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에서 전래된 불교의 용
불교 발상지인 고대 인도의 신화에서는 뱀을 신격화한 용신(龍神)이 등장한다. 인도 용신의 개념은 원래 코브라 중 가장 큰 코브라의 형상에서 생겨났다. 아난다라는 용신을 그린 힌두교의 채색 그림을 보면 하나의 몸체에 일곱 개의 머리를 우산 처럼 펴고 있는 뱀이 등장한다. 또한 6세기 경에 건립된 남인도 마말라푸람의 석굴 사원에 있는 부조상에도 비슈누신과 함께 용신이 등장하는데 역시 머리가 일곱개인 코브라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뱀을 신격화한 인도의 용신은 불교 성립과 함께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 용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가 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과는 달랐다. 불교가 인도로부터 중국에 전래되어 정착하는 과정에서, 용신은 인도 용의 모습을 벗고 중국 전통 용의 도상(圖像)을 따르게 되었다. 중국 불교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도 중국의 예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불교에서 용신 또는 용왕은 천왕팔부중의 하나이다. 천왕팔부중은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를 말하며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불경에 의하면 여덟 용왕이 있다고 하는데, 『묘법연화경』「서품」에서 석가모니불의 설법을 들으러 온 참석자들을 열거한 대목을 보면, "여덟 용왕이 있었으니 난타용왕과 발란타용왕과 사가라용왕과 화수길용왕과 덕차가용왕과 아나바달다용왕과 마나사용왕과 우발라용왕이 각각 여러 백천 권속과 함께 있었다"고 하였다.
--- pp.21-22
사찰은 단순히 문화유적이거나 관광지이기 전에 부처님이 계시는 곳이며, 불법의 도를 선양하고 구현하는 도량(道場)이다. 큰 사찰에 가보면 일주문에서 법당에 이르기 까지 크고 작은 문루가 서 있고, 종이 있고 탑이 있으며, 법당과 불상이 있고, 곳곳에 다양한 장식 문양이 베풀어져있다. 이들은 단순히 겉을 꾸미는 데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훌륭한 공덕을 기리고 불국의 이상세계를 선(善)과 미(美)로써 엄숙하게 구현하는데 봉사하고 있는 것이기에, 우리는 그것을 일컬어 특별히 장엄(莊嚴)이라고 한다.
사찰을 장엄하고 있는 다양한 장식문양과 조형물, 그리고 불전들은 불교의 정신세계와 세계관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부처님을 향한 구도자들의 종교적 염원을 드러내는 가시적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데 사찰 초입에서 만날 수 있는 일주문은 일승법문(一乘法門)을 상징하며, 탑은 현존 하고 있는 부처님의 상징형이다. 법당 전면 기둥의 용은 불법 수호의 의미와 함께 법당이 곧 반야용선(般若龍船)임을 상징하며, 도처에 장식된 연꽃문양은 불성의 무구(無垢)함과 불자들의 극랑왕생의 염원 등을 담고 있다.
이렇듯 사찰을 장엄하는 모든 조형물들은 그 표현의 방법은 달라고 불교의 이상과 종교적 염원을 배후에 일관되게 간직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 p.5
목어는 목어고, 어고, 어판이라고도 하며 나무를 깎아 잉어 모양을 만들고 속이 비게 파내어 불사에 쓰는 기구이다. 물고기 모양을 취한 데에는 두 가지 유래가 전한다. 하나는 물고기가 언제나 눈을 뜨고 깨어 있으므로 그 모양을 따서 나무에 조각하고 두드림으로써 수행자의 잠을 쫓고 혼미를 경책했다고 한다.
또 하나의 이야기는 옛날 한 승려가 스승의 가르침을 어기고 옳지 못한 행동을 하다가 죽었는데 곧바로 물고기의 과보를 받았다. 그 결과로 등에 나무 한 그루가 나서 풍랑이 칠 때마다 나무가 흔들려 피를 흘리는 고통을 당하였다. 마침 그 스승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다가 물고기로 화현한 제자가 고통 받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스승은 수륙재를 베풀어 물고기를 해탈하게 하였고, 물고기는 지난날의 잘못을 크게 뉘우치면서 등에 있는 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어 이 이야기와 함께 모든 사람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도록 하였다.
처음에는 통도사의 목어처럼 완전한 물고기 형상을 취하였으나 차츰 용의 머리에 물고기 몸을 취한 용두어신의 형태로 변하였고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목어가 여의주를 물고 있는 것은 온갖 속박에서 벗어나 어떤 것에도 구애되지 않고 자유로운 대자재를 얻은 물고기(중생 또는 보살)를 상징한다.
--- pp.214-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