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는 캣맘으로서 사회부 기자로서 책을 읽고 쓰는 작가이자 배우들의 다정한 친구로서 살고 있는 한 사람의 삶이 오롯이 담겨 있다. 우리가 무심히 지나치는 풍경 속에 엄연히 자리하는 약자들을 더 이상 모른 척하지 않기로 결정한 사람의 용기가 읽는 내내 마음을 흔든다. 자신이 벌이는 분투들의 무게를 과장하지 않고 최대한 작고 겸손한 언어로 기록해 ‘비인간 동물’에 대한 존중과 사랑이 식물의 홀씨처럼 세상에 멀리 날려가기를 바라는 마음. 그 곡진한 태도와 성찰은 욕심과 물신주의에 물든 일상의 패턴을 바꾸고 생명을 지닌 존재들이 누려야 할 세상의 정당한 지분을 마련하기 위한 소중한 출발점이다. 저자가 추운 날 새벽에도 어김없이 일어나 길 위의 존재들을 위해 마련해놓는 따뜻한 물 한 그릇처럼, 황망한 마음으로 거리를 서성이는 날들을 통과해 겨우 어른이 된 모두에게 이 책이 반가운 온기로 남으리라 믿는다.
- 김금희 (작가)
몇 달 동안 밥을 챙겨주었던 고양이가 있었다. 시계가 없이도 시간 약속을 지킬 줄 아는 친구였다. 어느 날 그 고양이가 영원히 돌아오지 않았을 때 마음속에 작은 무덤이 생겼다. 자매와 함께 열다섯 곳이 넘는 길고양이 밥자리를 챙기고 있는 박소영 작가에겐 얼마나 많은 생채기가 있을지 상상할 수가 없다. 작가의 눈길은 길고양이에서 주유소에 묶여 방치된 개에게로, 더운 겨울 때문에 겨울잠에 들지 못한 너구리에게로, 쓸개즙을 채취당하다 버려진 곰들에게로 점점 멀리 가 닿는다. 인간이 아닌 생명들에게, 그 생명들을 위해 슬퍼하는 사람들에게 세계는 참혹하기만 하지만 이 압도적인 슬픔은 어쩌면 변화의 촉매제가 될지도 모르겠다. 정치학자 에리카 체노웨스는 비폭력적 저항을 하는 인구의 3.5퍼센트로도 기존 시스템을 바꿀 수 있다는 연구를 내놓았는데, 박소영 작가야말로 그 3.5퍼센트에 속하겠구나 확신하게 되었다. 아물지 않는 마음을 안고도 가보지 않았던 방향으로 걷는 이들을 있는 힘껏 응원한다.
- 정세랑 (작가)
박소영 기자를 알게 된 건 10년이 조금 안 된 어느 봄날이었다. 당시 그녀의 관심사는 보통 책과 영화 그리고 공연과 배우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가슴속 깊이 품어온 아티스트를 인터뷰하는 날이면 전날부터 아이처럼 설레어했고, 의도치 않게 좋은 사람을 만나게 되면 역시나 아이처럼 그이의 칭찬을 늘어놓기도 했다. 그렇게 친구가 되었고, 그녀는 가끔씩 삶에 아파하는 나에게 책과 영화, 무엇보다 열린 귀로 위로를 선물하는 사람이 되어주었다. 그리고 난 어느 순간부터 소독약처럼 이 기자를 찾았다. 박소영과의 연락이 그전보다 뜸해졌을 무렵, 나는 또 한 번 어떤 상처로 그녀를 불러냈다. 메신저의 친구 목록을 훑어내려 그녀의 이름을 찾았고, 프로필은 그사이 고양이 사진으로 바뀌어 있었다. 고양이들을 구하고 있다고 했다. 그저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사람이 되었구나’ 정도로 생각했는데, 그녀의 분위기는 그전과 사뭇 달라져 있었다. 흡사 진이 모조리 빠진 사람의 그것이었다. 좋아하는 감독을 만나러 간다며 설레하던 박소영 기자는 온데간데없었다. 그녀의 지금이 궁금했다. 과연 어떤 하루를 뒤로 보내며 살고 있는지 듣고 싶었다. 지금껏 내가 해오던 궁상맞은 이야기들 말고, 당신의 지금이 궁금해서 몇 꼭지의 글을 부탁했다. 글 속의 삶은 예상보다 전투적이었다. 그녀의 속은 늘 시끄러웠고, 자주 절망했다. 이 이야기를 좀 더 많은 이에게 들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책을 만들어보자는 조심스러운 제안을 건넸다. 박소영 작가는 보통 마감이 늦었다. 동물 구조와 글을 동시에 진행하기 어렵다는 게 이유였다. 원고가 모아지고 나서야 그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녀는 동물을 구조하고 보살피는 데 모든 것을 쏟아붓고 있었다. 진심을 다했고, 많은 것을 포기했다. 한겨울 새벽 같은 이 작가의 고단함에 가끔은 내 가슴이 조이는 것 같았다. 당신의 삶에 당신은 어디 있느냐고 묻고 싶었다. 왜 그렇게까지 하느냐고 다그치고도 싶었다. 결국, “박 작가님, 행복해?”라고 물었고, “아니.”라는 답이 돌아왔다. 행복하지 않은 일을 꾸준히 해나가는 데는 분명 그것을 상쇄할 만한 무언가가 있기 마련이고, 난 그것이 그녀의 사명감이라고 생각한다. 기자가 된 것도, 동물들을 구조하는 것도, 이렇게 글로써 그들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도 비록 작은 목소리일지언정 우렁차게 질러보겠다는 사명감. 내가 왜 그녀를 소독약처럼 찾았는지 알 것 같았다. 자신을 내어주고 남을 구하며 얻는 그 작은 안도가 그녀에겐 소중했을는지 모른다. 작지만 밝게 빛나는 그녀의 진심과 행동을 난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었다. 그녀의 진심과 행동에 남김 없는 지지를 보낸다. 여태껏 오만했던 인간들이 이제는 갚아야 할 시기가 왔고, 박소영 작가와 같은 사람들이 그 빚을 먼저 갚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은 실천은 결국 인간들이 해내야만 할 숙제고, 언제나 그랬듯 우리는 숙제를 잘 해결할 것이라는 걸 박소영 작가를 보며 위안한다.
이름을 찾지 못해 ‘제목 없음’의 ‘무제’로 이름 지은 출판사의 첫 책이 박소영 작가인 것에 감사한다. 그녀로 인해 ‘무제’는 이 사회에서 소외된 무언가를 찾아내기 위해 꼼꼼히 눈을 돌릴 것이다. 남몰래 쓸쓸히 아파하는 존재들을 위하는 마음. 그 소중한 마음을 깨우쳐준 작가의 글에도 감사를 보낸다. 끝으로 ‘무제’를 여는 데 용기를 주신 열린책들의 홍유진 이사님과 책과 밤, 낮의 곽지훈 사장, 그리고 이 책 『살리는 일』을 펴내는 데 기여해주신 이현숙 선생님과 석윤이 디자이너님께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올리는 바다.
- 박정민 (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