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품은 구매 후 지원 기기에서 예스24 eBook앱 설치 후 바로 이용 가능한 상품입니다.
들어가기
제1장 번역학의 패러다임 1.1 언어학적 전회 1.2 구조에서 기능으로 1.3 문화기호학적 전회 1.4 인지과학적 전회 1.5 담화와 이데올로기 제2장 번역학의 언어생태학적 기반 2.1 ‘에틱’과 ‘에믹’의 균형 2.2 고전언어학에서 후기고전언어학으로 2.3 질료장과 자료장의 변증법 2.4 매개제어체계 2.5 기능주의 번역학 제3장 번역과 행위역량 3.1 OECD-DeSeCo(핵심역량) 프로젝트 3.2 번역자 역량 3.3 기호학적 전체성 제4장 문화이론 4.1 집단지식 4.2 게슈탈트와 상징형식 4.3 자기생산과 조직: 체계이론적 관점 4.4 문화기호학: 현실모델의 프로그램 제5장 번역학의 핵심개념 5.1 통번역(Translation) 5.2 번역의 과학으로서의 번역학 5.3 번역(행위)의 정의: 구조에서 기능(역학)으로 제6장 과학적 번역이론의 예비단계 6.1 텍스트언어학과 텍스트의 정의 6.2 출발언어와 목표언어, 번역행위, 등가와 불변소 6.3 야콥슨의 기호학적 번역이론 6.4 비교문체론: 체계에서 기능(상황)으로 6.5 섭동을 극복하는 적절성 제7장 현대 번역학의 전개 7.1 라이프치히 번역학파 7.2 번역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한계 7.3 구조주의에서 프래그머티즘으로 7.4 등가유형의 재배치: 서독의 번역학 7.5 번역방법론의 유형학: 등가의 적절성 7.6 텍스트 적절성의 세분 제8장 등가의 유연화 8.1 정태성과 역동성 8.2 텍스트언어학의 발전과 번역학 8.3 번역 텍스트유형학 8.4 기호학적 유형학의 단서 8.5 텍스트-원형유형학(Text-Prototypologie) 제9장 기능주의 번역이론 9.1 기능주의적 접근 9.2 행성운동법칙과 기능주의 번역이론 9.3 목적이론(Skopos-Theorie) 9.4 번역자 행위이론 9.5 구성주의 번역이론의 착상 제10장 문학작품과 번역 10.1 문학언어의 특수성 10.2 시인-번역가 또는 번역가-시인 10.3 기술-번역연구(DTS) 10.4 운문번역 10.5 언어유희, 은유, 제목 그리고 실체물 제11장 번역비평과 번역투 11.1 텍스트기호학적 접근: 기능주의에서 레지스터-이론까지 11.2 번역 파라디그마 11.3 번역자의 직관 11.4 ‘번역투’ 개념에 대한 설문조사 제12장 분석 12.1 번역비평 (I): 번역 파라디그마 12.2 번역비평 (II): “양철북” 12.3 번역비평 (III): “세계를 재다” 제13장 행위역량에 기초한 번역교과 커리큘럼 13.1 번역교수법과 교과과정 13.2 번역자 양성 교과과정의 설계 13.3 (문학)번역가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맺는말 참고문헌 색인(용어) |
저박여성
관심작가 알림신청박여성의 다른 상품
세계화와 디지털 혁명 이래로 국가들 사이의 외교는 물론이고 기업과 대학 및 민간 차원의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통번역 및 이와 관련되는 사업의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언어철학과 구조주의에 기초한 독일과 프랑스의 의미번역이론, 벨기에와 네덜란드, 영미권과 이스라엘에서 발전한 문학번역이론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면서 번역연구와 현장 활동은 급격히 성장했다.
짧은 기간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것은 큰 성과이지만 교육과정은 여전히 전문어 및 통상 분야에 편향되어 있고, 문화 분야 전반을 감당할 역량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라는 목표에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학문의 가치중립성을 주장해 온 서구와 달리, 외국학으로서 게르마니스틱을 추구하는 우리의 학문정책적 지향점이 그들과 같을 수는 없다. 이에 따라 필자가 추구하는 인문학(humanitas)의 목표는 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텍스트의 생산자ㆍ수용자ㆍ매개자 및 가공자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스펙트럼에서 번역의 이론과 실제를 실천하는 데 있다. 이 책에서 다룬 내용은 번역학이라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그 밖의 주제에 대해서는 다른 연구에서 다룰 것을 기약하고자 한다. 물론 번역이론을 연구하시는 다른 분들의 몫이기도 하다. 이 책이 번역의 이론과 실제를 고민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상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