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자주하는 질문 I. 실기평가개요 1. 클로즈 가드 스윕(Closed guard sweep) (1) 시저스 스윕(Scissors sweep) (2) 기무라 스윕(Kimura sweep) 2. 클로즈 가드 패스(Closed guard pass) 3. 하프 가드 스윕(Half guard sweep) (1) 롤 오버 스윕(Roll over sweep), 샤오린 스윕(Shaolin sweep) (2) 니 탭 스윕(Knee tap sweep) 4. 하프 가드 패스(Half guard pass) 5. 버터플라이 가드 스윕(Butterfly guard sweep) 6. 버터플라이 가드 패스(Butterfly guard pass) 7. 시팅 가드 스윕(Sitting guard sweep) 8. 시팅 가드 패스(Sitting guard pass) 9. 엑스가드 스윕(X-guard sweep) 10. 엑스가드 패스(X-guard pass) 2가지 11. 데라히바 가드 스윕(Delariva guard sweep) 12. 데라히바 가드 패스(Delariva guard pass) 13. 스파이더 가드 스윕(Spider guard sweep) 14. 스파이더 가드 패스(Spider guard pass) 15. 라쏘 가드 스윕(Lasso guard sweep) 16. 라쏘 가드 패스(Lasso guard pass) 17. 사이드 포지션 컨트롤(Side position control) 18. 사이드 포지션 컨트롤 이스케이프(Side position control escape) 19. 스카프 홀드(Scarf hold) 20. 스카프 홀드 이스케이프(Scarf hold escape) 21. 노스 사우스 포지션(North-south position) 22. 노스 사우스 포지션 이스케이프(North-south position escape) 23. 마운트 암바(Mount arm-bar) 24. 마운트 이스케이프(Mount escape) 25. 백 포지션 컨트롤(Back position control) 26. 백 포지션 컨트롤 이스케이프(Back position control escape) 27. 백 마운트(Back mount) 28. 백 마운트 이스케이프(Back mount escape) 2가지 (1) 백 마운트 이스케이프 첫 번째 (2) 백 마운트 이스케이프 두 번째 29. 트라이앵글 초크(Tringle choke) 30. 트라이앵글 초크 이스케이프(Tringle choke escape) 31. 암 트라이앵글 초크(Arm tringle choke) 32. 암 트라이앵글 이스케이프(Arm tringle escape) 33. 크로스 라펠 초크(Cross lapel choke) 34. 루프 초크(Loop choke) 35. 이제키엘 초크(Ezekiel choke) 36. 베이스볼 초크(Baseball choke) 37. 포암 초크(Forearm choke) 38. 클락 초크(Clock choke) 39. 하프넬슨(Half-nelson) 40. 암바(Arm-bar) 41. 기무라(Kimura) 42. 아메리카나(Americana) 43. 오모플라타(Omplata) 44. 니 바(Knee bar) 45. 니 바 이스케이프(Knee bar escape) 46. 토우 홀드(Toe hold) 47. 토우 홀드 이스케이프(Toe hold escape) 48. 카프 락(Calf lock) 49. 카프 락 이스케이프(Calf lock escape) 50. 리어 네이키드 초크(Rear naked choke) 51. 리어 네이키드 초크 이스케이프(Rear naked choke escape) 52. 암바 이스케이프(Arm-bar escape) 53. 아킬레스 홀드(Achilleus hold) 54. 아킬레스 홀드 이스케이프(Achilleus hold escape) 55. 니 온 밸리(Knee on valley) 56. 니 온 밸리 이스케이프(Knee on valley escape) 57. 길로틴 초크(Guillotine choke) 58. 길로틴 초크 이스케이프(Guillitine choke escape) 59. 딥 하프 가드(Deep half guard) 60. 딥 하프 가드 이스케이프(Deep half guard escape) 61. 전방낙법 62. 후방낙법 63. 측방낙법 64. 전방회전낙법 65. 장애물회전낙법(고양이낙법) 66. 원 렉 테이크다운(One leg take down) 67. 투 렉 테이크다운(Two leg take down) 68. 업어치기(Seoi-nage, Shoulder throw) 69. 한 팔 업어치기(Ippon-seoi-nage, One-armed shoulder throw) 70. 업어 떨어뜨리기(Seoi Otoshi) 71. 빗당겨치기(Tai-Otoshi, body drop) 72. 어깨로 메치기(Kata-guruma, shoulder wheel) 73. 발목 잡아 메치기(Kibisu-gaeshi, Heel trip) 74. 허리 껴치기(Uki-goshi, Large hip throw) 75. 허리 후리기(Harai-goshi, hip sweep) 76. 허리 튀기(Hane-Goshi, hip spring) 77. 밭다리 후리기(Osoto-gari, Large outer reap) 78. 안뒤축 걸기(Kouchi-gake) 79. 안뒤축 후리기(Kuchi-gari, Small inner reap) 80. 안다리 후리기(Ouchi-gari, Large inner reap) 81. 발목 받히기(Sasae-Tsurikomi-Ashi, Supporting foot lift-pull throw) 82. 허벅다리 걸기(Uchi-mata, Inner thigh reap) 83. 배대 뒤치기(Tomoe-nage, Circular throw) 84. 안오금 띄기(Sumi-gaeshi) 85. 뒤집어 넘기기(Tawara-gaeshi) II. 경기 및 심판규칙(2문제, 40점) 1.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상황 2. 어드밴티지 받을 수 있는 상황 3-1. 규정상 모든 벨트에서 허용되지 않는 기술 4가지 이상 말하시오 3-2. 서브미션이 걸린 상황에서 상대를 슬램 시 레프리의 상황 대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4. 누적성 페널티를 받는 상황을 3가지 이상 말하시오 5. 실격성 패널티(디서플러너리 메이저 파울)를 받는 상황을 3가지 이상 말하시오(서브미션 제외) 6. 실격성 페널티를 받는 서브미션을 3가지 이상 말하시오 7. 페널티를 받는 도복 그립 또는 도복 컨트롤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8. 불리한 포지션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작정 도망을 가서 장외가 된 경우 심판의 판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9. 주짓수 도복 규정에 대해서 4가지 이상 말하시오 10. 더블 풀 가드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1. 하프 가드 포지션에서 어드밴티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2. 앵클락 시도 중 실격이 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3. 주짓수 경기장 규격에 대해서 말하시오(최소 사이즈, 최대 사이즈) 14. 각 연령별 주짓수 경기 시간에 대해서 말하시오(JJIF 기준) 15. 기출성인 기준 경기 체급에 대해서 말해 보시오 16. 고등부 및 성인부 시합에서는 허용되지만 초등부 및 중등부 시합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서브미션을 3가지 이상 말하시오 17. 경기 중 벨트와 바지 끈을 고쳐 맬 때 허용되는 최대 시간을 말하시오 18. 사이드 컨트롤을 점유했지만 3점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9. 니 리핑(Knee reeping)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누적성 페널티를 받는 상황과 실격성 페널티를 받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0. 테이크다운을 통해 2점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1. 경기 중 부상을 당했을 시 사용할 수 있는 메디컬 타임의 시간과 횟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2. 4점 포인트를 받는 백 컨트롤 자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3. 2점 포인트를 받는 니 온 밸리의 자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4. 스윕을 통해 2점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5. 가드 패스 중 어드밴티지를 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6. 서브미션 중 어드밴티지 또는 2점을 받을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7. 장외에서 어드밴티지를 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8. 장외에서 2점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9. 장외에서 페널티를 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0. 시합 중 경기를 중지시키고 스탠딩으로 재시작하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III. 평가영역(지도방법) 1. 기출업어치기를 설명해 보시오 2. 앵클락(Ankle lock)을 설명해 보시오 3. 백 초크를 설명해 보시오 4. 싱글 렉 테이크다운을 설명해 보시오 5. 힙 이스케이프(새우빼기, 새우 드릴)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6. 오픈 가드의 종류를 세 가지 말하고, 그중 한 가지 가드를 세팅 및 유지하는 법을 설명해 보시오 7. 사이드 컨트롤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8. 사이드 컨트롤에서 마운트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9. 숄더 브리지(우빠)가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설명해 보시오 10. 마운트 암바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11. 프론트 헤드락(킬로틴 초크)이 나올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기술을 지도해 보시오 12. 클로즈 가드에서 할 수 있는 서브미션 세 가지를 말해 보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13. 트라이앵글 초크를 설명해 보시오(세팅 제외) 14. 클로즈 가드 패스의 종류를 세 가지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15. 오픈 가드 패스 세 가지를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16. 주짓수를 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운동 세 가지를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17. 마운트에서 전환 가능한 포지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8. 가드 패스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9. 사이드 컨트롤(탑)에서 가능한 서브미션을 세 가지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20. 백 컨트롤에서 가능한 서브미션을 세 가지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21. 백 컨트롤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2. 회전 낙법을 설명해 보시오 23. 초보자가 처음 스파링을 할 시 주의 사항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24. 클로즈 가드 스윕 세 가지를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25. 하프 가드(탑/바텀)에서 할 수 있는 서브미션을 세 가지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26. 하프 가드에서 할 수 있는 스윕을 세 가지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27. 마운트에서 이스케이프 하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말하고, 그중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28. 가드 상황에서 상대방의 하단 라펠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기술 하나를 설명해 보시오 29. 파트너와 할 수 있는 오픈 가드 패스 드릴 한 가지를 설명해 보시오 30. 파트너와 할 수 있는 서브미션 드릴을 한 가지 설명해 보시오 31. 기무라락이 나올 수 있는 상황 세 가지를 말하고, 그중 한 상황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Ⅳ. 평가영역(지도자로서의 리더십/태도) - 1문제(20점) 1. 하임리히법을 설명하시오 2. 골절 대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 쿨다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4. 스파링이 과열되었을 시 지도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5. 남성과 여성이 스파링을 할 시 주의할 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6. 스포츠 인권에 관련하여 성폭력과 이에 따른 예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7. 심폐소생술(CPR)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8. 응급처치 기법인 PRICES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9. 격렬한 스파링과 부드러운 스파링(롤링)의 장단점과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0. 도장에서 숙련자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1. 초보자 지도와 숙련자 지도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2. 주짓수 승급의 기준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3. 주짓수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역량 세 가지를 말하시오 14. 준비운동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5. 바람직한 수련 및 대련 파트너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6. 주짓수를 통해 생활체육인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7. ATP란? 18. 에너지 대사과정을 설명하시오 시험 현장 스케치 기출문제 예시 실기, 구술자의 최신 후기 수험자들을 위한 tip 맺음말 참고자료 |
저박병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ㆍ 최신업데이트 개정판
ㆍ 스포츠 지도사 자격증의 필독서 ㆍ 실기와 구술 준비사항: 주짓수 기술을 시범은 물론 동작에 대해서 구술로써 설명이 충분히 가능해야 한다. 기술의 포인트가 되는 사항들에 대해서 정확히 표현하고 시행 순서에 대해서 숙지하여 말로써 표현해야 한다. 개정된 룰과 심판의 판정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에서의 주짓수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큰 전환점이 찾아왔다. 이제는 주짓수가 단순히 종합 격투기 선수나 일부 마니아 계층의 취미가 아닌 생활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짓수 스포츠지도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2022년에는 첫 스포츠지도사 시험이 개최되었고, 많은 인원들이 이에 응시했으며, 주짓수 종목으로 전문 스포츠지도사와 생활 스포츠지도사가 배출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동향과는 대조적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교재의 부족이라는 어려움도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어려움을 보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저자는 본인의 체육관에서의 경험과 시행착오를 토대로 저술하였다. 주짓수 기술의 이해와 룰의 숙지, 심판 역할뿐만 아니라 응급처치와 스포츠 사회적 이슈 등을 포함하여 스포츠지도사 시험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전문 스포츠지도사와 생활 스포츠지도사를 한꺼번에 준비할 수 있으며 주짓수 입문자들에게도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