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베스트셀러
CD 풍월당: 바흐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Christmas with J.S. Bach)
2CD
가격
28,400
19 23,000
YES포인트?
230원 (1%) 마니아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최대 머니 3천원 적립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상세 이미지

음반소개

디스크

Disc1

  • 01 [골드베르크 변주곡] BWV 988, 1번 아리아 (하프시코드: 트레버 피노크)
  • 02 바이올린과 오보에, 현악을 위한 협주곡 c단조 BWV 1060, 3악장 알레그로 (바이올린: 아르투르 그뤼미오, 오보에: 하인츠 홀리거, 지휘: 에도 데 바르트,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 03 「당신이 제 곁에 계신다면」 BWV 508 (소프라노: 키리 테 카나와, 첼로: 올가 헤지더스, 오르간: 크리스토퍼 바우어스브로드벤트)
  • 04 바이올린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타 2번 A장조, BWV 1015, 3악장 안단테 운 포코 (바이올린: 모니카 허제트, 하프시코드: 톤 코프만)
  • 05 프랑스 모음곡 2번 c단조 BWV 813, 5악장 메뉴에트 1번, 6악장 메뉴에트 2번 (피아노: 안드레이 가브릴로프)
  • 06 코랄 전주곡 「제가 진심으로 바라오니」BWV 727 (트럼펫: 호칸 하르덴베리에르, 오르간: 사이먼 프레스턴)
  • 07 비올라 다 감바 소나타 1번 G장조 BWV 1027, 2악장 알레그로 마 논 탄토 (첼로: 미샤 마이스키, 피아노: 마르타 아르헤리치)
  • 08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 51곡 삼중창 「아! 언제 그 시간이 무르익으리오?」 (소프라노: 군둘라 야노비츠, 테너: 프리츠 분덜리히, 알토: 크리스타 루트비히, 지휘: 카를 리히터, 뮌헨 바흐 오케스트라)
  • 09 건반악기 협주곡 5번 f단조 BWV 1056, 2악장 라르고 (만돌린: 아비 아비탈, 포츠담 캄머아카데미)
  • 10 오르간 소나타 4번 e단조 BWV 528, 2악장 안단테 (피아노: 비킹구르 올라프손)
  • 11 칸타타 [깨어나라 부르는 목소리가 있으니] BWV 140, 6곡 이중창 「나의 친구는 나의 것」 (소프라노: 에디트 마티스, 바리톤: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지휘: 카를 리히터, 뮌헨 바흐 오케스트라)
  • 12 플루트 소나타 2번 E플랫장조 BWV 1031, 2악장 시칠리아노 (플루트: 이레나 그라페나우어, 하프: 마리아 그라프)
  • 13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 4곡 독창 「준비하라 시온아」 (알토: 안네 소피 본 오테르, 오보에 다모레: 안소니 롭슨, 지휘: 존 엘리엇 가디너,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 14 관현악 모음곡 2번 b단조 BWV 1067, 6악장 메뉴에트 (지휘: 라인하르트 괴벨, 무지카 안티쿠아 쾰른)
  • 15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 1곡 합창 「환호하라, 즐거워하라!」 (지휘: 존 엘리엇 가디너,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몬테베르디 합창단)

Disc2

  • 01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전주곡 C장조, BWV 846a (하프시코드: 저스틴 테일러)
  • 02 오보에 협주곡 d단조 BWV 1059R, 2악장 시칠리아노
  • 03 칸타타 [마음과 입과 행동과 생명으로] BWV 147, 10곡 코랄 「예수는 영영 내 기쁨이 되시니」 (지휘: 존 엘리엇 가디너,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몬테베르디 합창단)
  • 04 네 대의 건반악기를 위한 협주곡 a단조 BWV 1065, 1악장 알레그로 (피아노: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유스투스 프란츠, 게르하르트 오피츠, 헬무트 슈미트, 함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05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전주곡과 푸가 D장조 BWV 850 (피아노: 언드라시 쉬프)
  • 06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전주곡과 푸가 A장조 BWV 864 (피아노: 언드라시 쉬프)
  • 07 비올라 다 감바 소나타 3번 g단조 BWV 1029, 2악장 아다지오 (첼로: 야노스 슈타커, 피아노: 죄르지 세베크)
  • 08 바이올린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타 1번 b단조 BWV 1014, 1악장 아다지오 (바이올린: 모니카 허제트, 하프시코드: 톤 코프만)
  • 09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 10곡 신포니아 (지휘 및 오보에: 알브레히트 마이어, 하프시코드 및 오르간: 베니 아라키)
  • 10 환상곡과 푸가 a단조 BWV 904, 푸가 (피아노: 장 루이 스토이어만)
  • 11 마니피카트 D장조 BWV 243, 6곡 이중창 「주의 자비로우심이」 (알토: 헬렌 와츠, 테너: 베르너 크렌, 지휘: 카를 뮌힝거, 슈투트가르트 챔버 오케스트라)
  • 12 솔로 건반악기를 위한 협주곡 d단조 BWV 974, 2악장 아다지오 (피아노: 비킹구르 올라프손)
  • 13 칸타타 [깨어나라 부르는 목소리가 있으니] BWV 140, 4곡 코랄 「시온은 파수꾼의 노래를 듣고」 (테너: 페터 슈라이어, 지휘: 카를 리히터, 뮌헨 바흐 오케스트라)
  • 14 [골드베르크 변주곡] BWV 877, 1번 아리아 (피아노: 언드라시 쉬프)

아티스트 소개37

작곡Johann Sebastian Bach

관심작가 알림신청

요한 세바스찬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독일어: Johann Sebastian Bach, 1685년 3월 21일 ~ 1750년 7월 28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개신교회의 교회 음악가이다. 교회 성기사와 오케스트라, 듀오 악기를 위한 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음악을 창작했고, 그의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종말과 궁극적인 성숙을 동시에 가져왔다. 그는 바로크 시대의 최후에 위치하는 대가로서, 일반적인 작품은 독일음악의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위에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양식을 채택하고 그것들을 융합하여 독자적 개성적인 음악을 창조하였다. 종교적 작품은 기존 구교 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독일어: Johann Sebastian Bach, 1685년 3월 21일 ~ 1750년 7월 28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개신교회의 교회 음악가이다.

교회 성기사와 오케스트라, 듀오 악기를 위한 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음악을 창작했고, 그의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종말과 궁극적인 성숙을 동시에 가져왔다. 그는 바로크 시대의 최후에 위치하는 대가로서, 일반적인 작품은 독일음악의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위에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양식을 채택하고 그것들을 융합하여 독자적 개성적인 음악을 창조하였다. 종교적 작품은 기존 구교 음악과 차별화하여 새로운 음악을 통해 개신교회 예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바흐의 집안은 200년에 걸쳐서 50명 이상의 음악가를 배출한 일대 음악가계였다. 바흐 집안의 음악가들은 대대로 개신교회인 루터교회의 경건한 신자들이었고, 교회음악가로도 활동하였다. 또한 그들의 일에 강한 장인(匠人)적인 긍지를 품고 있었다. 이 '신앙'과 '장인기질(匠人氣質)'은 요한 제바스티안에게도 계승되어서, 마치 2개의 정선율(定旋律)과 같이 그의 일생을 관통하게 된다. 제바스티안 이전에도 17세기 초엽 이래 많은 유명한 작곡가를 배출했고, 일족의 중심지이었던 중부독일의 튀링겐 지방에서는 '바흐'가 '거리의 악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였을 정도였다. 그중에서도 제바스티안의 큰할아버지 하인리히 바흐(1615-1692), 그 아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42-1703)와 요한 미하엘 바흐(1648-94)는 음악사(史)에도 이름을 남긴 뛰어난 작곡가들이었다.

바흐는 사후 고전주의 음악사의 흐름에 밀려 완전히 잊혔으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U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을 1802년에 발표함으로써 전 유럽적 바흐 광풍을 몰고 오게 하였으며 또한 사후 바흐에 대한 재평가에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온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다.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큼 아주 훌륭한 곡을 많이 작곡 하였다.

바로크 음악에 있어서 바흐는 대위법 기술의 정수를 다한 사람이나, 그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당시에 이미 궁정문화에 침투했던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양식을 스스로 받아들여 칸타타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도 했다. 거기에는 그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배운 여러 나라의 온갖 요소가 모두 투입되어 그만이 지닐 수 있는 최고로 천재적이게 융화되어 일치미를 이루고 있다. 콘티누오(통주저음)만으로 반주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악기로 반주되는 독창이나 중창에 의한 이탈리아식 다 카포 아리아, 오페라적인 아리오소와 레치타티보, 가장 초기의 가브리엘 형태에서 바흐 시대의 프랑스식 서곡에 이르기까지의 관현악 신포니아, 협주곡, 트럼펫의 팡파르, 풍요한 장식성을 지니고 성악성부에 얽혀드는 기악의 오블리가토 성부, 복합창형식, 때로는 성악에까지 적용되는 프랑스의 리드미컬한 춤곡, 이러한 것이 독일의 오랜 전통인 코랄과 결부되고 있다. 대체로 바흐만큼 코랄을 훌륭하게 활용하고 또 코랄을 창작의 중심으로 삼기에 정당함을 느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여러 나라 양식의 혼합은 기악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프로베르거의 전통, 쿠프랭의 프랑스 모음곡형식, 쿠나우에 의하여 전해진 이탈리아의 소나타 다 카메라양식,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건반 텍스처(鍵盤書法), 푸가에 있어서도 클라비어 푸가는 이탈리아 협주양식의 영향을 나타내나 오르간 푸가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협주곡 분야에서는 끊임없이 비발디가 모범으로 숭앙되며, 가장 이탈리아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바흐의 작품은 매우 많은 여러 가지 양식을 포함하고, 또한 작곡한 분야도 넓으며 바흐 개인으로서도 시대에 따라 기술적, 내용적으로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인양식을 간단히 종합하기란 곤란하다고 하겠다.

바흐는 생전에도 동시대의 음악가였던 비발디나 텔레만과 같이 국제적 지명도를 가진 음악가는 아니었다. 사후에는 당시 음악가들이 대부분 그랬듯이 작곡가로서는 완전히 잊혀진다. 바흐 생애 후반부에 이미 고전파 음악의 전조가 시작되었고 바흐 음악은 낡은 것으로 취급되었다. 바흐는 비발디나 헨델과 같이 음악가의 프리랜서화를 선도하는 인물도 아니었고 끝까지 교회 음악가로 남았다. 고전파 시대에 바흐는 고전파의 문을 연 아들들의 아버지로서 오히려 유명하였다. 유명인 중에는 모차르트가 바흐의 악보를 찾아서 탐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모차르트 음악에 가끔 훌륭한 푸가가 보이는 것이 바흐의 영향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베토벤 또한 바흐를 연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그 영향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이 바흐를 극찬하는 말을 남겼다고하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아닌 아들 바흐에 대한 찬사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이다.

그러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사후 완전히 잊혔던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U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1802)를 발표함으로써 바흐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을 제공하였다. 근대 인문학으로서의 음악사학의 발전은 낭만주의 시대에 이전 시대의 음악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이들의 작품을 출판, 연주하기 시작하면서 바흐는 그 핵심 레파토리로 떠오른다. 바흐 생존 시기나 고전파 시대의 지명도와는 달리 낭만주의 시대에 바흐는 이전 시기 어떠한 음악가보다 높이 평가되기 시작하여 멘델스존 이후 음악가들 중 바흐를 연구하지 않은 작곡가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바흐에 대한 관심은 바흐가 많이 참고하고 편곡을 했던 다른 음악가들, 특히 비발디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켜서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바로크 음악의 부활을 이끌기도 하였다. 오늘 날에도 바흐는-그의 음악이 바로크 음악을 대표한다고 말할 수도 없고, 바로크 시대 가장 유명한 음악가도 아니었지만-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위대한 음악가로 추앙받고 있다.

서양 음악의 아버지라고 일컫는 바흐의 가문에서는 약 200년 동안에 걸쳐 저명한 음악가가 많이 나왔다.

Johann Sebastian Bach의 다른 상품

노래Kiri Te Kanawa

관심작가 알림신청

키리 테 카나와

성악가 (소프라노)

Kiri Te Kanawa의 다른 상품

노래Gundula Janowitz

관심작가 알림신청

군둘라 야노비츠

독일 출생 오스트리아의 소프라노 가수. 풍부하고 서정적인 음색과 넓은 음역을 자랑하며, 독일 및 이탈리아 작품에서 특히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였다.

Gundula Janowitz의 다른 상품

노래Fritz Wunderlich

관심작가 알림신청

프리츠 분덜리히

성악가 (테너)

Fritz Wunderlich의 다른 상품

노래Christa Ludwig

관심작가 알림신청

크리스타 루드비히

성악가 (메조 소프라노)

Christa Ludwig의 다른 상품

노래Edith Mathis

관심작가 알림신청

에디트 마티스

성악가 (소프라노)

Edith Mathis의 다른 상품

노래Dietrich Fischer-Dieskau

관심작가 알림신청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성악가 (바리톤)

Dietrich Fischer-Dieskau의 다른 상품

노래Helen Watts

관심작가 알림신청

헬렌 와츠

성악가 (콘트랄토)

Helen Watts의 다른 상품

노래Werner Krenn

관심작가 알림신청

베르너 크렌

성악가 (테너)

Werner Krenn의 다른 상품

연주Arthur Grumiaux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르튀르 그뤼미오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Arthur Grumiaux의 다른 상품

연주Heinz Holliger

관심작가 알림신청

하인즈 홀리거

오보에 연주자, 지휘자, 작곡가

Heinz Holliger의 다른 상품

연주Ton Koopman

관심작가 알림신청

톤 쿠프만

하프시코드 연주자, 지휘자

Ton Koopman의 다른 상품

연주Andrei Gavrilov

관심작가 알림신청

안드레이 가브릴로프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Andrei Gavrilov의 다른 상품

연주Hakan Hardenberger

관심작가 알림신청

호칸 하르덴베리에르,Ulf Hakan Hardenberger

트럼펫 연주자

Hakan Hardenberger의 다른 상품

연주Mischa Maisky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샤 마이스키

첼로 연주자

Mischa Maisky의 다른 상품

연주Martha Argerich

관심작가 알림신청

마르타 아르헤리치

1941년 6월 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세 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으며, 음악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빼어나 신동 소리를 들었다. 열한 살에는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극장 테아트로 콜론에 데뷔했다. 1955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해 프리드리히 굴다의 제자가 되었고, 1957년 부조니 콩쿠르와 제네바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1960년 연주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슬럼프를 겪던 아르헤리치는 1965년 제7회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녀의 연주는 쇼팽 해석을 혁신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1941년 6월 5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세 살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으며, 음악을 기억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빼어나 신동 소리를 들었다. 열한 살에는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극장 테아트로 콜론에 데뷔했다. 1955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해 프리드리히 굴다의 제자가 되었고, 1957년 부조니 콩쿠르와 제네바 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1960년 연주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슬럼프를 겪던 아르헤리치는 1965년 제7회 쇼팽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녀의 연주는 쇼팽 해석을 혁신했다는 찬사를 받았다. 이후 음반과 공연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며 숱한 명반과 명연을 남겼다. 현란한 테크닉과 파워풀한 타건으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 그녀는 〈BBC 매거진〉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9위에 선정되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그녀는 독주 무대 대신 실내악 협연 위주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오랜 친구이자 동료인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다니엘 바렌보임,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 등과 협연을 이어오고 있다. 또 루가노 페스티벌, 벳푸 아르헤리치 페스티벌 등을 조직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친구들’이라는 이름의 공연을 정기적으로 열고 있다.

그녀에게는 성姓이 다른 세 딸, 1964년 중국 출신 지휘자 첸량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리다 첸, 1970년 두 번째 남편이었던 지휘자 샤를 뒤투아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니 뒤투아, 1975년 연인이었던 피아니스트 스티븐 코바세비치와의 사이에서 낳은 스테파니 아르헤리치가 있다. 엄마로서 아르헤리치의 모습은 스테파니가 감독한 다큐멘터리영화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세 딸들Bloody daughter〉에 담겨 있다.

1992년 암(악성 흑색종)을 진단받은 그녀는 1997년 병이 재발했지만 회복해 완치되었다. 여든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치고 있다.

Martha Argerich의 다른 상품

연주Avi Avital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비 아비탈

만돌린 연주자

Avi Avital의 다른 상품

연주Vikingur Olafsson

관심작가 알림신청

비킹구르 올라프손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Vikingur Olafsson의 다른 상품

연주Maria Graf

관심작가 알림신청

마리아 그라프

하프 연주자

연주Anthony Robson

관심작가 알림신청

앤소니 롭슨 (오보에)

연주Justin Taylor

관심작가 알림신청

저스틴 테일러,Le Consort

하프시코드[클라브생], 포르테피아노 연주자.

Justin Taylor의 다른 상품

연주Janos Starker

관심작가 알림신청

야노스 슈타커

첼로 연주자

Janos Starker의 다른 상품

연주Gyorgy Sebok

관심작가 알림신청

죄르지 세복

피아니스트

Gyorgy Sebok의 다른 상품

연주Albrecht Mayer

관심작가 알림신청

알브레히트 마이어

클래식 오보에 연주자

Albrecht Mayer의 다른 상품

연주Beni Araki

관심작가 알림신청

베니 아라키

피아노 연주자

Beni Araki의 다른 상품

지휘Trevor Pinnock

관심작가 알림신청

트레버 피노크

하프시코드 연주자, 지휘자

Trevor Pinnock의 다른 상품

지휘Edo de Waart

관심작가 알림신청

에도 데 바르트

지휘Simon Preston

관심작가 알림신청

사이먼 프레스톤,Simon John Preston

오르간, 지휘자, 작곡가

Simon Preston의 다른 상품

지휘Karl Richter

관심작가 알림신청

칼 리히터

오르간 연주자, 지휘자

Karl Richter의 다른 상품

지휘John Eliot Gardiner

관심작가 알림신청

존 엘리엇 가디너

존 엘리엇 가디너는 바로크 음악뿐 아니라 모든 레퍼토리를 아우르는 세계적인 지휘자 중 한 명이다. 몬테베르디 합창단과 오케스트라, 리용 오페라 오케스트라,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그리고 혁명과 낭만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세계 주요 오케스트라 대부분을 지휘했으며 주요 오페라 극장에도 여러 차례 초대받았다. 현재 자신이 직접 농사를 짓는 영국 도시 농장에서 살고 있다.

John Eliot Gardiner의 다른 상품

지휘Reinhard Goebel

관심작가 알림신청

라인하르트 괴벨

바이올린 연주자,지휘자

Reinhard Goebel의 다른 상품

지휘Karl Munchinger

관심작가 알림신청

칼 뮌힝거

오케스트라New Philharmonia Orchestra

관심작가 알림신청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Munchener Bach-Orchester

관심작가 알림신청

뮌헨 바흐 오케스트라,Munich Bach Orchestra

오케스트라Philharmonisches Staatsorchester Hamburg

관심작가 알림신청

함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Philharmonic State Orchestra Hamburg / Philharmoniker Hamburg

오케스트라Kammerorchester Stuttgart

관심작가 알림신청

슈투트가르트 실내악단,Stuttgart Chamber Orchestra

합창Monteverdi Choir

관심작가 알림신청

몬테베르디 합창단

품목정보

발매일
2023년 10월 18일
시간/무게/크기
크기확인중

음반 속으로

유니버설뮤직 클래식 Universal Music Classics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3,000
1 2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