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산만증 아이들은 그들의 산만함, 충동성, 집중력 부족에 의해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지만, 이것은 이들의 장점이 되기도 한다. 산만한 성향과 충동성이 실수의 원인이 되긴 해도, 때로는 하고자 하는 일을 서슴지 않고 행동으로 옮기는 행동파가 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 아이들의 특징으로 가장 잘 알려진 집중력 부족은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약점이 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가지 일을 한꺼번에 해내는 능력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아이들의 장점과 단점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격려해주고 단점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꾸준히 해주는 게 좋다. --- 「옮긴이의 말」중에서
나는 주의산만증이 질환이라기보다는 일종의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주의산만증을 의학적 의미의 장애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아무런 병이 없어도 시력이 감소하는 경우와 같은 것이다. 의학적 용어에서 장애는 병이나 질환을 뜻하는데, 주의산만증은 그렇지는 않다. --- 「주의산만증은 정신병이 아니다」중에서
주의산만증의 다른 특성들처럼 과잉행동성, 무기력, 수치심 등은 영?유아기에 경험한 양육자에 대한 신경학적 기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양육자와의 관계가 소원하고 그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양육자가 정신을 딴 데로 쏟고 있음을 마음속에서 인식하자마자 영?유아기의 아기는 불편한 느낌이 일어날 것이다. 이것은 성장하면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며, 정서적으로 혼자라고 느끼는 아기의 심적 고통이 기록된 반응을 즉각적으로 촉발시킨다. 그렇게 되면 마음은 어쩔 수 없는 무력감에 빠져들거나 애착의 대상을 찾아 헤매게 된다. 어떤 생각이나 공상, 기억, 대화, 음악, 독서 등 그 어느 것이든 말이다. 이런 것들이 애착을 갖게 해주지 못한다면 또다시 강렬한 불쾌감을 느끼거나 자신에 대해 혐오스러울 정도로 지루함을 느낀다. --- 「과잉행동성과 무기력, 수치심에 대해서」중에서
건강한 두뇌의 발달을 위해서는 모유 수유뿐만이 아니라 환경에서 정서적인 안정감과 따뜻함을 필요로 한다. 이 안정감은 부모의 사랑과 최선의 관심 그 이상을 의미한다. 그것은 또한 통제하기 어려운 변수에 좌우된다. 즉, 정신적인 평정 상태를 좀먹을 수 있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있어야 한다. 영아기 동안의 평온하고 일관된 정서적인 환경은 자기 통제력을 관장하는 신경생리학적 회로망이 설비되는 데에 핵심적인 필수조건이다. 이것이 방해를 받으면 두뇌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된다. 주의산만증은 그렇게 해서 일어날 수 있는 결과 중의 하나이다. --- 「최초의 뇌세포 발달은 어땠을까?」중에서
이렇게 불안한 부모들은 자기 조절을 못하고 어린아이 같은 행동을 한다. 즉, 충동, 분노, 신체적 발작, 무기력감으로 회귀한다. 이런 방식으로 접근하게 되면 주의산만증 아이는 더 심한 불안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는 더 심하게 두려워하거나 막무가내의 공격성을 보이게 된다. --- 「부모의 행동에 반응할 뿐인 아이들」중에서
양육에서 중요한 점은 아이를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아이가 최선의 발달을 하도록 촉진시켜줄 것인가이다. 공격적이거나 파괴적인 행동과 마찬가지로, 부모의 강한 통제가 아이의 적대성을 드러나게 하면 할수록 부모와 아이의 관계는 이미 만신창이가 되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이의 대항의지의 힘은 막강하게 커져 있다. 이렇게까지 되지 않으려면, 적절한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 대항의지를 완화시킴으로써 미리 예방할 수가 있다. --- 「아이에게 다가가는 법」중에서
“주의산만증인데, 어떻게 의과대학을 무사히 졸업할 수 있었나요”
나는 종종 이런 질문을 받곤 한다. 대답은 아주 간단하다. 주의산만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사람들이 대단히 많다는 사실이다. 주의산만증은 여러 가지 면에서 인생의 희망을 쉽게 꺾어버릴 수도 있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인생에서 겪는 다른 일들과 마찬가지로, 주의산만증 역시 그 정도가 다양해서 양 극단 사이에서 다양하고 많은 성취를 경험할 수 있다. --- 「무언가 중요한 걸 놓치는 것 같아」중에서
이 책에서 나는 줄곧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우리가 주의산만증을 치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법과 치료적 접근법은 아이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기 때문이다. 부모가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아이들이 어떤 이유로 무슨 일을 하는지 이해하려고 할 때, 자연으로부터 부여받은 현명하고 강한 부모의 사랑이 그들의 말과 행동으로 비로소 올바르게 전달된다. 아이들에 대한 열린 마음과 애정 어린 호기심을 가지고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는 주의산만증 성인이 자기 치유의 긴 여정에 나설 때에도 매우 중요하다.
--- 「스스로를 지지하는 방법 알기」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