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러시아어학 개론

러시아어학 개론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 판매지수 24
베스트
러시아어 top20 7주
정가
38,000
판매가
38,000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08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568쪽 | 172*250*35mm
ISBN13 9788968175299
ISBN10 8968175292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머리말


01 언어학 입문
1.1. 언어의 연구
1.1.1. 언어학이란 무엇인가?
1.1.2. 기호 체계로서 언어
1.1.3. 언어 체계와 언어 사용
1.1.4. 언어학과 인접 학문
1.2. 슬라브 언어학
1.2.1. 슬라브어
1.2.2. 슬라브어 문자의 형성
1.2.2.1. 시대적 상황
1.2.2.2. 글라골문자와 끼릴문자
1.2.3. 러시아의 슬라브문자 도입
1.2.4. 러시아어의 문자 발달과 표기 관례의 형성
1.2.4.1. 끼릴문자
1.2.4.2. 제2차 남슬라브어의 영향
1.2.4.3. 시민문자
1.2.5. 러시아어 문자 표기 규정의 제정과 개정
1.2.5.1. 뾰뜨르 대제의 문자 개혁
1.2.5.2. 혁명 후의 정자법 개정

02 음성학
2.1. 음성학의 대상
2.2. 음성학 연구의 두 측면
2.3. 러시아어의 음성 체계
2.3.1. 모음의 분류
2.3.2. 자음의 분류
2.3.2.1. 조음 장소에 따른 자음 분류
2.3.2.2.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 분류
2.3.2.3. 장애음과 고른 소리의 참여에 따른 자음 분류
2.3.2.4. 구개음화의 존재 여부에 따른 자음 분류
2.3.2.5. 비음성의 존재 여부에 따른 자음 분류
2.4. 음성의 교체
2.4.1. 모음의 교체
2.4.1.1. 적응
2.4.1.2. 약화
2.4.2. 자음의 교체
2.5. 음운론
2.5.1. 음운론의 발생
2.5.2. 음소의 정의
2.5.3. 음소의 자질
2.5.4. 음소와 변별적 자질
2.5.4.1. 음소의 변별적 자질
2.5.4.2. 변별적 자질의 다발로서 음소
2.5.4.3. 변별적 자질에 의한 러시아어 음소 체계
2.5.5. 강위치와 약위치
2.5.6. 강음소와 약음소
2.5.7. 모음 음소의 위치
2.5.8. 자음 음소의 위치
2.5.9. 중화
2.5.10. 원음소
2.5.11. 초음소
2.5.12. 모스끄바 음운학파와 뻬쩨르부르크 음운학파
2.6. 러시아어 음운 체계
2.6.1. 러시아어 음운 체계의 특성
2.6.2. 자음 음소의 상관관계
2.6.3. 모음 음소의 구성
2.6.4. 자음 음소의 구성
2.7. 음절

03 어휘론
3.1. 어휘론의 대상과 과제
3.2. 어휘의 체계성
3.3. 어휘 의미
3.3.1. 어의론과 명명론
3.3.2. 단어의 의미
3.3.3. 어휘 의미의 종류
3.3.3.1. 개념적 의미
3.3.3.2. 지시적 의미
3.3.3.3. 구조적 의미
3.3.3.3.1. 결합적인 구조적 의미
3.3.3.3.2. 계열적인 구조적 의미
3.3.3.4. 감정적 의미
3.3.4. 어휘 단위
3.3.5. 단어의 의미 구조
3.3.6. 어휘 의미의 대립
3.3.7. 다의어의 의미 계층
3.3.8. 어휘 의미의 유형
3.4. 어휘 범주
3.4.1. 다의어
3.4.1.1. 다의어의 유형
3.4.1.1.1. 은유적 전의
3.4.1.1.2. 환유적 전의
3.4.1.2. 다의어의 의미 구조
3.4.1.2.1. 방사형
3.4.1.2.2. 사슬형
3.4.1.2.3. 방사-사슬형
3.4.1.3. 다의어의 의미 배열
3.4.2. 동음이의어
3.4.2.1. 동음이의어의 유형
3.4.2.2. 동음이의어의 발생
3.4.2.3. 동음이의성과 다의성의 구분
3.4.2.3.1. 어휘적 방법
3.4.2.3.2. 형태적 방법
3.4.2.3.3. 조어적 방법
3.4.2.3.4. 의미적 방법
3.4.2.3.5. 통사적 관계
3.4.3. 동의어
3.4.3.1. 동의어의 유형
3.4.3.1.1. 의미적 동의어
3.4.3.1.2. 문체적 동의어
3.4.3.1.3. 의미적-문체적 동의어
3.4.3.2. 동의어 계열
3.4.3.3. 동의어의 발생 원인
3.4.3.4. 동의어의 기능
3.4.3.5. 문맥적 동의어
3.4.4. 반의어
3.4.4.1. 반의어의 분류
3.4.5. 의미장, 주제 그룹 및 어휘 의미 그룹
3.5. 러시아어 어휘의 분류
3.5.1. 기원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3.5.2. 러시아어 고유 어휘
3.5.3. 차용어
3.5.4. 모방어
3.6. 능동적 축적과 수동적 축적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3.6.1. 낡은 어휘
3.6.2. 신조어
3.7. 사용 영역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3.7.1. 일반적 사용어
3.7.2. 제한적 사용어
3.7.2.1. 방언 어휘
3.7.2.2. 직업 어휘와 특수 어휘
3.7.2.3. 은어적 어휘
3.8. 문체적 특성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04 조어론
4.1. 서론
4.1.1. 조어론의 정의
4.1.2. 조어론의 대상과 과제
4.1.3. 언어 체계에서 조어론의 위치
4.2. 조어론의 기본 개념
4.2.1. 비파생 어간과 파생 어간
4.2.2. 파생모어 어간과 파생어 어간
4.2.3. 비파생어, 파생어, 파생모어
4.2.4. 조어짝
4.2.5. 조어 유형
4.2.6. 형태 음운적 모델
4.2.7. 조어 범주
4.2.8. 조어 사슬
4.2.9. 조어 파라디그마
4.2.10. 조어족
4.2.11. 조어 수단
4.3. 조어론의 일반적 특성
4.3.1. 조어적 분석과 형태소적 분석
4.3.2. 단어 형성과 형태 형성
4.3.3. 조어 연구의 두 가지 방법
4.4. 파생의 종류 및 방향
4.4.1. 파생의 개념
4.4.2. 파생의 종류
4.4.2.1. 직접 파생과 간접 파생
4.4.2.2. 근원적 파생과 비근원적 파생
4.4.2.3. 단일 파생과 비단일 파생
4.4.2.4. 규칙적 파생과 비규칙적 파생
4.4.3. 형식적 파생과 의미적 파생의 불일치
4.4.4. 파생의 방향
4.4.5. 통사적 파생과 어휘적 파생
4.4.5.1. 통사적 파생
4.4.5.2. 어휘적 파생
4.4.5.2.1. 제한적 파생
4.4.5.2.2. 급변적 파생
4.5. 조어 방법
4.5.1. 어휘 통사적 방법
4.5.2. 형태 통사적 방법
4.5.3. 어휘 의미적 방법
4.5.4. 형태적 방법
4.5.4.1. 접미사 첨가
4.5.4.2. 접두사 첨가
4.5.4.3. 후치사 첨가
4.5.4.4. 형용사와 형동사의 명사화
4.5.4.5. 복합
4.5.4.6. 유착
4.5.4.7. 약어

05 형태론
5.1. 형태론의 대상과 기본 개념
5.2. 문법적 범주
5.2.1. 문법적 형태
5.2.2. 문법적 의미
5.2.3. 문법적 의미의 표현 수단
5.3. 품사
5.3.1. 개관
5.3.2. 품사의 분류
5.3.2.1. 의미적 기준
5.3.2.2. 형태적 기준
5.3.2.3. 통사적 기준
5.4. 형태론적 범주
5.4.1. 상
5.4.1.1. 상의 범주적 특성
5.4.1.2. 상의 의미
5.4.2. 상과 행위 방법
5.4.3. 시제
5.4.4. 태
5.4.5. 법
5.4.6. 격
5.4.6.1. 격 체계
5.4.6.2. 격 의미

06 통사론
6.1.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6.2. 통사론에서 관계의 종류
6.3. 어결합
6.3.1. 통사 단위로서 어결합
6.3.2. 어결합에서 통사적 관계
6.3.2.1. 일치
6.3.2.2. 지배
6.3.2.3. 부가
6.4. 통사론의 기본 단위로서 문장
6.4.1. 문장에 대한 정의
6.4.2. 문장과 그 특성
6.4.3. 문장 연구의 두 가지 방법
6.4.3.1. 어결합적 통사론
6.4.3.2. 의사소통적 통사론
6.5. 문장의 유형
6.5.1. 발화 목적에 따른 문장의 분류
6.5.2. 기능에 따른 문장의 분류
6.5.3. 구조적 특성에 따른 문장의 분류
6.5.4. 단문
6.5.4.1. 이성분 문장
6.5.4.2. 일성분 문장
6.5.4.2.1. 특정 인칭문
6.5.4.2.2. 부정 인칭문
6.5.4.2.3. 일반 인칭문
6.5.4.2.4. 무인칭문
6.5.4.2.5. 미정형문
6.5.4.2.6. 명명문
6.6. 문장 연구의 세 측면
6.6.1. 문장의 형식적 조직
6.6.1.1. 문장 성분에 대한 전통적 연구
6.6.1.1.1. 문장의 주성분
6.6.1.1.1.1. 주어
6.6.1.1.1.2. 술어
6.6.1.1.2. 문장의 부차적 성분
6.6.1.2. 문장 성분에 대한 현대적 연구
6.6.1.3. 문장의 구조 도식
6.6.1.3.1. 서술적 최소로서 구조 도식
6.6.1.3.2. 명명적 최소로서 구조 도식
6.6.1.3.3. 문장의 확장된 구조 도식과 그 유형
6.6.1.3.4. 문장 구조 도식에서 확장소의 유형
6.5.1.3.5. 최소 도식의 구성 성분
6.6.1.3.6. 문장 최소 도식의 목록
6.6.2. 문장의 의미 조직
6.6.2.1. 의미 구조에 의한 의미 기술
6.6.2.2. 명제에 의한 의미 기술
6.6.3. 문장의 의사소통적 조직
6.6.3.1. 문장의 실제 정보적 분절
6.6.3.2. 문장의 실제 정보적 분절의 표현 수단
6.6.3.3. 발화의 유형
6.6.3.4. 문장의 실제 정보적 분절과 문법적 분절

07 통사 의미론
7.1. 서론
7.2. 해석 의미론
7.3. 생성 의미론
7.3.1. 격 문법
7.3.2. 의미 구조 이론
7.4. 결합가 이론


참고문헌
용어해설
찾아보기
러시아어 한글 표기법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1990년 한러 국교 정상화 이후 러시아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은 곧 러시아어를 가르치는 대학의 증가로 이어졌다. 그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러시아어 교육에 사용될 만한, 러시아어학 전반에 대한 이론이 체계적으로 정리된 개론서는 전무했다. 그리하여 필자는 초심자들을 러시아어학이라는 학문의 세계로 이끌 수 있는 개론서를 집필하기에 이르렀고, 이것이 97년 ??현대 노어학 개론??이 출간된 계기이다.

현재까지 러시아어를 가르치는 여러 대학에서 러시아어학 개론은 과목명의 변화가 있을 뿐, 러시아어의 기초를 배우는 필수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여러 학교에서 수업 교재로 여전히 ??현대 노어학 개론??의 초판이 채택되고 있음은 필자에게 보람과 동시에 개정에 대한 부담으로 다가왔다. 그리하여 초판 이후 20년간 러시아어학 전반의 이론적 발달 과정과 발전 경향 등을 고루 반영할 수 있는 개정판 ??러시아어학 개론??의 출판을 결심하게 되었다.

이에 이번 개정판에는 학부생뿐만 아니라 대학원 기초 과정 및 러시아어 연구자들의 이론적 깊이 역시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을 다수 개정, 추가하여 러시아어학에 대한 정보를 아울러 담고자 한다.
책의 전체 내용은 이러하다. 제1장 언어학 입문에서는 언어학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문제를 다룰 것이다. 여기에, 이전 초판과 달리 슬라브문자의 기원과 형성, 그리고 러시아어의 규범화에 대한 내용이 대폭 보강되었다.

제2장 음성학에서는 러시아어의 음성과 음운 체계 및 음운론을 깊이 있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3장 어휘론에서는 단어의 의미적 특성들과 러시아어 어휘의 특성을 살펴보며, 이론적으로는 어휘 의미론에 기반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4장 조어론에서는 조어론에 대한 여러 문제를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다룰 것이다.

단, 각 품사의 실질적인 조어 과정은 논외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러시아어 조어론??을 참고하기를 권장한다. 제5장 형태론에서는 문법적 범주와 품사의 문제 및 형태론적 범주로서 상, 행위 방법, 시제, 태, 법, 격을 다룬다.

각 품사의 나열과 함께 문법적 설명을 곁들인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형태론에 대한 보다 능동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제6장 통사론에서는 형식, 의미, 의사소통적 측면에서 문장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장 의미를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보여 준다.

마지막 제7장 통사 의미론에서는 러시아어학 연구에서 자주 언급되는 의미론, 특히 격 문법과 결합가 이론을 자세히 소개한다. 책의 후반부에는 용어 해설을 첨부하여, 러시아어학 전반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게 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보다 개선된 러시아어 한글 표기법을 표준적인 표기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일차적으로는 러시아어 전공생과 관련 연구자들에게 러시아어학에 대한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어 전공자가 아닌 학습자, 연구자들에게도 역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러시아어학 이론이 일반 언어학과 유기적인 관계에서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책은 언어학 전반의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어, 러시아어 전공자가 아닐지라도 각 장의 설명을 따라가면 언어학적 관점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시 말해, 본 저술은 교육이라는 실용적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러시아어학 및 언어학 전반에 대한 이론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38,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