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이 책의 구성이 책을 읽는 만점 활용법 1장. 신기한 생물 세상01 꿀벌은 어디로 사라져 버렸을까?02 흰개미 조상이 바퀴벌레라고?03 남극 빙하 속에 동물이 산다04 두려움을 없애 주는 기생충이 있다05 아프다고 느끼는 것은 전기신호다06 식물도 사람을 알아본다07 뜨거운 방귀를 뀌는 벌레가 있다08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정말 동물들이 먼저 도망갈까?09 새끼에게 젖을 먹여 키우는 곤충이 있다10 무서운 메뚜기11 붉은 독개미 한국에 상륙하다12 입에서 접착제를 내뿜어 사냥하는 벌레가 있다13 매미를 더 시끄럽게 울게 만든 건 바로 사람이다14 새는 공룡이다 2장. 놀라운 지구, 드넓은 우주15 산에서 소금을 채취한다16 지구의 많은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17 백두산이 폭발하면 어떻게 될까?18 우주선에서 감기에 걸리면 어떻게 될까?19 달, 인류 미래 에너지 창고20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한다면21 우주는 원래 하나의 점이었다22 달에 인간이 누고 온 똥이 있다23 태양에서 바람이 분다24 우주인을 도와주는 꿀벌 로봇이 있다25 화성 이주 프로젝트가 시작되다26 우주군이 창설되다27 우주 쓰레기 제거 기술을 연구한다 3장. 미래과학 - AI, 유전공학, 첨단과학, 친환경28 사람의 감정을 읽는 인공지능 AI가 나온다29 인간의 뇌를 인공지능과 연결시킨다30 유전자를 이용해 스스로 빛을 내는 식물을 만든다31 몸짱 돼지가 있다32 닭으로 공룡을 만든다33 사람의 뇌를 가진 쥐를 만든다34 드론이 전쟁의 판도를 바꾼다35 고무처럼 길게 늘어나는 텔레비전이 나온다36 지구, 열병에 걸리다37 삼겹살 먹고 남은 돼지기름으로 자동차가 달린다38 소변으로 비누를 만든다39 플라스틱을 먹는 애벌레가 있다 4장. 호기심 가득, 도전 과학40 공부도 중독될 수 있다41 팔에 날개를 달면 하늘을 날 수 있을까?42 집에서 핵폭탄을 만든 사람이 있다43 총알보다 빠른 자동차가 있다44 우리나라도 석유 수출국이다 45 순간 이동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46 냄새를 잘 못 맡으면 맛도 잘 느껴지지 않는다47 만약 땀을 흘리지 못하게 된다면 48 날아가는 총알을 손으로 잡은 사람이 있다 49 아기의 첫 번째 똥은 검은색이다50 사람이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정답
|
저김선호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선호의 다른 상품
과학 이야기로 논술의 기초가 되는 어휘력, 문해력, 사고력, 논리력을 키워요!2028 대입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과학이 입시 변별력 과목으로 떠올랐어요. 초등학교 때부터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꾸준히 가져가야만 수능 통합과학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아지며, 초등학생 때의 과학 학습 시작이 매우 중요해졌어요. 초등학교 때 신문 형식으로 쉽게 설명한 과학 이야기를 통해 과학 학습에 흥미를 기를 수 있어요.이 책에서는 과학 분야 신문을 초등학생들의 언어와 사고 구성에 적합하게 바꾸어 설명하고 있어요. 특히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내용이 아니라 질문 형식을 통해 신문의 본론을 찾아 읽고 싶게 했어요. 문해력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여러 가지 복합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 키워드를 체득하는 데 있는데 ‘과학 지식’을 통해 높은 문해력을 갖출 수 있어요.또한 ‘어휘 탐색’과 ‘내용 탐색’을 통해 신문을 읽다가 모르는 어휘에 대해 바로 찾아볼 수 있고, 본문 내용의 중요한 부분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게 했어요. 책에 나오는 과학 기사를 읽은 뒤 ‘깊이 생각하고 자신의 의견 써 보기’를 통해서는 과학 이야기를 현실과 연결시키는 사고력을 기를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과학 신문에 나온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 어떻게 더욱 발전된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볼 수 있다는 거예요.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지 않아도 돼요. 내가 관심 있는 분야를 찾고, 그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는 과정을 즐겨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