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카메라 렌즈로 날아든 새들
카메라 렌즈로 날아든 새들
중고도서

카메라 렌즈로 날아든 새들

: 몽골 검독수리부터 우리 아파트의 황조롱이까지

김진수 글사진 / 이한아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21년 02월 25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정가
13,000
중고판매가
9,000 (31% 할인)
상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YES포인트
구매 시 참고사항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2월 25일
쪽수, 무게, 크기 200쪽 | 466g | 205*205*11mm
ISBN13 9791160404647

중고도서 소개

최상 새 상품같이 깨끗한 상품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 우리 곁으로 찾아온 새들
수리부엉이가 부르는 이중창
아파트 발코니 황조롱이
주유소 복조리 제비
옥상 공원에 찾아온 손님
트럭에 둥지를 틀었다고?
나는 황새 만황이에요

2. 국내 철새 도래지를 찾아서
두루미야, 밤새 추웠지?
흰꼬리수리의 운수 좋은 날
뿔논병아리의 수상 가옥 촌
다리 잃은 장다리물떼새
물 마시러 가는 길이 너무 무서워요
빼어난 은신술, 호사도요

3. 몽골 · 시베리아 · 알타이 탐조 여행
아홉 마리 큰고니 가족의 행진
3일의 기다림 끝에 다시 만난 검독수리
쇠재두루미의 헤진 날개
아득한 절벽 위의 생존
작별 없이 떠난 먹황새를 만나다
카리스마 넘치는 맹금류를 찾아서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새를 보려면 멀리 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매년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철새의 여행길이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흔히 볼 수 없는 맹금류의 카리스마를 보고 싶은 사람을 위해 지난 20여 년간 카메라에 담아 온 새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펴냈다. 좌충우돌 탐사 기록과 알찬 생태 정보를 만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박새나 곤줄박이를 비롯해 시베리아 오지까지 찾아가 만난 멸종위기종 검독수리와 흰꼬리수리 등 새에 얽힌 갖가지 사연을 만날 수 있다.
충청북도 충주의 한 주유소. 새해 복을 기원하며 사무실 벽에 걸어둔 복조리에 어느 날 제비가 날아오더니 둥지를 틀었다. 복조리 둥지가 마음에 들었던지 제비는 알을 품어 새끼까지 기르게 되었다. 둥지가 제비 식구들로 붐비면서 배설물에 온 사무실이 더렵혀져도 주인은 제비들을 품어 주었고 해마다 제비 식구들은 그곳을 찾았다. 김진수 기자의 사진 속에는 사람과 제비가 공존하는 이색적인 풍경이 그대로 담겨 있다.
책의 1장에서는 복조리 제비 사연을 비롯해 집 안, 회사 옥상, 마을 뒷산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새 이야기가 펼쳐진다. 김포 뒷산 수리부엉이, 아파트 발코니에 서식하는 황조롱이, 옥상 공원으로 날아든 홍여새와 황여새, 트럭에 둥지를 튼 딱새를 만날 수 있다.
제비, 참새, 박새 들은 예전에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던 새였다. 하지만 이들이 집을 지을 곳이 사라지고, 먹이가 사라지면서 이젠 개체 수가 줄고 우리 눈에 띄는 횟수도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저자가 사진으로라도 새들의 모습을 기록해야겠다는 다급한 마음이 든 까닭이다.

한 장의 사진에서 시작하는 놀라운 새 이야기
좌충우돌 탐사 기록과 알찬 생태 정보를 만날 수 있다


2장에는 국내 유명 철새 도래지에서 새를 만나는 여정이 담겨 있다. 러시아나 몽골에서 강원도 철원까지 해마다 날아오는 두루미들의 겨울나기, 청둥오리 사냥 순간의 흰꼬리수리 모습은 자연의 섭리와 신비로움을 고스란히 느끼게 한다.
새들을 떠나게 하는 훼손된 자연과 중장비가 들어선 옛 철새의 터전을 찾았을 때의 사진을 보면 저자가 느낀 안타까움이 그대로 전해지는 듯하다. 물을 다 빼내어 버려 수풀이 사라진 습지 바닥을, 그것도 천적에게 들키기 전에 건너야 하는 아기 장다리물떼새의 사연을 읽으며 순간의 사진을 보면 마치 엄마 장다리물떼새가 된 듯 마음 졸이게 된다.

인간이 무심코 버린 쓰레기, 특히 투명하여 보이지 않은 낚싯줄이나 나일론 끈은 새들에게 올무가 되어 생명을 위협하는 무기로 변하기도 한다. 다리 하나를 잃고도 살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장다리물떼새의 사진은 인간의 이기심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한다.

사진 기자의 새 사랑은 몽골과 시베리아로 그를 이끌었다. 마지막 3장에는 몽골과 러시아, 알타이 탐조 여행기가 들어 있다. 몽골의 대초원을 지나다 찍게 된 쇠재두루미의 비행 사진에는 해마다 먼 길을 오고가는 철새의 고난스런 운명이 고스란히 담겼다. 세계의 지붕이라는 히말라야산맥을 강풍과 눈보라, 난기류를 뚫고 천적인 검독수리까지 피해 넘어다니느라 쇠재두루미의 날개는 닳아서 너덜너덜한 상태가 된 것이다.
이 밖에도 초원 한복판을 지나는 아홉 마리 큰고니 가족의 행진, 천적을 피해 아득한 절벽에 둥지를 튼 독수리, 기록에는 남아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지 않는 먹황새 등 야생 희귀 조류를 만났던 박진감 넘치는 탐조기가 펼쳐진다.

저자는 의미 있는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비좁은 위장 텐트에서 며칠 동안 숨죽이며 새를 기다리기도 하고, 같은 장소를 여러 번 방문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어린이 독자들은 그 과정을 통해 관심이 생기면 알고 싶어지고, 또 아는 만큼 보인다는 진리를 자연스레 터득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장의 사진으로 시작하는 새들의 갖가지 사연과 기자의 탐사 기록을 담은 《카메라 렌즈로 날아든 새들》은 생태 감수성을 키우고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삶을 꿈꾸게 하는 책이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9,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