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머리말
01 나는 어떻게 콘텐츠를 기획했나? #첫 번째 만든 작품: [가요무대] 예고 #PD들과 함께 『PD, WHO & HOW』를 엮다 #내부탐험과 외부탐험으로 [낭독의 발견]을 기획하다 #사전, 강제연결법 그리고 [단박인터뷰] 02 방송이란 무엇인가? 기획이란 무엇인가? #시시포스의 바위, 콘텐츠의 변화 #방송, 수많은 ‘기’가 모이는 곳 #선택과 배열을 통한 밀도 높이기 #기획은 죽은 온천마을도 살린다 #기획은 귀를 쫑긋 세우는 습관에서 03 트렌드란 무엇인가? #천지인 기획법의 시작, 트렌드 #간접 경험과 직접 경험을 통한 트렌드의 발견 #포용을 통한 지역재생 ‘가미야마 스토리’ 04 콘텐츠란 무엇인가? #세상에서 가장 창의적인 미술관 #콘텐츠는 무엇인가? #기획의 기초, 벤치마킹 #콘텐츠 기획의 확장, 세력장 분석 #체험을 파는 움프쿠아 은행의 상상력 05 콘텐츠 분석, 어떻게 할까? #기획은 나열이다 #왜 철학자들은 걸으며 생각했을까? #데카르트는 왜 나열을 중시했나? #콘텐츠 분석을 관통하는 7단계 #모든 콘텐츠에는 신화가 압축되어 있다 06 사람이란? 수용자란? #콘텐츠를 만드는 가장 기초적 방법, 인터뷰 #인터뷰에서 빠트리기 쉬운 것 #좋은 인터뷰를 할 수 있는 여덟 가지 방법 #인터뷰 질문에는 어떻게 답할까? 07 디자이너의 생각법을 들여다보기, 디자인싱킹 #새로운 발상과의 연결고리, 디자인싱킹 #라캉의 욕망 이론 이해하기 #디자이너는 어떻게 생각할까? #음식과 잡지로 사람을 연결하다, 『먹는 통신』 08 기획자를 위한 미디어 이론 #맥루한의 미디어에 대한 정의 #모든 미디어의 내용은 또 하나의 미디어다 09 플랫폼과 재매개 이론 #플랫폼의 핵심 가치와 법칙 #재매개 또는 재미디어화의 논리 #재미디어화의 논리와 시뮬라시옹 10 언어로 콘텐츠 기획하기 #언어가 가지고 있는 막강한 힘 #왜 독일의 고속도로는 아우토반인가? #언어의 선험성, 타자성, 주술성 #의미론으로 기획한 [단박인터뷰] #말의 뿌리에 기획이 주렁주렁 11 편집에도 이론이 있을까? #편집은 삼겹살이다, 편집의 3법칙 #편집, 깊어지고 넓어지는 과정 #요약과 연상=정박과 중계 #편집과 큐레이션 #그림으로 요약하라, 도해화 #기획을 위한 시소러스 접근법 12 수사학 #수사학의 아버지,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은 어떻게 기획에 도움이 되는가? 13 은유와 KJ법 #은유를 만드는 3단계 #자동차 산업도 은유 찾기 중 #아이디어의 증폭기, KJ법 #기획은 발산과 수렴을 통해서 이뤄진다 #앞으로 등장했으면 하는 K 콘텐츠 14 창의력과 스캠퍼 #창의성은 생존 확률을 높여 준다 #창의성은 노동이다 #창의적 일곱 가지 생각도구: 스캠퍼 15 에크프라시스로 방송 콘텐츠 기획하기 #에크프라시스의 4단계 #에크프라시스는 드라마의 생명을 좌우한다 #에크프라시스가 약한 드라마는 힘이 없다 16 철학으로 콘텐츠 기획하기 #벤츠의 남다른 자동차 철학 #철학은 방법론이다 #철학을 활용한 기획자, 스티브 잡스 #질문으로 세상을 바꾼 소크라테스 #쇼펜하우어와 드라마 [기상청 사람들] #시몬 베유의 관심과 상상력 #결국 좋은 사람이 좋은 기획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