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통일미래센터는 위도 삼팔선상에 자리하고 있는데, 실제로 삼팔선이 지나는 자리에 독일에서 기증받은 ‘베를린장벽’이 서 있다. 독일은 2020년을 기해 통일된 지 30년이 넘었고,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 상태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처음 남북으로 나뉘었던 그 경계선에 서서, 통일 이후 7년이 지난 미래를 상상해 본다.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까? 그리고 그 변화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 p.66~67, 「화해와 공존의 통일미래 상상하기_(경기 파주·연천」 중에서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와 제진역은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제진역에 마련된 ‘통일로 가는 평화열차’라는 이름의 기관차와 객차는 금강산 관광과 남북 교류를 위해 달릴 날을 기다리고 있는 듯하다. … 언젠가는 기차를 타고 금강산과 원산을 수학여행으로 가고, 평라선으로 갈아타 두만강과 나진을 거쳐, 국경을 넘어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유럽까지 여행할 수 있기를 꿈꿔 본다.”
--- p.108~109, 「동해북부선을 따라 금강산 가는 길_(강원 강릉·속초·고성)」 중에서
“강화도는 흔히 ‘지붕 없는 역사관’이라고 불린다. … 이에 빗대면, 목포는 ‘지붕 없는 20세기 역사관’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 같다. 목포는 강화도에서 확인한 19세기 말 외세와의 대결 뒤에 우리가 어떤 일을 겪었는지, 그로부터 100년 넘는 시간 동안 우리는 무엇을 바라며 살아왔는지를 돌아보기에 좋은 도시다.”
--- p.238, 「자유, 민주, 통일을 향한 열망이 공존하는 도시_(전남 목포)」 중에서
“남북 대립만 생각한다면 부산은 후방 중의 후방이지만, 일본과의 관계사를 통틀어 살펴보면 최전선 중의 최전선이기도 했다. 예컨대 조선 시대에는 조선통신사 등을 통해 일본과 교류하던 창구였지만, 구한말에는 일본이 가장 먼저 발을 디딘 곳 중 하나였다. 이렇듯 이 도시는 역설의 땅이다. 지금도 부산은 일본이란 존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자, 한반도의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핵심 중의 핵심 도시다.”
--- p.267, 「한반도의 또 다른 최전선_(부산)」 중에서
“일견 보수적인 이미지와 달리 대구는 역사적 깊이가 유독 깊은, 매우 혁신적인 도시 중 하나였다. 일제강점기 직전 국채보상운동을 통해 ‘공동체와 나’의 관계를 다시금 써 내려간 도시다.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고장으로서 국내 유일의 독립유공자 전용 묘역도 대구에 있다. 2017년에 일곱 번째 국립묘지로 승격된 국립신암선열공원이 그곳이다.
대구가 낳은 문화예술 분야 인물이 가수 김광석만은 아니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하고 외쳤던 이상화 시인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라고 노래한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육사, 그리고 소설가 현진건도 대구가 낳은 인물이다. 더욱이 광복 뒤에는 1946년 대구 노동자들과 농민들이 미군정의 식량 정책 실패와 친일 세력에 맞서 일어선 10월항쟁과 이승만 정권을 끝내버리는 계기가 된 2 ·28민주운동 등, 한국 민주화운동의 초석을 놓았다.”
--- p.318, 「보수적인 듯하지만 참여와 혁신을 꿈꾼 도시_(대구)」 중에서
“제주도가 상징하는 이미지 가운데 하나는 ‘평화’다. 1990년에 성사된 한·소 수교 이듬해에 노태우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구소련 대통령이 처음으로 만나 냉전 해체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던 곳, 1996년 김영삼 대통령과 하시모토 일본 총리가 회담하며 한일 파트너십 관계를 강화했던 곳,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는 한반도 긴장 완화와 남북 평화 정착을 위한 ‘4자회담’을 제안했던 곳, 그리고 2004년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일본 총리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을 열어 동북아평화협력체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했던 곳. 이 모두가 제주도를 배경으로 벌어졌던 일들이다.
그러나 제주도가 평화를 논의하는 섬이 되는 길은 그리 순탄치 못했다. 오히려 극한의 좌절과 고통 그리고 제국주의 침략사가 곳곳에 뿌리박혀 있는 역설의 땅이 제주도였다. 알고 보면 여행자들의 방문지 가운데도 그와 같은 역사가 서린 곳이 적지 않다.“
--- p.372, 「‘평화의 섬’ 제주도의 이면_(제주 남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