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수입
CD Gidon Kremer / Keith Jarrett 아르보 패르트: 무지카 셀렉타 (Arvo Part: Musica Selecta - Musica Selecta - A Sequence by Manfred Eicher)
가격
45,800
19 37,100
YES포인트?
380원 (1%) 마니아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최대 머니 3천원 적립
  • 만프레드 아이허가 직접 선곡한 아르보 패르트 베스트 작품 모음집 / 2CD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음반소개

디스크

CD 1

  • 01 Es sang vor langen Jahren - Gidon Kremer, Susan Bickley, Vladimir Mendelssohn
  • 02 Fur Alina - 1. Fur Alina - Alexander Malter
  • 03 Mein Weg - Tallinn Chamber Orchestra & Tonu Kaljuste
  • 04 Kanon Pokajanen - Ode VI - Estonian Philharmonic Chamber Choir, Tonu Kaljuste
  • 05 Silouans Song - Tallin Chamber Orchestra, Tonu Kaljuste
  • 06 Fratres - Gidon Kremer & Keith Jarrett
  • 07 Alleluja Tropus - Sinfonietta Riga, Tonu Kaljuste, Vox Clamantis
  • 08 Trisagion - Lithuanian Chamber Orchestra, Saulius Sondeckis
  • 09 Beatus Petronius - Latvian Radio Choir, Sinfonietta Riga, Tonu Kaljuste

CD 2

  • 01 Ein Wallfahrtslied - Swedish Radio Choir, Swedish Radio Symphony Orchestra, Tonu Kaljuste
  • 02 Most Holy Mother Of God - The Hilliard Ensemble
  • 03 Cantus In Memory Of Benjamin Britten - Dennis Russell Davies & Staatsorchester Stuttgart
  • 04 Magnificat - Estonian Philharmonic Chamber Choir, Tonu Kaljuste
  • 05 Festina Lente - Dennis Russell Davies, Orchester Der Beethovenhalle Bonn
  • 06 Lamentate - Fragile - Alexei Lubimov, Andrey Boreyko, SWR Radio Symphony Orchestra
  • 07 Lamentate - Pregando - Alexei Lubimov, Andrey Boreyko, SWR Radio Symphony Orchestra
  • 08 Lamentate - Solitudine - stato d'animo - Alexei Lubimov, Andrey Boreyko, SWR Radio Symphony Orchestra
  • 09 Stabat Mater - David James, Gidon Kremer, Lynne Dawson, Rogers Covey-Crump, Thomas Demenga, Vladimir Mendelssohn
  • 10 Da Pacem Domine - Estonian Philharmonic Chamber Choir, Tallinn Chamber Orchestra, Tonu Kaljuste

아티스트 소개14

작곡Arvo Part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르보 패르트

어려서부터 음악에 관심을 보였던 페르트는 군복무를 마친 뒤 1958년 탈린에 있는 음악학교에 들어갔으며, 1958~67년에는 에스토니아 라디오 방송국 음악부에서 일했다. 그는 전(全)소련청년작곡가경연대회에서 어린이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우리 정원 Meie aed〉(1959)과 오라토리오 〈세계의 진보 Maailma samm〉(1960)로 1위를 차지해 동유럽에서 재능을 인정받았다. 당시의 12음계(아널드 쇤베르크에 의해 만들어진 20세기초의 작곡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된 페르트는 〈네크롤로그 Nekrolog〉(1960)라는 작품에서 파격적으로 12음계를 실험했는데,
어려서부터 음악에 관심을 보였던 페르트는 군복무를 마친 뒤 1958년 탈린에 있는 음악학교에 들어갔으며, 1958~67년에는 에스토니아 라디오 방송국 음악부에서 일했다. 그는 전(全)소련청년작곡가경연대회에서 어린이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우리 정원 Meie aed〉(1959)과 오라토리오 〈세계의 진보 Maailma samm〉(1960)로 1위를 차지해 동유럽에서 재능을 인정받았다. 당시의 12음계(아널드 쇤베르크에 의해 만들어진 20세기초의 작곡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된 페르트는 〈네크롤로그 Nekrolog〉(1960)라는 작품에서 파격적으로 12음계를 실험했는데, 이것은 에스토니아 최초의 12음계 작품이었다.

1963년에 음악학교를 졸업한 직후에 그는 〈교향곡 제1번 Symphony No.1〉(1964)과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2〉(1966)을 작곡했는데, 〈교향곡 제2번〉에는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을 인용한 부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피아노와 혼성합창 및 오케스트라를 위한 〈사도신경 Credo〉(1968)에서도 이 콜라주 기법을 사용했다. 종교적인 제목 때문에 소련에서 금지된 〈사도신경〉을 마지막으로 페르트는 12음계에 대한 실험을 끝냈다.

페르트는 그 후 8년 동안 집중적으로 음악을 공부했다. 이 시기에는 영화음악을 제외하고는 거의 작곡을 하지 않고, 그레고리오 성가와 러시아 정교회의 예배음악 같은 형식을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 페르트의 음악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징후는 그가 이 침묵의 시절에 창작한 소수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교향곡 제3번 Symphony No.3〉(1971)이었다. 그러나 미국 청취자들이 페르트의 작품을 분명히 식별해낼 수 있을 만큼 그의 작품이 개성적인 소리를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말에 현악기를 위한 작품들(특히 〈형제들 Fratres〉(1977)이 발표되었을 때부터였다.

페르트가 꾸밈없고 간결한 양식으로 작곡한 최초의 작품은 〈알리나를 위하여 Fur Alina〉(1976)라는 피아노곡이었다. 그는 이 작품 속에서 3화음의 연속을 발견했다고 말했고, 그것을 자신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단순하고 작은 규칙으로 삼았다. 그는 3화음의 소리를 딸랑딸랑 울리는 방울소리 같다고 묘사하면서, 자신의 새로운 작곡방식을 '방울 양식'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표현양식을 무엇이라 부르든 간에, 정신적 교류를 추구하는 신세대에게 페르트가 만들어낸 단순하고 강렬하며 매혹적인 소리는 직접 전달되는 것처럼 보였다. 아르보 페르트는 거룩한 미니멀 아트 예술가라는 평가와 네오바로크 음악가라는 상반되는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Arvo Part의 다른 상품

노래Susan Bickley

관심작가 알림신청

수잔 빅클리

메조 소프라노

Susan Bickley의 다른 상품

노래Lynne Dawson

관심작가 알림신청

린 도슨

성악가 (소프라노)

Lynne Dawson의 다른 상품

노래Swedish Radio Choir

관심작가 알림신청

스웨덴 방송 합창단

노래Estonian Philharmonic Chamber Choir

관심작가 알림신청

에스토니아 필하모닉 실내 합창단,EPCC / Eesti Filharmoonia Kammerkoor

노래Latvian Radio Choir

관심작가 알림신청

라트비아 방송 합창단,Latvijas Radio koris / LRC

노래Vox Clamantis

관심작가 알림신청

복스 클라만티스 보컬 앙상블

연주Gidon Kremer

관심작가 알림신청

기돈 크레머

발트 3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 리가에서 태어났다. 조부이자 바이올린의 대가였던 카를 브뤼크너(1893-1963)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양부에게서 가르침을 받아 네 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했다. 일곱 살에 리가 음악 학교에 들어갔고, 열여덟 살부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전설적 연주자인 다비트 오이스트라흐(1908-1974)를 사사하며 본격적으로 연주자의 길을 걷는다. 1967년,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했고, 1969년 몬트리올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2위에 올랐다가 마침내 같은 해 열린 파가니니 콩쿠르와 1970년 차이콥스 키 콩쿠르에서
발트 3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 리가에서 태어났다. 조부이자 바이올린의 대가였던 카를 브뤼크너(1893-1963)와, 마찬가지로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양부에게서 가르침을 받아 네 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했다. 일곱 살에 리가 음악 학교에 들어갔고, 열여덟 살부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전설적 연주자인 다비트 오이스트라흐(1908-1974)를 사사하며 본격적으로 연주자의 길을 걷는다. 1967년,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3위로 입상했고, 1969년 몬트리올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2위에 올랐다가 마침내 같은 해 열린 파가니니 콩쿠르와 1970년 차이콥스 키 콩쿠르에서 우승 트로피를 차지한다. 1975년 독일 안스바흐의 바흐주간 페스티벌과 베를린 필하모니를 통해 데뷔 무대를 가졌고, 1980년에는 소련을 떠나 독일에 정착했다. 다음 해, 오스트리아 로켄하우스에서 실내악 페스티벌(후에 ‘크레메라타 무지카’로 명칭 변경)을 창설해 새롭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2011년까지 장장 30년 동안 예술감독을 지냈다. 1997년에는 발트 해 지역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인 크레메라타 발티카를 만들어 지금도 전 세계로 활발히 초청 공연을 다니고 있다. 2002년에는 이 실내악단과 함께 논서치에서 발매한 음반 〈애프터 모차르트After
Mozart〉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016년 영국 음악전문지 〈BBC 뮤직 매거진〉이 백 명의 현역 바이올리니스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생존하는 가장 위대한 바이올린 연주자로 첫손에 꼽히기도 했으며, 현대 음악의 저변과 바이올린 음악 레퍼토리를 넓히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이 책을 비롯하여 《유년기의
파편Kindheitssplitter》 등 네 권의 음악 관련 서적을 썼다.

Gidon Kremer의 다른 상품

연주Keith Jarrett

관심작가 알림신청

키스 자렛

Keith Jarrett의 다른 상품

연주Alexei Lubimov

관심작가 알림신청

알렉세이 루비모프 (피아노)

연주Thomas Demenga

관심작가 알림신청

토마스 데멩가

첼로 연주자

Thomas Demenga의 다른 상품

연주Vladimir Mendelssohn

관심작가 알림신청

블라디미르 멘델스존

지휘Tonu Kaljuste

관심작가 알림신청

토뉴 칼류스테

출연Arvo Part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르보 패르트

어려서부터 음악에 관심을 보였던 페르트는 군복무를 마친 뒤 1958년 탈린에 있는 음악학교에 들어갔으며, 1958~67년에는 에스토니아 라디오 방송국 음악부에서 일했다. 그는 전(全)소련청년작곡가경연대회에서 어린이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우리 정원 Meie aed〉(1959)과 오라토리오 〈세계의 진보 Maailma samm〉(1960)로 1위를 차지해 동유럽에서 재능을 인정받았다. 당시의 12음계(아널드 쇤베르크에 의해 만들어진 20세기초의 작곡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된 페르트는 〈네크롤로그 Nekrolog〉(1960)라는 작품에서 파격적으로 12음계를 실험했는데,
어려서부터 음악에 관심을 보였던 페르트는 군복무를 마친 뒤 1958년 탈린에 있는 음악학교에 들어갔으며, 1958~67년에는 에스토니아 라디오 방송국 음악부에서 일했다. 그는 전(全)소련청년작곡가경연대회에서 어린이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우리 정원 Meie aed〉(1959)과 오라토리오 〈세계의 진보 Maailma samm〉(1960)로 1위를 차지해 동유럽에서 재능을 인정받았다. 당시의 12음계(아널드 쇤베르크에 의해 만들어진 20세기초의 작곡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된 페르트는 〈네크롤로그 Nekrolog〉(1960)라는 작품에서 파격적으로 12음계를 실험했는데, 이것은 에스토니아 최초의 12음계 작품이었다.

1963년에 음악학교를 졸업한 직후에 그는 〈교향곡 제1번 Symphony No.1〉(1964)과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2〉(1966)을 작곡했는데, 〈교향곡 제2번〉에는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을 인용한 부분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피아노와 혼성합창 및 오케스트라를 위한 〈사도신경 Credo〉(1968)에서도 이 콜라주 기법을 사용했다. 종교적인 제목 때문에 소련에서 금지된 〈사도신경〉을 마지막으로 페르트는 12음계에 대한 실험을 끝냈다.

페르트는 그 후 8년 동안 집중적으로 음악을 공부했다. 이 시기에는 영화음악을 제외하고는 거의 작곡을 하지 않고, 그레고리오 성가와 러시아 정교회의 예배음악 같은 형식을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 페르트의 음악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징후는 그가 이 침묵의 시절에 창작한 소수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교향곡 제3번 Symphony No.3〉(1971)이었다. 그러나 미국 청취자들이 페르트의 작품을 분명히 식별해낼 수 있을 만큼 그의 작품이 개성적인 소리를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말에 현악기를 위한 작품들(특히 〈형제들 Fratres〉(1977)이 발표되었을 때부터였다.

페르트가 꾸밈없고 간결한 양식으로 작곡한 최초의 작품은 〈알리나를 위하여 Fur Alina〉(1976)라는 피아노곡이었다. 그는 이 작품 속에서 3화음의 연속을 발견했다고 말했고, 그것을 자신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단순하고 작은 규칙으로 삼았다. 그는 3화음의 소리를 딸랑딸랑 울리는 방울소리 같다고 묘사하면서, 자신의 새로운 작곡방식을 '방울 양식'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표현양식을 무엇이라 부르든 간에, 정신적 교류를 추구하는 신세대에게 페르트가 만들어낸 단순하고 강렬하며 매혹적인 소리는 직접 전달되는 것처럼 보였다. 아르보 페르트는 거룩한 미니멀 아트 예술가라는 평가와 네오바로크 음악가라는 상반되는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Arvo Part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매일
2015년 10월 14일
시간/무게/크기
크기확인중
KC인증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7,100
1 3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