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화수분
eBook

화수분

: 근현대 소설가 6人의 중단편소설

[ EPUB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정가
9,800
판매가
9,800
추가혜택
쿠폰받기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3월 04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24.47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10.2만자, 약 3.4만 단어, A4 약 64쪽?
ISBN13 9791193805299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전영택(田榮澤 1894. 1. 18 ~ 1968. 1. 16) 본관 담양(潭陽). 호 추호(秋湖)·늘봄
평양(平壤) 출생. 평양 대성학교(大成學校)를 중퇴하고, 일본 아오야마[靑山]학원 신학부를 졸업하였다. 1930년 도미, 버클리의 퍼시픽신학교를 수료하고 귀국하여 교회 목사, 《기독신문》 주간, 성경학교 등에 근무하였다. 8·15광복 후에는 조만식(曺晩植)과 함께 조선민주당을 창건하고 문교부장이 되었으나 공산독재가 노골화하자 월남, 맹아학교 교장, 중앙신학교 교수를 거쳐 계속 그리스도교 계통에서 봉사했다.
1919년 《창조(創造)》 동인이 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 그 첫 호에 단편 《혜선(惠善)의 사(死)》를 발표한 이후 계속 《운명》 《사진》 《화수분》 《흰 닭》 등을 발표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붓을 꺾고 울분을 달래다가 8·15광복 후에 다시 창작활동을 시작하여 38선의 비극을 그린 단편 《소》를 비롯하여 《새봄의 노래》 《강아지》 《아버지와 아들》 《쥐》 등을 발표하였다. 초기의 작품에는 인도주의적 요소를 내포하면서도 자연주의적·사실주의적인 색채가 강했으나 후기의 작품에는 그리스도교적 인도주의의 경향이 짙게 나타났다. 작품 외에 성서 ·찬송가 등의 번역에도 큰 공적을 남겼다.
 
주요섭(朱耀燮 1902. 11. 24 ~ 1972. 11. 14) 호는 금성(金星), 여심(餘心) 또는 여심생(餘心生)
숭실중학 3년 때 도일, 도쿄[東京]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중학부에 편입, 3·1운동 후에 귀국, 등사판 지하신문을 발간하다가 10개월간 옥고를 치르고 중국으로 망명, 1927년 상하이[上海] 후장[?江]대학을 졸업, 이듬해 도미하여 스탠퍼드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과정을 이수하였다. 그 후 신동아(新東亞) 주간, 코리아타임스 주필, 경희대학 교수,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 등을 차례로 역임했다.
1921년 단편 〈깨어진 항아리〉로 문단에 데뷔한 후 〈인력거(人力車)꾼〉 〈살인(殺人)〉 등을 계속 발표, 초기 프로문학의 특성인 하층계급의 생활과 그 자연발생적인 반항을 그려 신경향파(新傾向派) 작가로 불렸다. 한편 시도 쓰기 시작하여 〈이상(理想)〉 〈자유(自由)〉 등 휴머니티를 엿볼 수 있는 작품들을 내놓았다. 1930년에 장편 〈구름을 잡으려고〉를 《동아일보》에 연재하고 계속 성인의 연정(戀情)을 어린이의 눈을 통해 그린 그의 대표작 〈사랑 손님과 어머니〉를 발표하였다. 그 후 〈아네모네의 마담〉 〈추물(醜物)〉 등을 발표, 그의 중기(中期)의 작품활동을 장식했다.
8·15광복 후에는 다시 강렬한 현실의식을 반영하는 경향으로 되돌아가 〈눈은 눈으로〉〈대학교수와 모리배(謀利輩)〉〈잡초(雜草)〉〈망국노군상(亡國奴群像)〉〈죽고 싶어하는 여인〉 등을 발표했다. 초기에는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리얼리즘, 중기에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추구한 예술적 향취를 풍기는 자연주의적 경향, 다시 말기에는 사회고발적인 현실의식을 짙게 풍겼으나 대표작은 중기에 쓴 작품들이다.
 
박화성(朴花城 1903. 4. 16 ~ 1988. 1. 30) 호 소영(素影)
목포 출생. 1926년 숙명여고 졸업, 1929년 일본여자대학 문학부를 수료하고 작가생활에 들어갔다. 1961년부터 1973년까지 문인협회이사, 1965년에는 여류문인협회 회장에 선임되었고, 1966년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예술원상·한국문학상·목포시 문화상·이대(梨大) 문화공로상·은관(銀冠) 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저서에는 《백화(白花)》, 《사랑》, 《고개를 넘으면》 등 18편의 장편소설과 《햇볕 내리는 뜰악》, 《홍수전후(洪水前後)》, 《잔영(殘影)》, 《휴화산(休火山)》 등의 중단편소설 및 수필집 《추억의 파문》, 《순간과 영원 사이》과 자서전 《눈보라의 운하》가 있다.
 
한설야(韓雪野 1900. 8. 3 ~ 1976) 본명은 한병도(韓秉道). 필명은 만년설(萬年雪), 한형종(韓炯宗), 김덕혜(金德惠), 윤영순(尹英順), H생.
함남 함흥 출생으로 본명은 한병도(韓秉道)이다. 함흥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동경[東京]의 니혼[日本]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후 북창(北倉)사립중학교원을 거쳐, 1925년 《조선문단》에 소설 《그날 밤》이 추천되어 문단에 등단하였다. 그 해 카프(KAPF: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창설에 참가한 동맹원이었고, 1927년 이후 《프롤레타리아 예술선언》 《프롤레타리아 작가의 입장에서》 《문예운동의 실천적 근거》 등의 평론을 발표한 강경파 좌익작가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29년 단편소설《과도기》, 1946년 단편소설《모자》, 한국전쟁 중 에는 장편소설《대동강》등의 작품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1939∼1946년에 《청춘기》 《귀향(歸鄕)》 《황혼》 《한설야단편선》 《초향(草鄕)》 《탑(塔)》 《이녕(泥?)》 등 10여 권의 소설집을 냈다. 초기 작품에는 주로 만주,간도 등지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 고통의 현실을 그렸기 때문에, 그 주된 무대가 농촌이었고 계급의식을 강조하는 경향적 색채가 중심을 이룬다. 1934년 카프 제2차 검거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출감한 후, 함흥으로 귀양을 가 인쇄소를 경영하며 창작활동을 계속하였다. 이때 무력해진 프로문학의 전통을 살려보려는 의욕이 담긴 장편소설 《황혼》(1936)을 발표하였다. 이 소설은 유행하는 지식인의 불안사조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성장하는 노동계급의 삶의 현장을 취급한 그의 대표작이다. 1930년대 말에 이르러 전향자의 좌절과 현실타협의 논리가 작품상에 대두함으로써 그의 현실 변혁 의식이 점차 퇴색하기 시작했음을 엿볼 수 있다.
1940년부터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한 장편 《탑》이 한말 전환기의 전체상을 다룬 중량감 있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정신의 형상화에 미홉하다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8·15광복 후 조선문학건설본부의 노선에 반발하여 이기영(李箕永), 송영(宋影) 등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을 결성하였고, 이후 조선공산당의 지령에 의해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자, 월북하여 초기 북한문단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1947년 북조선문학총동맹 중앙위원장이 된 후 인민위원회 교육국장, 북로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문화부장을 거쳐 최고과학기술평의회 위원직,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을 지내기도 하였다. 1953년에는 농민의 삶과 투쟁을 다룬 장편 《설봉산》을 발표하기도 하였으나 1950년대 말부터 북한 내부에서 밀어닥친 노선의 변화로 기존의 카프문학이 아닌 항일 혁명문학으로 전통을 삼으려는 움직임이 일어나면서 큰 압박을 받게되었고, 정치적 주도세력인 만주 항일운동가출신자들과 정치적 사활을 건 투쟁을 벌였으나 결국 1962년 방탕하다는 이유와 출신성분이 나쁘다는 이유로 숙청되었다. 1976년 고향인 함흥에서 사망하였다.
 
이인직(李人稙 1862. 7. 27 ~ 1916. 11. 25) 호는 국초(菊初).
1862년 7월 27일(음력) 경기도 음죽(현 이천)에서 출생하였다. 1900년 2월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건너가 도쿄정치학교에서 청강생으로 수학하였다. 일본 체류 중 미야꼬신문사에서 잠시 머물면서 근대적인 인쇄·출판 문화를 경험하였고,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던 신파극에도 관심을 가졌다. 1903년 러일전쟁 중 일본군 통역으로 종군했다. 1906년 《국민신보》, 《만세보》의 주필로 활동하면서, 신소설 ?혈의 누?를 발표하였다. 1907년 6월에는 《만세보》를 인수한 《대한신문》의 사장으로 취임했다. 이때부터 이완용의 비서역을 맡았다. 1908년에는 극장 원각사(圓覺社)를 세워 자신의 신소설 ?은세계?를 상연하는 등 신극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일제의 주권 침탈 때 이완용을 대신하여 막후에서 밀사 역할을 담당했고, 다이쇼(大正) 즉위식에는 헌송문(獻頌文)을 바치는 등 친일 행동을 했다. 1911년 7월부터 1915년까지 경학원 사성을 맡아 전국 유림을 관장하는 한편, 선릉 참봉과 중추원 부참의를 역임하였다. 1916년 11월 25일 총독부 병원에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이해조(李海朝 1869. 2. 27. ~ 1927. 5. 11.) 호는 열재(悅齋), 이열재(怡悅齋), 동농(東濃). 필명으로는 선음자(善飮子), 하관생(遐觀生), 석춘자(惜春子), 신안생(神眼生), 해관자(解觀子), 우산거사(牛山居士).
1869년 경기도 포천(抱川) 신북면 신평리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이철용이며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후손이다. 호는 동농(東農)·열재(悅齋)·우산거사(牛山居士)·선음자(善飮子)·하관생(遐觀生)·석춘자(惜春子)·신안생(神眼生)·해관자(解觀子)이다.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고 초시에 합격하여 한학자로 명망이 높았다.
1907년 제국신문사에 입사하여 언론인이 되었으며 그해 신소설 《고목화》를 《제국신문》에 연재했다. 이후 《빈상설》을 연재했다. 또한 1907년에 창설된 정치단체인 대한협회 교육부 사무장으로 활동하였다. 1911년 일본 총독부 기관지인《매일신보》에 입사하여 많은 작품을 연재하였다. 그는 30편에 가까운 신소설을 발표하였는데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유종(自由鐘)》(1910)은 주인공들의 토론형식을 빌려 정치이념을 제시한 작품이며 《화(花)의 혈(血)》(1910)은 부패관리의 부정을 폭로한 소설이다. 대체로 그의 신소설은 신교육과 개화사상을 고취하면서 당시 사회의 부조리를 반영하였다. 《철세계(鐵世界)》는 프랑스의 베른의 소설을 번안한 것이며, 그 밖에도 한국의 고대소설을 신소설화하여 《춘향전(春香傳)》을 《옥중화(獄中花)》, 《심청전》을 《강상련(江上蓮)》 등으로 개작 발표하였다. 그 밖에 《춘외춘(春外春)》, 《빈상설(?上雪)》, 《월하가인(月下佳人)》, 《구마검(驅魔劍)》, 《모란병(牡丹屛)》, 《화세계(花世界)》, 《원앙도(鴛鴦圖)》, 《봉선화(鳳仙花)》, 《비파성(琵琶聲)》 등이 있다.

회원리뷰 (0건) 회원리뷰 이동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0건) 한줄평 이동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구매후 즉시 다운로드 가능
  •  배송비 : 무료배송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