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01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0쪽 | 594g | 184*240*14mm |
ISBN13 | 9788966262076 |
ISBN10 | 8966262074 |
발행일 | 2017년 01월 03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0쪽 | 594g | 184*240*14mm |
ISBN13 | 9788966262076 |
ISBN10 | 8966262074 |
1부 객체 중심 프로그래밍 1장 객체 1.1 클래스와 객체 인스턴스 1.1.1 객체에 대한 철학 1.1.2 객체 중심 프로그래밍 1.1.3 오브젝티브-C 객체 1.1.4 오브젝티브-C 2.0 이후 변화 1.1.5 스위프트 네이티브 객체 1.1.6 스위프트 오브젝티브-C 호환 객체 1.1.7 요약 1.2 객체 정체성과 등가성 1.2.1 오브젝티브-C 객체와 메모리 구조 1.2.2 객체 정체성 1.2.3 객체 등가성 1.2.4 객체 예외성 1.2.5 -hash 메서드 1.2.6 요약 1.3 객체 사이 관계 1.3.1 메타 클래스 1.3.2 상속 1.3.3 is-a 관계와 has-a 관계 1.3.4 요약 1.4 오브젝티브-C 런타임 1.4.1 기존 런타임과 최신 런타임 1.4.2 메시지 디스패치 1.4.3 최신 런타임 API 1.4.4 요약 2장 메모리 관리 2.1 메모리와 객체 2.1.1 객체 인스턴스 생성 2.1.2 객체 인스턴스 소멸 2.1.3 요약 2.2 참조 계산 2.2.1 객체 소유권 2.2.2 자동 반환 목록 2.2.3 객체 그래프 2.2.4 순환 참조 문제 2.2.5 요약 2.3 객체 초기화 2.3.1 여러 초기화 메서드 2.3.2 초기화 메서드 구현하기 2.3.3 객체 초기화 관련한 문제 2.3.4 요약 3장 자동 메모리 관리 3.1 ARC(자동 참조 계산) 3.1.1 수동 참조 계산 방식과 비교 3.1.2 ARC 규칙 3.1.3 소유권 수식어 3.1.4 타입 연결 3.1.5 프로퍼티와 인스턴스 변수 3.1.6 요약 3.2 ARC 구현 방식 3.2.1 강한 참조 3.2.2 자동 반환용 리턴 값 3.2.3 약한 참조 3.2.4 자동 반환 방식 3.2.5 요약 4장 객체 복사 4.1 NSCopying 계열 프로토콜 4.1.1 복사만 가능한 객체 4.1.2 복사와 수정이 가능한 객체 4.1.3 요약 4.2 얕은 복사 vs. 깊은 복사 4.2.1 얕은 복사 4.2.2 깊은 복사 4.2.3 요약 4.3 아카이브 4.3.1 객체 직렬화와 아카이브의 차이 4.3.2〈 NSCoding〉 프로토콜 4.3.3 이름 있는 아카이브 4.3.4 아카이브 만들기 4.3.5 아카이브 해제하기 4.3.6 객체 인코딩과 디코딩 4.3.7〈 NSSercureCoding〉 프로토콜 4.3.8 요약 5장 불변 객체와 가변 객체 5.1 불변 객체 5.1.1 불변 객체의 특징 5.1.2 불변 객체 클래스 5.1.3 불변 객체 구현하기 5.1.4 요약 5.2 가변 객체 5.2.1 가변 객체의 특징 5.2.2 가변 객체 클래스 5.2.3 가변 객체 참조 사례1 : 가변 모델 객체와 뷰 객체 5.2.4 가변 객체 참조 사례2 : NSMutableSet와 가변 객체 5.2.5 요약 6장 컬렉션 클래스 6.1 순서가 있는 배열 컬렉션 6.1.1 배열 성능 특성 6.1.2 포인터 배열 6.1.3 중첩된 배열 접근하기 6.1.4 스위프트 배열 6.1.5 요약 6.2 고유한 키 값으로 접근하는 사전 컬렉션 6.2.1 사전 활용 방법 6.2.2 포인터 사전 6.2.3 사전 성능 특성 6.2.4 스위프트 사전 6.2.5 요약 6.3 순서가 없는 집합 컬렉션 6.3.1 집합 활용 방법 6.3.2 포인터 집합 6.3.3 사전 성능 특성 6.3.4 스위프트 집합 6.3.5 요약 6.4 집합 변형 컬렉션 6.4.1 배열 인덱스를 저장하는 인덱스 집합 6.4.2 순서가 있는 집합 6.4.3 요약 7장 코코아 디자인 패턴 7.1 코코아 프레임워크 핵심 패턴 7.1.1 두 단계 초기화 패턴 7.1.2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 7.1.3 메시지 셀렉터 패턴 7.1.4 요약 7.2 객체 사이 결합성을 줄여주는 패턴 7.2.1 싱글턴 패턴 7.2.2 옵저버 패턴 7.2.3 응답 체인 패턴 7.2.4 호출 패턴 7.2.5 요약 7.3 객체 내부의 복잡성을 감춰주는 패턴 7.3.1 팩토리 추상화 패턴 7.3.2 파사드 패턴 7.3.3 번들 패턴 7.3.4 프락시 패턴 7.3.5 요약 2부 함수 중심 프로그래밍 8장 블록과 클로저 8.1 블록 8.1.1 블록 객체 구현 8.1.2 변수 캡처하기 8.1.3 __block 지시어 8.1.4 요약 8.2 스위프트 클로저 8.2.1 클로저 형식 8.2.2 함수 유형 8.2.3 요약 9장 스위프트 타입 시스템 9.1 타입 시스템 9.1.1 스위프트 타입 9.1.2 타입 검사 9.1.3 의미 있는 값 vs. 의미 있는 레퍼런스 9.1.4 요약 9.2 열거 타입 9.2.1 열거 타입과 프로토콜 9.2.2 연관 값을 가지는 열거 타입 9.2.3 가공 없는 값을 가지는 열거 타입 9.2.4 요약 9.3 구조체 타입 9.3.1 구조체 타입 9.3.2 구조체 타입 기반의 스위프트 타입 9.3.3 요약 9.4 문자열 타입 9.4.1 문자열 코어 9.4.2 문자열과 메모리 9.4.3 문자열 뷰 9.4.4 요약 9.5 부가적인 타입들 9.5.1 불안전한 포인터 9.5.2 옵셔널 9.5.3 옵셔널 강제 제거 9.5.4 슬라이스 9.5.5 시퀀스 9.5.6 AnyObject 9.5.7 요약 9.6 스위프트 런타임 9.6.1 메모리 관리 9.6.2 참조 계산용 메모리 관리 9.6.3 동적 타입 변환 9.6.4 오브젝티브-C 연결 9.6.5 메타 타입 9.6.6 요약 9.7 스위프트 파운데이션 9.7.1 파운데이션 타입 9.7.2 요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