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수입
CD Avi Avital 만돌린 콘체르토 - 비발디, 바흐, 바르벨라 외 (Baroque Album: Vivaldi - Bach - Barbella - Paisiello - Hummel)
가격
31,100
19 25,200
YES포인트?
260원 (1%) 마니아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최대 머니 3천원 적립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음반소개

디스크

Disc

  • 01 Vivaldi: Concerto in B Minor, RV 580 (Adapt. for 4 Mandolins, Strings and Continuo)
    I. Allegro
  • 02 II. Largo - Larghetto - Adagio - Largo
  • 03 III. Allegro
  • 04 Bach, J S: Concerto in C Minor, BWV 1060R (Adapt. for Mandolin, Recorder, Strings and Continuo)
    I. Allegro
  • 05 II. Adagio
  • 06 III. Allegro
  • 07 Avi Avital, Emanuele Barbella: Mandolin Concerto in D Major
    I. Allegro (Cadenza: A. Avital)
  • 08 II. Andantino
  • 09 III. Giga. Allegro
  • 10 Paisiello: Concerto for Mandolin and Strings in E flat major
    I. Allegro maestoso
  • 11 II. Larghetto grazioso (Cadenza: A. Avital)
  • 12 III. Allegretto
  • 13 Hummel, J: Mandolin Concerto in G major
    I. Allegro moderato e grazioso
  • 14 II. Andante con variazioni
  • 15 III. Rondo. Allegro (Cadenza: A. Avital)

아티스트 소개7

작곡Johann Sebastian Bach

관심작가 알림신청

요한 세바스찬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독일어: Johann Sebastian Bach, 1685년 3월 21일 ~ 1750년 7월 28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개신교회의 교회 음악가이다. 교회 성기사와 오케스트라, 듀오 악기를 위한 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음악을 창작했고, 그의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종말과 궁극적인 성숙을 동시에 가져왔다. 그는 바로크 시대의 최후에 위치하는 대가로서, 일반적인 작품은 독일음악의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위에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양식을 채택하고 그것들을 융합하여 독자적 개성적인 음악을 창조하였다. 종교적 작품은 기존 구교 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독일어: Johann Sebastian Bach, 1685년 3월 21일 ~ 1750년 7월 28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개신교회의 교회 음악가이다.

교회 성기사와 오케스트라, 듀오 악기를 위한 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음악을 창작했고, 그의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종말과 궁극적인 성숙을 동시에 가져왔다. 그는 바로크 시대의 최후에 위치하는 대가로서, 일반적인 작품은 독일음악의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위에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양식을 채택하고 그것들을 융합하여 독자적 개성적인 음악을 창조하였다. 종교적 작품은 기존 구교 음악과 차별화하여 새로운 음악을 통해 개신교회 예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바흐의 집안은 200년에 걸쳐서 50명 이상의 음악가를 배출한 일대 음악가계였다. 바흐 집안의 음악가들은 대대로 개신교회인 루터교회의 경건한 신자들이었고, 교회음악가로도 활동하였다. 또한 그들의 일에 강한 장인(匠人)적인 긍지를 품고 있었다. 이 '신앙'과 '장인기질(匠人氣質)'은 요한 제바스티안에게도 계승되어서, 마치 2개의 정선율(定旋律)과 같이 그의 일생을 관통하게 된다. 제바스티안 이전에도 17세기 초엽 이래 많은 유명한 작곡가를 배출했고, 일족의 중심지이었던 중부독일의 튀링겐 지방에서는 '바흐'가 '거리의 악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였을 정도였다. 그중에서도 제바스티안의 큰할아버지 하인리히 바흐(1615-1692), 그 아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42-1703)와 요한 미하엘 바흐(1648-94)는 음악사(史)에도 이름을 남긴 뛰어난 작곡가들이었다.

바흐는 사후 고전주의 음악사의 흐름에 밀려 완전히 잊혔으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U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을 1802년에 발표함으로써 전 유럽적 바흐 광풍을 몰고 오게 하였으며 또한 사후 바흐에 대한 재평가에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온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다.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큼 아주 훌륭한 곡을 많이 작곡 하였다.

바로크 음악에 있어서 바흐는 대위법 기술의 정수를 다한 사람이나, 그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당시에 이미 궁정문화에 침투했던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양식을 스스로 받아들여 칸타타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도 했다. 거기에는 그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배운 여러 나라의 온갖 요소가 모두 투입되어 그만이 지닐 수 있는 최고로 천재적이게 융화되어 일치미를 이루고 있다. 콘티누오(통주저음)만으로 반주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악기로 반주되는 독창이나 중창에 의한 이탈리아식 다 카포 아리아, 오페라적인 아리오소와 레치타티보, 가장 초기의 가브리엘 형태에서 바흐 시대의 프랑스식 서곡에 이르기까지의 관현악 신포니아, 협주곡, 트럼펫의 팡파르, 풍요한 장식성을 지니고 성악성부에 얽혀드는 기악의 오블리가토 성부, 복합창형식, 때로는 성악에까지 적용되는 프랑스의 리드미컬한 춤곡, 이러한 것이 독일의 오랜 전통인 코랄과 결부되고 있다. 대체로 바흐만큼 코랄을 훌륭하게 활용하고 또 코랄을 창작의 중심으로 삼기에 정당함을 느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여러 나라 양식의 혼합은 기악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프로베르거의 전통, 쿠프랭의 프랑스 모음곡형식, 쿠나우에 의하여 전해진 이탈리아의 소나타 다 카메라양식,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건반 텍스처(鍵盤書法), 푸가에 있어서도 클라비어 푸가는 이탈리아 협주양식의 영향을 나타내나 오르간 푸가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협주곡 분야에서는 끊임없이 비발디가 모범으로 숭앙되며, 가장 이탈리아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바흐의 작품은 매우 많은 여러 가지 양식을 포함하고, 또한 작곡한 분야도 넓으며 바흐 개인으로서도 시대에 따라 기술적, 내용적으로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인양식을 간단히 종합하기란 곤란하다고 하겠다.

바흐는 생전에도 동시대의 음악가였던 비발디나 텔레만과 같이 국제적 지명도를 가진 음악가는 아니었다. 사후에는 당시 음악가들이 대부분 그랬듯이 작곡가로서는 완전히 잊혀진다. 바흐 생애 후반부에 이미 고전파 음악의 전조가 시작되었고 바흐 음악은 낡은 것으로 취급되었다. 바흐는 비발디나 헨델과 같이 음악가의 프리랜서화를 선도하는 인물도 아니었고 끝까지 교회 음악가로 남았다. 고전파 시대에 바흐는 고전파의 문을 연 아들들의 아버지로서 오히려 유명하였다. 유명인 중에는 모차르트가 바흐의 악보를 찾아서 탐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모차르트 음악에 가끔 훌륭한 푸가가 보이는 것이 바흐의 영향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베토벤 또한 바흐를 연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그 영향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이 바흐를 극찬하는 말을 남겼다고하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아닌 아들 바흐에 대한 찬사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이다.

그러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사후 완전히 잊혔던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U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1802)를 발표함으로써 바흐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을 제공하였다. 근대 인문학으로서의 음악사학의 발전은 낭만주의 시대에 이전 시대의 음악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이들의 작품을 출판, 연주하기 시작하면서 바흐는 그 핵심 레파토리로 떠오른다. 바흐 생존 시기나 고전파 시대의 지명도와는 달리 낭만주의 시대에 바흐는 이전 시기 어떠한 음악가보다 높이 평가되기 시작하여 멘델스존 이후 음악가들 중 바흐를 연구하지 않은 작곡가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바흐에 대한 관심은 바흐가 많이 참고하고 편곡을 했던 다른 음악가들, 특히 비발디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켜서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바로크 음악의 부활을 이끌기도 하였다. 오늘 날에도 바흐는-그의 음악이 바로크 음악을 대표한다고 말할 수도 없고, 바로크 시대 가장 유명한 음악가도 아니었지만-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위대한 음악가로 추앙받고 있다.

서양 음악의 아버지라고 일컫는 바흐의 가문에서는 약 200년 동안에 걸쳐 저명한 음악가가 많이 나왔다.

Johann Sebastian Bach의 다른 상품

작곡Antonio Vivaldi

관심작가 알림신청

안토니오 비발디

작곡Johann Hummel

관심작가 알림신청

요한 네포무크 훔멜,Johann Nepomuk Hummel

작곡Giovanni Paisiello

관심작가 알림신청

지오반니 파이지엘로

연주Avi Avital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비 아비탈

만돌린 연주자

Avi Avital의 다른 상품

지휘Giovanni Antonini

관심작가 알림신청

지오바니 안토니니

바로크 플루트(리코더) 연주자, 지휘자

Giovanni Antonini의 다른 상품

오케스트라Il Giardino Armonico

관심작가 알림신청

일 지아르디노 아르모니코,Il Giardino Armonico Milano

이탈리아어로 '조화의 정원'이란 뜻을 가진 IGA는 1985년 이탈리아에서 결성된 시대악기 연주단체다. 유럽 명문 음악학교 출신 평균 연령 30세의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IGA는 1989년부터 창단 멤버이자 세계적 리코더 연주자 조반니 안토니니가 악단을 이끌고 있다. 밀라노 출신인 조반니 안토니니는 밀라노 시립음악학교와 제네바 고음악 센터에서 공부했으며, 1996년 '일 프로테오' 음반으로 그라모폰상을 수상할 만큼 세계적 리코더 연주자로도 유명하다. IGA는 작곡가가 곡을 쓴 시대의 악기, 악보 등에 충실하면서도 17~18세기 레퍼토리에 대한 독특한 해석으로 유명
이탈리아어로 '조화의 정원'이란 뜻을 가진 IGA는 1985년 이탈리아에서 결성된 시대악기 연주단체다.

유럽 명문 음악학교 출신 평균 연령 30세의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IGA는 1989년부터 창단 멤버이자 세계적 리코더 연주자 조반니 안토니니가 악단을 이끌고 있다. 밀라노 출신인 조반니 안토니니는 밀라노 시립음악학교와 제네바 고음악 센터에서 공부했으며, 1996년 '일 프로테오' 음반으로 그라모폰상을 수상할 만큼 세계적 리코더 연주자로도 유명하다.

IGA는 작곡가가 곡을 쓴 시대의 악기, 악보 등에 충실하면서도 17~18세기 레퍼토리에 대한 독특한 해석으로 유명하다. 또 세계에 바로크 음악 붐을 일으킨 장본인으로, 비발디를 비롯한 18세기 작곡가들의 작품을 음반으로 제작해서 주요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격렬한 열정이 휘몰아치는 비발디의 '사계'와 담백하고 정교한 힘이 살아있고 리듬감 있는 열정적 연주의 수많은 레코딩은 곧바로 세계 음반시장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2005년 세계적 바이올리니스트 빅토리아 물로바와의 녹음(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은 디아파종 상을 수상했다.

최근에는 성악가들과의 리사이틀, 오페라 연주 그리고 고전음악으로 활동의 폭을 넓혀가고 있는데 2009년 체칠리아 바르톨리와의 음반은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발매 후 3개월 만에 플래티넘을 기록했다. 2010년 발매된 비발디의 오페라 '오토 황제의 별장'은 큰 성공과 함께 디아파종 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하이든 교향곡 전곡 녹음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Il Giardino Armonico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매일
2023년 11월 17일
시간/무게/크기
크기확인중
KC인증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5,200
1 2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