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교육공동체의 의미를 다시 음미해 보고 이를 지속가능하게 확산하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를 안내하고 있다. 공동체는 선한 의지와 참여로 연결된 인간관계가 전제된다. 함께하는 사람들 관계의 힘이 공동체의 성패를 좌우한다. 공동체는 결국 사람의 문제이다. 무엇을 하느냐보다는 누가 하느냐에 따라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이 결정된다.
마지막 장에서 저자가 강조하고 있는 ‘주체와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잔잔하지만 절절한 울림으로 실천하는 많은 분께 전달되기를 기대한다.
- 김용련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최근 교육정책은 학교 울타리를 넘어서 마을을 지향하고 있다. 과연 교육정책은 ‘사람들의 마음을 모아내고, 우리 삶 속에 자율적인 교육공동체를 꽃피우게 돕고 있을까?’라는 의문이 생길 즈음 저자가 찾아왔다.
그는 내가 보지 못한 희망을 이야기했다. 교육정책 연구자이자 실천가인 저자는 ‘마을교육공동체 실천 원리’를 찾아서 이 책에 담았다. 함께 탐구해 보자. 어렵기만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이 한결 쉬워질 테다.
- 이승훈 (공릉청소년문화정보센터장)
학교지원센터에서 교육 중심 학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일했던 경험을 나누며 홍지오 교수님을 만나게 되면서 교육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사랑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교육공동체는 생물과 같아서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사람에 따라 진화한다’는 교수님의 한국 교육공동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글을 통해 실제적인 이해와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 책은 학교현장에서 경쟁을 넘어 소통과 협력으로 학생, 학부모, 교직원,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교육공동체의 역할을 정립하고, 인격적 성장과 배움이 일어나는 학교생활을 통해 학생들이 아름답게 성장하며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훌륭한 안내서로서 보석 같은 선물이 될 것입니다.
- 고형순 (제주 효돈초등학교 교장)
교육공동체의 맥락은 ‘교사를 춤추게 하라’는 교사관에서 ‘학교를 춤추게 하라’는 학교공동체 중심으로 확장하고 있다. 지금이 꽃과 열매보다 뿌리를 튼튼히 하는 과정이 필요한 시기라 할 때, 이 책은 독자를 마을과 결합된 학교 단위 마을교육네트워크 강화가 다양한 교육공동체를 뿌리내리는 데 기본 토대가 되리라는 생각으로 이끈다.
학교와 교육현장 중심 연구와 실천가로서 이론, 실천, 원리를 통한 교육공동체 를 제안하는 홍지오 박사님은 단절의 벽을 허무는 틈과 문을 통해 경계를 넘나들며 서로 배우고 성장하려는 학교와 마을공동체, 지역사회 실천가, 연구자, 전문가, 교직원, 활동가들을 공론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힘이 있다.
- 김태곤 (충청남도아산교육지원청 장학사)
연구자들의 연구는 정책이 되어 현장에서 활용된다. 시민들의 최고 관심사이자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 은 민감한 만큼 동상이몽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책은 연구자가 오랜 시간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정리하고 대안을 제시한 것이어서 큰 의미가 있다. 자유학기제를 마을교육공동체와의 상호작용으로 보면서 현장에서 느끼는 서로 다른 생각을 정리하고, 일목요연하게 제시한 ‘교육공동체를 발견하기 위해 알아야 할 20가지 원리’에서 희망을 본다.
풀어 가는 방식의 다름, 소통의 필요,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것, 연대와 협력! 교사와 지역사회 활동가들의 공유와 토론이 기대된다.
- 김지원 (공릉꿈마을협동조합 전 이사장,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