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 구스타브 도레 Gustave Dore
“세계 고전을 독특한 상상과 구도로 구상화해낸 근대 일러스트레이션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한 시대 삽화의 전형을 일궈낸 구스타브 도레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부터 석판화를 배웠고, 파리에서 풍자잡지에 삽화를 그리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인상주의나 현실묘사에 등을 돌린 채 정확한 소묘력과 극적인 구도로써 환상과 풍자의 독특한 세계를 구현해 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그는 클래식한 우아미와 장엄미, 디테일하고 환상적인 분위기가 절묘하게 녹아 있는 삽화로 “전 세계 모든 문학의 명작을 시각화 한다”는 장대한 계획을 세우고 호화 판화본 제작에 들어갔다. 《신곡》을 시작으로 《성서》, 《돈키호테》, 《실락원》, 《라 퐁텐 우화》 등으로 이어지는 이 시리즈는 단순한 삽화의 개념을 넘어서 각 작품만으로 충분히 명화로서의 깊이와 울림을 느끼게 해준다. 이 시리즈는 고전의 상상력의 지평을 새롭게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같은 해 태어나고 같은 해 생을 마감하여 생몰년대가 같은 마네와는 묘한 대비를 이루기도 한다. 당시 마네는 몇몇 인상파 화가들과 교류했을 뿐 거의 무명화가로 일생을 살았으나 도레는 당대 최고 권력자인 나폴레옹 3세와도 친분이 두터웠을 정도로 시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다. 하지만 백여 년이 흐른 지금에는 그 운명이 바뀌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신곡》의 지옥,연옥,천국 편, 《돈키호테》, 《실락원》, 《성서》, 《십자군의 역사》, 《국왕목가》, 《라 퐁텐 우화》, 《성경》 등이 있다.
구스타브 도레는 판화라는 매스 프린트 미디어를 무기로 유럽의 고전을 자신의 붓으로 시각화하려고 시도했다. 다시 말해 그는 오늘날과 같은 영상시대의 문을 연 선구자의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문학의 세계를 영상화하면서 미묘한 인물의 표정이나 장면 선택을 통해 고유의 해석을 가미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위와 몸과의 관계>를 보면 원작에는 표현되어 있지도 않은 건축 현장과 같은 장면을 삽화로 그리고 있다. - 본문 중에서
저자 : 단테 (Alighieri Dante 1265-1321)
이탈리아 최대의 시인. 불멸의 고전 《신곡》을 저술하여 유럽 중세의 문학·철학·신학·수사학 및 제과학의 전통을 총괄하고, 고대 그리스의 호메로스와 로마의 베르길리우스 가 쌓은 장편 서사시의 정통을 계승하여 얼마후에 나타난 F.페트라르카·G.보카치오와 나란히 르네상스 문학의 지평을 개척했다.1265년 피렌체의 소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금융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나 일가는 단테의 대에 와서 유복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경제상태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귀족의 교양을 위해 어릴 때부터 고전문법과 수사학을 배웠고, 청년시절에는 석학인 B.라티니에게 사사했다.
전방위 아티스트로서 ‘상상’과 ‘표현’, ‘변화’를 주제로 다채롭게 활동하고 있는 다니구치 에리야는 일본 이시카와 현에서 태어나 요코하마국립대학 공학부 건축학과를 졸업했다. 건축설계사무소에 근무하면서도 틈틈이 음악 활동을 했던 그는 스페인으로 건너가 의상디자이너로 일하며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와 교류했다. 일본으로 돌아온 다음에는 글로벌아티스트의 네트워크 Elias Creative Star Ship(ECS)을 설립해 건축, 인테리어, 무대미술,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독자적인 공간창조 개념을 표현했고 기업의 심벌마크 제작 및 비전 창조를 위한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주요 저서로는 《1900년의 여신들》, 《신곡》, 《구약성서》, 《신약성서》, 《요정》, 《부드러운 여신》, 《세나》, 《벌레들의 오후》, 《초목들의 아침》, 《물의 언어》, 《바람의 기억》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구스타브 도레》, 《쟈크 카로》, 《그란빌》 등의 화집과 판화집인 《고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