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작가의 말
1. 우연한 시작_ 무무헌 중건기 특별한 부탁|한옥과의 인연|실측조사는 작업의 핵심|집속의 집|원형에 대한 존경|한옥에 대한 오해|집 짓는 과정|건축가 노트01 2. 한옥은 실패했다 자발적 양옥 전도사|이 많은 흙이 지붕으로?|좁아서 살 수가 없다?|생활이 불편하다?|천연재료의 신화?|기와집은 비싸다?|어느 실학자의 한옥 비판|한옥 사랑의 사회적 배경|보존이냐 개발이냐|새로운 정책과 그 효과|미국의 전통주택 3. 공간의 재구성_ 취죽당 중건기 계속되는 질문|관찰|공간의 재구성|든든한 파트너, 목수|토털 건축 한옥|집 짓는 과정|마무리와 조경|건축가 노트02 4. 음악에 악보가 있다면 건축에는 도면이 있다 한옥은 도면 없이 짓는다?|현장성과 시스템|도면과 악보|한옥 도면|무무헌 다시 그리기|실측도면|실시설계도면 5. 모듈과 스케일, 그리고 유형_ 쌍희재 중건기 건축의 기본|작지만 의젓한 집|기둥과 기둥 사이|양옥은 붕어빵, 한옥은 떡|사분합문, 삼분합문|흥례문의 비극|다시 쌍희재로|건축가 노트03 6. 한옥을 짓는 사람들 한옥은 목수가 짓는다?|이론적 건축가와 기능적 건축가|누가 한옥을 설계하는가|목수들의 이야기|문화재와 다른 살림집 짓기 7. 구축술과 공간의 집합 형식과 내용|두 채의 한옥?|무엇이 한옥인가|시각적 동질성과 구축술|이론의 단절|사라진 연결고리|한옥의 미래 8. 진화, 그 미약한 시작_ 가회헌 신축기 다시 북촌으로|제약 속 창작|시작에는 아픔이 있다|긴장과 조화|중첩된 경관|구축술의 차이|건축가 노트04 9. 한옥 실험의 다양한 가능성 생물다양성과 한옥|한 집, 두 개의 게임 최욱|한옥을 리-이노베이션하다 서승모|원형에 대한 호기심 황두진|전통은 신세대가 더 잘 읽는다|왜 한옥인가|낡은 것을 새롭게 보다|매크로한 문제, 마이크로한 접근|형태 없는 기술|한옥 팔아요 10. 공간의 분화와 확장_ 김태식ㆍ김연하가 중건기 한옥은 어떠세요|지하실이 있는 한옥|원스톱 서비스|한옥의 수직적 확장|건축가 노트05 11. 국민한옥을 위하여 한옥의 경쟁력 회복을 위하여 한옥의 보편화를 위한 제안 추천의 말 사진으로 보는 용어해설 더 읽을 만한 책들 |
저황두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