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를 통해 중국에는 소설 《삼국지》에만 국한되지 않는 소위 삼국지문화라는 것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삼국지문화는 크게 역사서 《삼국지》, 소설 《삼국지》, 그리고 민간전설의 세 부분과 관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 ‘삼국지의 이해’ 중에서
삼국지문화는 역사서 《삼국지》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이 기본적 골격이고, 이것이 소설화되어지는 과정에서 정리자가 가미한 허구적 요소가 많은 다양성과 읽을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들의 바람과 정서가 담겨진 민간의 전설이 전반적으로 삼국지문화의 바탕에 깔려 있다. -- ‘삼국지의 이해’ 중에서
삼국지문화의 기본적 골격은 후한 後漢 말기부터 위 魏 ·촉 蜀 ·오 吳 로 나뉘어 병립했던 삼국시대3의 역사적 사실이 그 토대가 되고 있다. 실제 있었던 역사적 사실과 실존했던 인물이 바탕이 되어 역사소설 《삼국지》의 근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 ‘역사서 《삼국지》중에서
충의의 화신으로서의 관우 인물 형상은 역사서 《삼국지》에서 그 기초가 제공되어진 것이었다. 특히 관우가 조조 진영에 있던 기간은 불과 7개월 정도의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때 보여준 관우의 의로운 행동, 유비에 대한 충성, 전쟁에서의 승리, 뼈에 스며든 독을 제거할 때 보여준 의연한 모습 등이 충의의 화신으로서의 관우의 진면목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 '역사 속의 관우‘ 중에서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두 사람이 성인으로 추앙되어져 왔는데, 한 사람은 공자이고, 다른 한 사람이 관우이다. 공자는 문성 文聖 으로, 관우는 무성 武聖 으로 대접받아 왔던 것이다. 중국에서는 성인의 무덤을 림 林 이라고 한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공자의 무덤을 공림 孔林 , 관우의 무덤을 관림 關林 이라고 한다.
-- ‘포용적 중국문화 속의 관우’ 중에서
관우는 219년 형주에서 죽었고, 관우가 죽자 유비는 그를 장무후 壯繆侯 에 봉하였다. 그러다 약 천년 후 송대에 이르러 관우는 무안왕 武安王 으로 봉해졌다가, 명대 만력 시기에는 다시 나라를 지키는 충의대제 忠義大帝 에 봉해져, 천자와 동일한 지위
에까지 오르게 된다. -- ‘포용적 중국문화 속의 관우’ 중에서
위나라 지역에서 적장 장비가 모셔지고 있고, 오나라 지역에서 조조가 모셔지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삼국지문화는 결코 배타적이지 않고 대단히 종합적이고 포용적이라 하겠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고 하지만 승리한 자만을 기리는 것이 아니고, 패배한 적장을 아직까지도 기억하고 제사지내며 모시는 것을 보면 중국의 삼국지문화가 얼마나 포용적인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 ‘포용적 중국문화 속의 관우’ 중에서
삼국지문화의 핵심인 관우 문화와의 관련성을 내세운 호북성 형주시 荊州市 와 산서성 山西省 운성 運?城 이 바로 그곳이다. -- ‘삼국지와 지역문화’ 중에서
소설 《삼국지》가 기본적으로 촉한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묘사되어져 있고, 삼국지문화의 핵심이 관우이다 보니 중국 삼국지문화의 전체적 성격 역시 촉한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 ‘촉한 중심의 삼국지’ 중에서
원말 명초 시기에 나관중은 나날이 높아져만 가는 세상의 문화예술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에 바탕하면서, 전통적 유가 사상의 토대 위에 자신의 이상적 문예관과 사유체계를 발휘하여 이전 민간문학 속에서의 다양한 자료를 발전적으로 폭넓게 수용하며 역사소설 《삼국연의》를 탄생시킨다. 이 소설화 과정에서 관우는 그 인물 형상이 완벽한 형상화를 이루어 심미적 품격과 예술적 매력을 지닌 예술적 형상으로 승화되어 진다. -- ‘《삼국연의》에서의 관우 형상화’ 중에서
의리와 용맹, 지혜 등의 개성을 모두 갖춘 완벽한 인물 형상이었다. 평생 의리를 지키며 주군을 섬기며 세상을 살았고, 무예와 용맹으로써 나라와 백성을 지켰으며, 지혜롭고 의연하게 대처하고 수신하며 품성을 함양하였다. 전통 유가문화 속의 모든 미덕이 다 모여진 것이다. 이때부터 관우는 문학예술 영역의 예술 전형적 인물을 뛰어넘어 사람들이 믿고 따르는 사회적 영향력을 지닌 품격 있는 인물로 발전하게 된다. -- ‘《삼국연의》에서의 관우 형상화’ 중에서
부정적 요인의 삭제와 긍정적 요인의 부각이라는 내용적 면에서의 기법, 이야기 전개의 보완과 완전한 허구의 사용이라는 형식적 면에서의 기법은 모두 관우의 완벽한 이상적 인물형상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시도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관우라는 인물을 한 차원 높은 수준의 경지로 끌어올리게 된다.
-- ‘《삼국연의》에서의 관우 형상화’ 중에서
관우라는 인물은 소설 속에서 평생토록 의를 잃지 않고 실천한 도덕적 면에서 가장 숭고하고 완벽한 이상적인 인물로 예술성을 갖추어 그려져 있기에 이런 다중적 의미의 소설 속 관우 형상이 현실과 초현실의 혼재 속에서도 독자들에게 황당무계한 혼란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중국 전통사회 도덕문화에 잘 부합하며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 ‘《삼국연의》에서의 관우 형상화’ 중에서
명대의 초횡 焦? ·조흠탕 趙欽湯 등이 편찬한 《한전장군관공사지 漢前將軍關公祠志 》 권 卷 9 《예문지하 藝文志下 》에 수록된 찬 贊 13수, 송 頌 1수, 가 歌 4수, 부 賦 3편, 시 詩 81수가 있다. 청대 장진 張鎭 이 편찬한 《해량관제지 解梁關帝誌 》 권 卷 4《예문하 藝文下 》에 수록된 시 詩 104수, 가 歌 4수, 부 賦 2편, 송 頌 3편, 찬 贊 15수, 대련 對聯 22부가 있다. 주광업 周廣業 ·최응류 崔應榴 가 편찬한 《관제사적징신편 關帝事迹徵信編 》 권 卷 29 《시사 詩詞 》에수록된 시 76수, 사 詞 6수 등이 있다.
-- ‘시와 관우’ 중에서
소설 《삼국연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진수 陳壽 의 역사서 《삼국지 三國志 》의 내용이 민간에서 유전되어지다. 한편으로 당대의 삼국 이야기와 송대 ‘설삼분’을 거쳐 원대 《삼국지평화》로 발전하게 된다. 또 한편으로는 수대의 삼국 이야기를 제재로 한 희극이 송·원의 ‘제궁조 諸宮調 ’를 거쳐 송·원의 ‘삼국희 三
國戱 ’로 발전되었다가, 이 두 가지가 영향을 미쳐 나관중의 가정본《삼국지통속연의》가 나오게 되고, 이어 모종강의 《삼국연의》가 있게 된다.
-- ‘민간문학 속의 관우 형상’ 중에서
송?원대 민간문예와 원대의 《평화》, 잡극 등 민간문학에서의 관우 이상화 및 그 광범위한 전파는 관우문화현상 형성의 한 토대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소설 《삼국연의》 탄생을 위한 문학적 요소의 튼튼한 기반을 제공해 주었던 것이다.
-- ‘민간문학 속의 관우 형상’ 중에서
중국에는 삼국지문화가 존재하고 있는데, 그 중심에 관우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인들에게 있어 관우는 평화신과 재물신의 개념 속에 그들과 함께 살아오고 있는 것이다. --‘관우문화현상’ 중에서
통치계층의 강력한 추존과 일반인들의 숭배 속에서, 관우는 충성스런 한 장수에서 일반인들의 마음속 신이 되어 일반 가정에서 모셔지게 되었다. 인간에서 신으로까지 숭배된 관우 형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발전하여 전 중국에 그 위세를 떨치다가 중국인의 발자취를 따라 동남아 지역으로 건너가더니 끝내는 세계 각지로까지 뻗어
-- ‘민간문학 속의 관우 형상’ 중에서
중국의 많은 도교 사원에는 당연히 관우상이 모셔져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관우 부적은 돈을 벌어다 주는 재물신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거리의 식당, 찻집, 상점 입구에 놓여 있는 관우상에는 ‘날마다 돈 벌게 해주소서 天天發財 ’라고 적힌 문구와 더불어 관우의 손에 지폐가 들려져 있다. 관우 화상을 살 때는 절대 ‘산다 買 ’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청해서 모셔온다 請 ’고 말할 정도로 숭배하고 있다.
-- ‘민간문학 속의 관우 형상’ 중에서
관우 숭배의 근원적 요인의 내적 요소로써 관우라는 인물 그 자체를 들 수 있겠고 외적 요소로써 형주 荊州 라고 하는 지역적 기반을 들 수 있겠다. 관우는 그가 지닌 훌륭한 품성에 의해 중국인들에 매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형주를 지키는 동안 몸소 지역민과 소통하며 지도자로서의 품격을 보여주었고, 죽음의 장소라는 등의 여타의여러 가지 형주 지역과의 인연에 의해 결국은 형주 지역의 지역신이자 수호신이 되어 버린 것이다. -- ‘관우 숭배의 요인’ 중에서
관우 숭배를 구체화 시켜준 표면적 현상적 요인으로 민간전설, 종교, 민간문예와 문학이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의 추존과 고향 상인들의 숭배가 많은 작용을 하였다. -- ‘관우 숭배의 요인’ 중에서
관우 형상의 전형성은 동시에 민족성을 갖추고 있다. 관우 형상의 핵심인 충의는 중국 민족이 공감해 온 무용, 지혜, 의연함 등 다른 여러 가지 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성격은 유가의 전통적 문화가 일관되게 추구해 온 도덕적 기준 즉 인 仁 ,의 義 , 예 禮 , 지 智 , 신 信 , 충 忠 , 용 勇 등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다. 관우 숭배는 역사 속의 실존인물 관우의 기본적 자질이 근원이고 이후 문학에서 창조되어진 관우 형상이 덧붙여졌지만 종교적 부분의 작용과 요소가 없었다면 완성될 수 없었을 것이다. 관우에 대한 믿음이 종교와 만나면서 신앙의 수준으로 도약하게 되고 결국은 현실을 뛰어넘는 신으로 모셔지게 된다.
-- ‘관우 형상의 민족성’ 중에서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