주 1-6 (3) 안전보건관리 제이론 1-7 1. Webster 사전에 의한 안전 정의 1-7 2. H.W. Heinrich의 안전론 정의 1-7 3. J.H. Harvey의 3E 1-7 (4) 무재해운동 1-8 1. 무재해운동의 정의 1-8 2. 무재해운동의 기본이념 3대원칙 1-8 3. 무재해운동의 3요소(3기둥) 1-8 4. 무재해운동의 3이념 1-9 5. “무재해”라 함은 무엇을 뜻하는가(무재해의 용어의 정의) 1-9 6. 무재해운동의 시간계산방식 1-9 (5) 안전활동 기법 1-10 1. 위험예지훈련의 4단계(문제 해결 4단계) 1-10 2. 위험예지훈련의 종류 1-10 3. 문제해결 8단계 4라운드 1-12 4. 집중 발상법(Brain Storming:BS) 1-12 5. 전체 관찰방법 1-12 6. 안전감독 실시 방법(STOP:Safety Training Observation Program) 1-13 7. 위험예지응용기법의 종류 1-14 (6) 안전 관련 역사 1-15 1. 유 럽 1-15 2. 미 국 1-15 3. 우리나라 1-16 · 출제예상문제 1-17 Chapter 02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영 (1)산업안전보건관리 체제 1-30 1. 계획의 기본방향 1-30 2. 계획의 구비조건 1-30 3. 계획 작성(수립)시 고려사항 1-30 (2) 안전보건관리 조직형태 1-31 (3) 안전관계자 업무 1-32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1-32 2. 안전관리자의 업무 1-32 3. 법적 용어정의 1-32 (4) 안전보건관리계획 1-34 1. 재해 요소와 발생 모델 1-34 2. 관리감독자 업무 내용 1-34 3. 안전관리계획 작성시 고려해야 할 사항 1-34 4. 대책의 우선순위 결정시 유의사항 1-34 5. 안전보건관리계획 내용의 주요항목 1-34 · 출제예상문제 1-35 Chapter 03 재해조사 및 분석 (1) 산업재해조사 1-41 1. 산업재해의 직·간접원인 1-41 2. 재해(사고)조사방향 1-42 3. 재해(사고)조사시의 유의사항 1-42 (2) 산업재해발생 원인분류 1-43 1. 재해발생 메커니즘(mechanism) 1-43 2. 산업재해발생의 mechanism(형태) 3가지 1-44 3. 재해 법칙 1-44 4. 산업재해발생 조치순서 1-45 5. 미국의 PDCA법 1-46 6. 하인리히 산업재해예방의 4원칙 1-46 7. 하인리히 사고예방대책 기본원리 5단계 1-46 (3) 산업재해통계 및 분석 1-54 1. 목 적 1-54 2. 천인율 1-54 3. 빈도율(도수율)(F.R:Frequency Rate of Injury) 1-54 4. 강도율(S.R:Severity Rate of Injury) 1-55 5. 종합재해지수(도수강도치)(F.S.I:Frequency Severity Indicator) 1-55 6. 안전활동율(미국 R.P.Blake:브레이크) 1-55 7. 환산강도율 및 환산도수율 1-56 8. Safe T Score 1-56 (4) 산업재해코스트 계산방식 1-56 1. 하인리히(H.W. Heinrich)의 재해코스트 산출방식 1-56 2. 시몬즈(R.H. Simonds)의 재해코스트 산출방식 1-57 3. 재해사례연구의 진행 단계 1-58 4. 산업재해 통계도 1-59 · 출제예상문제 1-60 Chapter 04 안전점검 및 검사·인증·진단 (1) 안전점검 1-71 1. 안전점검의 정의 1-71 2. 안전점검의 의의 1-71 3. 안전점검의 종류(점검주기에의 구분) 1-71 4. 점검방법에 의한 구분 1-72 5. 안전점검의 직접적 목적 1-72 6. 안전점검 및 진단의 순서 1-72 7. 안전점검시 유의사항 1-73 8. Check List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1-73 9. Check List 판정시 유의사항 1-73 (2) 안전인증 1-75 1. 안전인증대상 기계 1-75 2. 안전인증 면제·취소·사용금지 대상 1-76 3.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의 종류 1-77 4.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 확인 제품의 표시내용(방법) 1-78 (3) 안전보건진단 및 검사 1-79 1. 안전보건진단의 종류 1-79 2. 안전검사 1-79 3. 자율검사 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 1-80 4. 지정검사기관의 지정취소 등의 사유 1-80 · 출제예상문제 1-81 Chapter 05 보호구 및 안전보건표지 (1) 보호구 1-87 1. 정 의 1-87 2. 보호구 선택시의 유의사항 1-87 3. 안전인증보호구 1-87 4. 안전인증 기관의 확인 1-88 (2) 보호구의 종류 및 특징 1-89 1. 안전모 1-89 2. 안전대 1-90 3. 호흡용 보호구 1-91 4. 보안경 1-92 5. 안전화 1-93 6. 보호면 1-94 7. 방음보호구 적용범위 1-94 (3) 안전보건표지 1-95 1. 산업안전보건표지 종류 1-95 2. 안전보건표지판의 크기 및 표준기준 1-96 3. 근무중 안전완장을 항시 착용하여야 하는 자 1-97 4.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1-97 5. 안전보건표지의 색도기준 및 용도 1-98 6. 안전표찰을 부착하여야 할 곳 1-98 (4) 색채조절(color conditioning) 1-99 1. 색채조절의 목적 1-99 2. 색의 3속성 1-99 3. 색의 선택 조건 1-99 4. 안전증표의 도형 및 표시방법 1-99 · 출제예상문제 1-100 Chapter 06 산업안전관계법규 (1) 산업안전보건법 1-108 제1장. 총칙 1-108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109 제3장. 안전보건교육 1-110 제4장. 유해·위험 방지 조치 1-111 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111 제6장. 유해·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113 제7장.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115 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115 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117 제10장. 근로감독관 등 1-117 제11장. 보칙 1-118 제12장. 벌칙 1-118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1-120 제1장. 총칙 1-120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121 제3장. 안전보건교육 1-125 제4장. 유해·위험 방지 조치 1-126 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130 제6장. 유해·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133 제7장.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136 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137 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138 제10장. 보칙 1-138 제11장. 벌칙 1-139 산업안전보건법 영·규칙별표 1-140 (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1-151 제1장. 총칙 1-151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제 등 1-152 제3장. 안전보건교육 1-153 제4장. 유해·위험 방지 조치 1-154 제5장.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 1-159 제6장. 유해·위험 기계 등에 대한 조치 1-162 제7장.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1-164 제8장. 근로자 보건관리 1-166 제9장.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168 제10장. 근로감독관 등 1-169 제11장. 보칙 1-169 · 출제예상문제 1-187 제2편 산업심리 및 교육 Chapter 01 산업안전심리 (1) 산업심리 개념 및 요소 2-2 1. 산업심리와 인사심리 2-2 2. 인사관리의 중요기능 2-2 (2) 인간관계와 활동 2-3 1. 인간관계의 기제(메커니즘:mechanism) 2-3 2. 인간관계 관리방법 2-4 3. 모랄 서베이(morale survey) 2-5 4. 양립성[일명 모집단 전형(compatibility, 兩立性)] 2-5 (3) 직업적성과 인사관리 2-6 1. 직업적성 2-6 2. 성격검사 유형 2-7 3. 사고발생 경향 및 기제 2-9 (4) 인간의 일반적인 행동 특성 2-11 1. 인간의 특성 2-11 2. 인간의 착오요인 2-12 3. 직무분석 2-14 · 출제예상문제 2-15 Chapter 02 인간의 행동과학 (1) 작업환경 및 동작특성 2-24 1. 안전심리 및 사고요인 2-24 2. 재해설 2-26 3. 동기 및 욕구이론 2-27 (2) 노동과 피로 2-29 1. 스트레스 및 RMR 2-29 2. 피로(fatigue) 2-30 3. 생체리듬(biorhythm) 2-34 (3) 집단관리와 리더십 2-35 1. 집단관리 2-35 2. 욕구저지 이론 2-37 3. 욕구저지 반응기제에 관한 가설 2-37 4. 리더십(leadership) 2-38 (4) 착오와 실수 2-41 1. 착시(Optical illusion) 2-41 2. 인간의 주의특성 2-43 3. 부주의 2-45 · 출제예상문제 2-48 Chapter 03 안전보건교육의 개념 (1)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2-60 1. 기본적 교육훈련 2-60 2. 안전보건교육계획 2-62 (2) 교육의 지도 2-63 1. 교육지도의 원칙(교육지도 8원칙) 2-63 2. 학습 및 강의 2-65 (3) 교육의 분류 2-67 1. OJT와 OFF JT 2-67 2. 교육의 기본 방향 2-67 3. 토의식과 강의식 교육 2-68 4. 관리감독자 교육 2-70 (4) 교육심리학 2-72 1. 파지와 망각 2-72 2. 자극과 반응(Stimulus & Response):S-R 이론 2-73 · 출제예상문제 2-76 Chapter 04 교육내용 및 방법 (1) 교육의 종류 2-81 1. 안전보건교육의 3단계 및 진행 4단계 2-81 2.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 및 시간 2-83 (2) 특별안전보건교육 2-85 1. 특별안전보건교육대상 작업별 교육내용 2-85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시간 2-91 3. 검사원 성능검사교육 2-91 4.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2-91 5.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내용 2-92 (3) 안전보건교육 2-92 1. 안전보건교육의 체계 2-92 2. 안전보건교육(내용, 방법, 단계, 원칙) 2-92 3. 교육훈련평가의 4단계(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측정) 2-92 · 출제예상문제 2-93 제3편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Chapter 01 안전과 인간공학 (1) 인간공학(Ergonomics)의 정의 3-2 1. 인간공학의 개념 3-2 2. 인간공학의 연구목적 및 방법 3-3 (2) 인간-기계 체계 3-5 1. 인간-기계 통합시스템 3-5 2. 인간과 기계의 기능 비교 3-8 (3) 체계설비와 인간요소 3-9 1. 기계설비 신뢰성의 개요 3-9 2. 기계설비 고장유형 3-11 3. 인간-기계(man-machine) 시스템의 신뢰도 3-12 4. 설비의 신뢰도 3-13 · 출제예상문제 3-17 Chapter 02 정보입력 표시 (1)시각적 표시장치 3-23 1. 개 요 3-23 2. 시각적 표시장치 구분 3-23 (2) 청각적 표시장치 3-25 1. 개 요 3-25 2. 청각적 표시장치 구분 3-26 (3) 촉각적 표시장치 3-28 1. 촉각(감)의 표시 3-28 2. 표시방식 설계시 고려사항 3-29 3. 표시장치의 구분 3-29 (4) 인간요소와 휴먼에러 3-30 1. 휴먼에러 요인 3-30 2. 인간실수(휴먼에러)의 분류 3-31 3. 인간의 행동수준 3-33 4. 인간과오의 형태 3-34 · 출제예상문제 3-35 Chapter 03 인체계측 및 작업공간 (1)인체계측 및 인간의 체계제어 3-40 1. 인체계측방법 3-40 2. 인체계측 자료의 응용 3원칙 3-40 (2) 신체활동의 생리학적 측정법 3-42 1. 작업의 종류에 따른 측정방법 3-42 2. 부품(공간)배치의 4원칙 3-42 3. 의자의 설계원칙 3-42 (3) 작업공간 및 작업자세 3-43 1. 작업공간(work space) 3-43 2. 수평작업대 3-44 3. display가 형성하는 목시각(目視角) 3-45 (4) 인간의 특성과 안전 3-45 1. 기계설계 진행방법 3-45 2. 신체부위의 운동 3-47 · 출제예상문제 3-48 Chapter 04 작업환경관리 (1) 작업조건과 환경조건 3-54 1. 열교환방법 3-54 2. 조 명 3-56 3. 휘광(glare) 3-56 4. 온 도 3-57 5. 소음(noise:원치 않는 소리, 주관적인 판단) 3-59 6. 시력 3-60 7. 색채 3-61 (2) 작업환경과 인간공학 3-62 1. 통제의 개요 3-62 2. 통제표시비(통제비) 3-63 3. 자동제어 3-64 4. 기계의 통제기능(machine control function) 3-65 · 출제예상문제 3-67 Chapter 05 시스템 위험분석 (1) 시스템 위험분석 및 관리 3-73 1. system의 개요 3-73 2. 시스템의 기능 및 달성방법 3-74 (2) 시스템 위험분석기법 3-75 1. 시스템 분석의 종류 3-75 2. 예비위험분석(PHA:Preliminary Hazards Analysis) 3-77 3. 결함위험분석(FHA:Fault Hazards Analysis) 3-77 4. 고장 형태 및 영향분석(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3-78 5. MORT(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경영소홀 및 위험수 분석) 3-79 6. 운용 및 지원위험분석(Operating and Support → O&S Hazard Analysis) 3-80 7. 디시전 트리(Decision Trees) 3-80 8. THERP(인간과오율 예측기법: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3-81 9. ETA, FAFR, CA 3-81 10. 위험 및 운전성 분석 3-82 · 출제예상문제 3-83 Chapter 06 결함수 분석법 (1) 결함수(FTA) 분석 3-88 1. FTA에 의한 고장해석:결함수 분석(목분석)법 3-88 2. FTA의 실시 3-89 3. FTA의 중요 분야별 효과 3-94 4. FTA에 의한 고장해석 사례 3-95 5. 동작경제의 3원칙(Barnes) 3-96 6. 컷셋·미니멀 컷셋 요약 3-98 7. ETA(Event Tree Analysis:사건수 분석) 3-99 (2) 정성적, 정량적 분석 3-100 1. 고장목의 정량적 평가 3-100 2. 고장목의 정성적 평가 3-101 3. 절단집합과 통과집합의 정의 3-101 4. 최소절단집합과 최소통과집합의 의미 3-102 5. 고장목의 작성과 단순화 3-102 6. 인간에러(human error)예방대책 3-103 · 출제예상문제 3-104 Chapter 07 안전성 평가 (1) 평가의 개요 3-112 1. 개 요 3-112 2. 안전성 평가 6단계 3-113 (2) 위험분석·관리·신뢰도 및 안전도 계산 3-117 1. 용어 및 유인어 3-117 2. 위험관리 절차 3-118 · 출제예상문제 3-120 Chapter 08 각종 설비의 유지관리 (1)안전성 검토 3-123 1.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제출대상 사업장 3-123 2.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제출대상 기계·기구 및 설비 3-123 3.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건설공사 3-124 (2) 공장설비의 안전성 평가 3-124 1. 기계설비의 안전평가 3-124 2. Potential FMEA에서의 평가요소 3-127 (3) 보전성공학 3-128 1. 보전(Maintenance) 3-128 2. 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3-130 3. 보전의 3요소 3-132 4. 인간실수 확률에 대한 추정기법 적용 3-132 5. 인간에러(Human Error) 3-133 6.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PL) 3-135 · 출제예상문제 3-142 『2권』 제4편 건설시공학 Chapter 01 시공 일반 (1) 공사시공방식 4-2 1. 건설시공의 의의 4-2 2. 공사관련자 및 업무 4-2 3. 도급업자의 분류 4-3 4. 견적의 종류 4-4 (2) 공사계획 4-5 1. 공사계획의 개요 4-5 2. 공사계획내용 4-5 3. 공정표의 종류[(gantt)식 공정표] 4-6 4. 네트워크(network) 공정표 4-6 (3) 공사현장관리 4-10 1. 건축시공 계약제도 4-10 2. 입찰 및 계약방식 4-14 3. 도급계약서 및 시방서 4-15 4. 품질관리 4-16 · 출제예상문제 4-17 Chapter 02 토공사 (1) 흙파기 4-22 1. 흙파기의 일반사항 4-22 2. 흙파기 공법 4-23 3. 흙막이 공법 4-23 4. 토공기계 4-25 (2) 흙막이 4-27 1. 흙막이에 미치는 토압 4-27 2. 흙막이의 종류 4-28 3. 토질시험의 종류 4-28 (3) 기타 토공사 관련사항 4-29 1. 지반조사 4-29 2. 간극비, 함수비, 포화도 4-29 3. 지반조사방법 4-30 4. 배수·지반개량공법 4-31 · 출제예상문제 4-33 Chapter 03 기초공사 (1) 지정 4-39 1. 지정의 종류 및 특징 4-39 2. 제자리 콘크리트말뚝 지정 4-42 (2) 기초(Foundation) 4-44 1. 기초의 개요 4-44 2. 기초의 종류 4-44 · 출제예상문제 4-48 Chapter 04 철근 콘크리트공사 (1) 콘크리트공사 4-52 1. 개요 4-52 2. 콘크리트 재료 4-53 3. 콘크리트 배합의 결정 4-56 4. 콘크리트 부어넣기 및 방법 4-58 5. 콘크리트 운반계획 4-60 6. 보양(양생) 4-61 7. 특수 콘크리트 4-61 8. 콘크리트 비벼내기량 산출법 4-65 (2) 철근공사 4-67 1. 철근 재료 4-67 2. 철근이음 및 정착 4-68 3. 가스압접 4-69 4. 철근의 간격 및 피복두께 4-69 (3) 거푸집공사 4-71 1. 개요 4-71 2. 거푸집 시공상 주의사항 4-71 3. 거푸집의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 4-72 4. 거푸집 측압 4-72 5. 거푸집공법 4-73 6. 거푸집 존치기간 4-74 7. 거푸집 면적산출 4-75 8. 용어정의 4-75 · 출제예상문제 4-77 Chapter 05 철골공사 (1) 철골작업 공작 4-87 1. 철골 일반 4-87 2. 리벳접합 4-89 3. 용접접합 4-90 (2) 철골세우기 4-92 1. 기둥세우기 4-92 2. 세우기용 기계 4-92 3. 기초(Ancher)볼트 매입공법의 종류 4-93 4. 고력볼트(high tension bolt) 접합 4-94 · 출제예상문제 4-96 Chapter 06 조적공사 (1) 벽돌공사 4-100 1. 시멘트벽돌 4-100 2. 붉은벽돌 4-100 3. 내화벽돌(Fire brick) 4-101 4. 적산방법 4-104 (2) 블록공사 4-105 1. 치수 및 강도 4-105 2. 블록쌓기법 4-105 3. 각부 블록쌓기 4-106 4. 보강 콘크리트 블록 4-106 (3) 석공사 4-107 1. 석재의 종류 및 특성 4-107 2. 석재의 강도 4-108 3. 내화성 4-108 4. 표면가공 마무리 순서 4-108 5. 돌쌓기 순서 4-109 6. 돌붙이기(대리석 붙이기) 4-109 7. 보 양 4-109 8. 줄눈 모르타르 4-109 (4) 타일공사 4-110 1. 타일의 종류 4-110 2. 타일붙이기 4-110 3. 공 법 4-111 4. 강관 Pipe 구조 4-112 · 출제예상문제 4-114 제5편 건설재료학 Chapter 01 목재 (1) 목재 일반 5-2 1. 목재의 장점 5-2 2. 목재의 단점 5-2 3. 목재의 분류 5-3 4. 목재의 조직 5-3 5. 벌목, 제재, 건조 5-6 6. 목재의 성질 5-8 7. 목재 제품 5-17 (2) 집성목재 5-19 1. 개 요 5-19 2. 집성목재의 장점 5-20 (3) 마루판 5-20 1. 마루판(Flooring)의 개요 5-20 2. 종 류 5-20 (4) 벽, 천장재 5-21 1. 코펜하겐 리브(Copenhagen rib) 5-21 2. 코르크판(Cork board) 5-22 3. 파티클 보드 5-22 (5) 섬유판 5-22 1. 개 요 5-22 2. 연질섬유판 5-23 3. 텍스(Tex) 5-23 4. 경질섬유판 및 반경질섬유판 5-23 5. 소음 방지 방법 5-24 · 출제예상문제 5-25 Chapter 02 시멘트 및 콘크리트 (1)시멘트 5-29 1. 개요 및 연혁 5-29 2. 시멘트의 분류 및 제법 5-30 3. 성분 및 반응 5-32 4. 시멘트의 강도 5-33 5. 혼화재료 5-34 (2) 시멘트 제품 5-36 1. 시멘트벽돌 5-36 2. 시멘트블록 5-36 3. 기 와 5-37 4. 후형 슬레이트(가압 시멘트기와) 5-37 5. 목모 시멘트판 5-38 6. 목편 시멘트판 5-38 7. 석면 시멘트판류 5-38 8. 석면 시멘트관 5-39 9. 철근 콘크리트관 5-39 10. 철근 콘크리트말뚝 5-39 11. 철근 콘크리트기둥(Pole) 5-40 12. 프리스트레스트 제품 5-40 13. ALC 제품 5-40 (3) 콘크리트 5-41 1. 개 요 5-41 2. 재 료 5-42 3. 강 도 5-42 4. 콘크리트 시공법 5-44 5. 콘크리트의 기타 성질 5-45 6. 특수 콘크리트 5-47 7. 콘크리트 시험 5-50 8. 블리딩과 레이턴스 5-53 · 출제예상문제 5-54 Chapter 03 석재 및 점토 (1) 석 재 5-60 1. 석재의 조직 및 분류 5-60 2. 석재의 종류 및 특징 5-62 3. 석재의 성질 5-64 (2) 석재 제품 5-65 1. 제품의 종류 및 특징 5-65 (3) 점토(Clay) 5-66 1. 개요 및 생성 5-66 (4) 점토 제품 5-67 1. 분류 및 제법 5-67 2. 벽 돌 5-68 3. 기 와 5-70 4. 타 일 5-71 5. 테라코타(Terra-cotta) 5-72 6. 기타 점토 제품 5-72 7. 본드 브레이커(Bond breaker) 5-72 · 출제예상문제 5-73 Chapter 04 금속재 (1) 금속재 일반 5-80 1. 개 요 5-80 2. 금속의 특징 5-80 3. 철강의 분류 5-81 4. 강의 일반 열처리 5-82 5. 비철금속 5-82 (2) 금속 제품 5-84 1. 구조용 강재 5-84 2. 구조용 긴결철물 5-86 3. 박판 선재 및 그 가공품 5-87 4. 구리판 및 황동판 5-88 5. 알루미늄판 5-88 6. 메탈라스(Metal lath) 5-88 7. 펀칭메탈(Punching metal) 5-88 8. 코너비드(Corner bead) 5-88 9. 기 타 5-89 · 출제예상문제 5-90 Chapter 05 미장 및 방수재료 (1) 미장재료 5-96 1. 개 요 5-96 2. 벽토의 종류 및 특징 5-96 3. 회반죽의 종류 및 특징 5-97 4. 시멘트 모르타르 5-99 5. 미장재료의 분류 5-99 (2) 방수재료 5-100 1. 아스팔트 방수재료 5-100 2. 방수법 비교 5-102 · 출제예상문제 5-105 Chapter 06 합성수지 (1) 합성수지 일반 5-112 1. 종류 및 특징 5-112 (2) 합성수지 제품 5-114 1. 바닥재료 제품 5-114 2. 플라스틱 제품 5-115 3. 합성수지계 접착제의 종류 및 특성 5-115 · 출제예상문제 5-117 Chapter 07 도료 및 접착제 (1)도 료 5-122 1. 도 료 5-122 2. 페인트 5-122 3. 니 스(Vanish) 5-124 4. 옻과 감즙 5-124 5. 퍼티 및 코킹재 5-125 (2) 접착제 5-125 1. 동물성 접착제 5-125 2. 식물성 접착제 5-127 3. 수지계 접착제 5-128 4. 아스팔트 접착제 5-130 5. 유 리 5-130 6. 도장공사 5-131 7. 세라믹파이버(Ceramic Fiber) 5-133 8. 단열재 5-134 · 출제예상문제 5-136 제6편 건설안전기술 Chapter 01 건설공사 안전개요 (1) 공정계획 및 안전성 심사 6-2 1. 건설 재해 예방 대책 6-2 (2) 지반의 안정성 6-3 1. 지반의 조사 6-3 2. 건설 지반의 특성 6-3 3. 지반조사방법 6-5 4. 토질시험의 종류 및 특징 6-7 5. 지하탐사법의 종류 및 특징 6-7 (3) 공사계획의 안전성 6-8 1. 건설공사 안전계획 6-8 2. 건설재해의 예방대책 6-9 (4)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6-10 1. 안전관리비 항목 및 사용내역 6-10 2. 관리감독자 안전보건업무 수행시 수당지급 작업 6-10 3. 설계변경 시 안전관리비 조정·계상 방법 6-11 (5) 유해·위험 건설재료의 취급 및 사전 안전성 검토(유해 위험 방지계획서) 6-12 1. 물리적 성질 6-12 2. 역학적 성질 6-12 3. 열적 성질 6-15 4. 안전보건기준 6-15 5. 사전안전성 검토(유해위험방지 계획서) 6-16 · 출제예상문제 6-19 Chapter 02 건설공구 및 장비(건설기계) (1) 건설공구 6-25 1. 석재가공 6-25 2. 철근가공 공구 6-26 (2) 굴착(삭)기계 및 안전수칙 6-26 1. 셔블(shovel : 삽) : 굴착기계 6-26 2. 안전기준 6-29 (3) 토공기계 및 안전수칙 6-30 1. 트랙터계 기계 6-30 2. 불도저(bulldozer) 분류 6-31 3. 스크레이퍼(scraper) 6-32 4. 트렌처(trench) 6-33 5.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6-33 (4) 운반기계 및 다짐장비 등 안전수칙 6-34 1. 기본안전사항 6-34 2. 지게차(fork lift) 6-34 3. 컨베이어(conveyor) 6-37 4. 다짐장비 6-38 · 출제예상문제 6-40 Chapter 03 양중 및 해체공사의 안전 (1) 해체용 기구의 종류 및 취급 안전 6-45 1. 압쇄기 6-45 2. 잭(jack) 6-46 3. 철해머 6-46 4. 해체공사 전 확인사항 6-46 5. 해체용 기구의 취급안전 6-47 6. 해체용 기계 병용공법 안전기준 6-49 (2) 양중기의 종류 및 안전수칙 6-52 1. 크레인(crane) 6-52 2. 양중기 용어의 정의 6-54 3. 안전기준 6-56 4. 리프트 안전기준 6-57 5. 곤돌라 안전기준 6-58 6. 기타 양중기 안전 6-59 · 출제예상문제 6-61 Chapter 04 건설재해 및 대책 (1) 떨어짐(추락)재해 및 대책 6-66 1. 개 요 6-66 2. 안전대책 6-67 3. 추락재해 방지설비 6-67 4. 시설물 안전대책 6-70 (2) 무너짐(붕괴)재해 및 대책 6-73 1. 토석붕괴 재해의 원인 6-73 2. 붕괴의 형태 6-73 3. 토석붕괴의 예방대책 6-75 (3) 떨어짐(낙하)·날아옴(비래)재해대책 6-76 1. 낙하물 재해방지설비 6-76 2. 낙하·비래재해의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6-76 3. 옹벽의 안정조건 3가지 6-77 4. 붕괴 등에 의한 위험방지(전체작업) 6-78 · 출제예상문제 6-79 Chapter 05 건설 가시설물 설치기준 (1) 비계 설치기준 6-85 1. 가설공사 개요 6-85 2. 비계의 개요 6-86 3. 비계 조립 안전기준 6-87 4. 비계 재료 6-89 5. 비계의 종류 6-90 (2) 작업통로 설치기준 6-98 1. 개 요 6-98 2. 종류 및 특징 6-98 (3) 작업발판 설치기준 6-102 1. 작업발판 설치방법 6-102 2. 안전난간 설치기준 6-103 (4) 안전망 설치기준 6-104 1. 용어의 정의 6-104 2. 구 조 6-104 3. 강 도 6-105 (5) 거푸집, 동바리 설치기준 및 흙막이 계측장치 6-108 1. 거푸집공사 6-108 2. 거푸집의 부위별 점검사항 6-111 · 출제예상문제 6-117 Chapter 06 건설 구조물 공사안전 (1) 콘크리트 CD구조물 공사 안전 6-127 1. 거푸집 및 동바리(지보공)에 작용하는 하중(구조검토시 고려하중) 6-127 2. 거푸집 및 동바리(지보공) 재료 선정 및 사용시 고려사항 6-128 3. 거푸집 및 강관동바리(지주) 조립시 준수사항 6-128 4. 거푸집 공사시 점검사항 6-130 (2) 콘크리트 측압 6-132 1. 개 요 6-132 2. 측압 분류 6-132 3. 콘크리트공사 안전 6-134 (3) 철골공사 안전 6-135 1. 철골공사 전 검토사항 6-135 2. 철골공사용 기계 6-139 3. 철골 건립 작업 6-142 4. 철골공사의 가설설비 6-148 (4) PC(Precast Concrete) 공사 안전 6-151 1. PC 운반·조립·설치의 안전 6-151 2. PC공법의 분류 6-152 · 출제예상문제 6-154 Chapter 07 운반·하역작업 (1) 운반작업 6-160 1. 인력운반 6-160 2. 취급·운반의 기본 원칙 6-162 3. 운반작업의 기계화 6-164 4. 운반기계 6-165 5. 와이어로프(wire rope) 6-167 6. 철근운반시 준수사항 및 안전기준 6-171 (2) 하역작업 6-172 1. 개 요 6-172 2. 하역작업의 안전 6-172 3. 건설업체 산업재해발생률 및 산업재해발생 보고의무 위반건수의 산정기준과 방법 6-176 · 출제예상문제 6-184 · 찾아보기 『3권』 부 록 과년도 출제문제 · 2021년도 기사 정기검정 2021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1회 (2021년 03월 07일 시행) 4 2021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2회 (2021년 05월 15일 시행) 34 2021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4회 (2021년 09월 12일 시행) 65 · 2022년도 기사 정기검정 2022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1회 (2022년 03월 05일 시행) 98 2022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2회 (2022년 04월 24일 시행) 130 · 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1회 (2023년 02월 28일 시행) 164 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2회 (2023년 06월 04일 시행) 196 2023년도 기사 정기검정 제4회 (2023년 09월 02일 시행) 228 · 특별부록(1주일에 끝나는 합격요점 QR코드 및 네이버카페 “정재수의 안전스쿨”에서 출력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