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영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_ 15
Chapter 01 인간행동 이해에 대한 기초 17 Chapter 02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Ⅰ 27 Chapter 0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Ⅱ 34 Chapter 04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45 Chapter 05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과 융의 분석심리이론 54 Chapter 06 피아제의 인지이론 65 Chapter 07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73 Chapter 08 벡의 인지행동치료이론과 엘리스의 합리정서치료모델 77 Chapter 09 스키너의 행동주의 83 Chapter 10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92 Chapter 11 인본주의이론 98 Chapter 12 게슈탈트이론과 실존주의적 접근 106 Chapter 13 체계이론과 일반체계이론 111 Chapter 14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 117 Chapter 15 가족체계와 집단체계 125 Chapter 16 조직체계, 지역사회체계, 문화체계 133 Chapter 17 생애주기와 태내기 142 Chapter 18 영아기와 유아기 148 Chapter 19 학령전기 154 Chapter 20 아동기 160 Chapter 21 청소년기 166 Chapter 22 성인기 174 Chapter 23 장년기 180 Chapter 24 노년기 187 제2영역 사회복지조사론_ 195 Chapter 01 과학과 검증방법 197 Chapter 02 사회복지조사의 특성 209 Chapter 03 문제인식과 조작적 정의 219 Chapter 04 인과관계와 변수 226 Chapter 05 가설과 연구주제 233 Chapter 06 실험설계의 특성이해 239 Chapter 07 준실험설계 245 Chapter 08 전실험설계와 단일사례연구 251 Chapter 09 실험설계 시 주의할 점과 비실험설계 259 Chapter 10 측정과 척도 267 Chapter 11 타당도 278 Chapter 12 신뢰도 284 Chapter 13 질문화 292 Chapter 14 표본조사 기초이해 301 Chapter 15 확률표집 308 Chapter 16 비확률표집 315 Chapter 17 설문조사의 방법 320 Chapter 18 조사원 모집과 관리 327 Chapter 19 자료의 분석 333 Chapter 20 보고서 작성과 연구평가 342 Chapter 21 욕구조사와 평가조사 352 Chapter 22 질적연구와 질적연구자 362 Chapter 23 질적연구의 종류와 분석방법 370 |
이수천의 다른 상품
1. 제1영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은 사회복지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과목이다. 과목의 구성은 크게 보았을 때 성격이론, 체계이론, 전생애발달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출제경향은 전체적인 부분에서 고르게 출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어느 부분을 콕 집어서 공부하기가 어려운 과목이다. 최근 2년 동안의 경향만 보더라도 성격이론에서 각 이론에 대해 거의 다 출제되고 있으며, 체계이론에 대해서도 일반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을 중심으로 고르게 출제되고 있다. 생애발달의 경우 역시 매년 전생애가 전부 출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시기가 많이 출제된다고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로 고르게 출제되고 있다. 이 영역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각 성격이론에 대해서 기본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최근 출제경향은 단편적인 지식을 묻기보다는 종합적인 사고과정을 묻는 방향으로 출제되고 있다. 그런데 기본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같은 종류의 것과 다른 종류의 것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성격이론의 기본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성격이론은 뒷부분에서 나오는 생애발달과 연결되므로 정확하게 공부하면 생애발달부분 공부가 한결 수월해지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부분은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과도 연결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을 공부할 때 비교적 처절하게 학습하는 것이 전체 시험준비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둘째, 체계이론 부분에서 체계이론을 다루는 배경에 대한 이해와 체계와 관련된 기본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개방체계와 폐쇄체계의 특성을 잘 파악하면 여러 문제들이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생애발달 부분은 막연하게 각 발달단계를 암기하는 식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을 기본으로 공부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생애발달단계가 연령과 용어 측면에서 반드시 일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에릭슨의 발달과업을 이해하면 각 발달단계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단계를 기본으로 피아제의 발달단계와 콜버그의 발단단계를 필요에 따라 함께 연결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2영역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사회조사능력을 배양하는 과목이다. 그래서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서는 사회복지기초과목으로 편성된다. 하지만 사회복지조사론은 분석과 연결된 과목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다루는 내용이 쉽지 않다. 처음부터 끝까지 매 시간마다 새로운 개념이 나오는 과목이다. 그래서 사회복지사들이 쉽게 포기하는 특성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사회복지조사론은 구성을 파악하고 철저하게 개념이해 중심으로 학습하면 사실 다른 과목보다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하다. 사회복지조사론의 과목구성을 크게 분류하면 연구에 대한 기초 이해(과학적인 연구, 사회복지조사의 필요성, 개념화와 조작화 등), 인과관계 설정에 대한 이해(가설, 변수, 측정 등), 실험설계와 비실험설계에 대한 이해, 질문지 구성법에 대한 이해, 질적연구에 대한 이해로 구성된다. 다른 과목은 각 장별로 이해가 가능하지만 조사론은 이것들을 서로 연결해야 이해가 가능하다. 즉 단편적인 암기로는 정복할 수 없는 과목이다. 따라서 이런 구성 하나하나에 대해서 개념을 정확하게 짚어볼 필요가 있다. 최근 사회복지조사론의 출제경향을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전체에서 고르게 출제되고 있다. 본 교재는 2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장마다 한 문제씩 출제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둘째, 단순한 지식을 묻는 질문보다는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들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문제는 주로 여러 개념을 조합하여 제시한 후 그 가운데서 묻고자 하는 것은 가려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개념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문제를 풀 수 있다. 그렇다면 사회복지조사론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첫째, 매 장 나오는 개념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조사론은 암기로 공부하려고 하면 실패하게 된다. 암기할 것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개념을 이해하다 보면 오히려 암기가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정확한 개념이해를 위해서는 교재를 통해서 독학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서의 경우 저자가 직접 설명하는 동영상이 제작되어 있다. 개념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위해서는 본서 중심의 강의를 수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체적인 이해를 목표로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출제경향에서도 밝혔듯이 출제가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조사론의 경우 결국 개념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어느 한 부분만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전체적으로 이해를 하려고 마음먹을 때 서로 연결되는 재미가 있다. 시간이 충분하다면 전체를 개략적으로 이해하는 공부를 한 번 한 후 다시 한 번 공부한다면 전체적으로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느끼는 공부가 될 수 있다. 설령 시간적인 여유가 없더라도 부분적인 이해로 시험을 준비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밝히는 바이다. 저자의 경험에 의하면 사회복지조사론은 포기할 과목이 아니라 도전할 과목이다. 또한 이해하기 시작하면 어느 과목보다도 재미있고 쉬운 과목이다. 따라서 본 교재와 동영상 강의를 통하여 재미있게 준비하기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