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08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568쪽 | 172*250*35mm |
ISBN13 | 9788968175299 |
ISBN10 | 8968175292 |
발행일 | 2017년 08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568쪽 | 172*250*35mm |
ISBN13 | 9788968175299 |
ISBN10 | 8968175292 |
머리말 01 언어학 입문 1.1. 언어의 연구 1.1.1. 언어학이란 무엇인가? 1.1.2. 기호 체계로서 언어 1.1.3. 언어 체계와 언어 사용 1.1.4. 언어학과 인접 학문 1.2. 슬라브 언어학 1.2.1. 슬라브어 1.2.2. 슬라브어 문자의 형성 1.2.2.1. 시대적 상황 1.2.2.2. 글라골문자와 끼릴문자 1.2.3. 러시아의 슬라브문자 도입 1.2.4. 러시아어의 문자 발달과 표기 관례의 형성 1.2.4.1. 끼릴문자 1.2.4.2. 제2차 남슬라브어의 영향 1.2.4.3. 시민문자 1.2.5. 러시아어 문자 표기 규정의 제정과 개정 1.2.5.1. 뾰뜨르 대제의 문자 개혁 1.2.5.2. 혁명 후의 정자법 개정 02 음성학 2.1. 음성학의 대상 2.2. 음성학 연구의 두 측면 2.3. 러시아어의 음성 체계 2.3.1. 모음의 분류 2.3.2. 자음의 분류 2.3.2.1. 조음 장소에 따른 자음 분류 2.3.2.2.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 분류 2.3.2.3. 장애음과 고른 소리의 참여에 따른 자음 분류 2.3.2.4. 구개음화의 존재 여부에 따른 자음 분류 2.3.2.5. 비음성의 존재 여부에 따른 자음 분류 2.4. 음성의 교체 2.4.1. 모음의 교체 2.4.1.1. 적응 2.4.1.2. 약화 2.4.2. 자음의 교체 2.5. 음운론 2.5.1. 음운론의 발생 2.5.2. 음소의 정의 2.5.3. 음소의 자질 2.5.4. 음소와 변별적 자질 2.5.4.1. 음소의 변별적 자질 2.5.4.2. 변별적 자질의 다발로서 음소 2.5.4.3. 변별적 자질에 의한 러시아어 음소 체계 2.5.5. 강위치와 약위치 2.5.6. 강음소와 약음소 2.5.7. 모음 음소의 위치 2.5.8. 자음 음소의 위치 2.5.9. 중화 2.5.10. 원음소 2.5.11. 초음소 2.5.12. 모스끄바 음운학파와 뻬쩨르부르크 음운학파 2.6. 러시아어 음운 체계 2.6.1. 러시아어 음운 체계의 특성 2.6.2. 자음 음소의 상관관계 2.6.3. 모음 음소의 구성 2.6.4. 자음 음소의 구성 2.7. 음절 03 어휘론 3.1. 어휘론의 대상과 과제 3.2. 어휘의 체계성 3.3. 어휘 의미 3.3.1. 어의론과 명명론 3.3.2. 단어의 의미 3.3.3. 어휘 의미의 종류 3.3.3.1. 개념적 의미 3.3.3.2. 지시적 의미 3.3.3.3. 구조적 의미 3.3.3.3.1. 결합적인 구조적 의미 3.3.3.3.2. 계열적인 구조적 의미 3.3.3.4. 감정적 의미 3.3.4. 어휘 단위 3.3.5. 단어의 의미 구조 3.3.6. 어휘 의미의 대립 3.3.7. 다의어의 의미 계층 3.3.8. 어휘 의미의 유형 3.4. 어휘 범주 3.4.1. 다의어 3.4.1.1. 다의어의 유형 3.4.1.1.1. 은유적 전의 3.4.1.1.2. 환유적 전의 3.4.1.2. 다의어의 의미 구조 3.4.1.2.1. 방사형 3.4.1.2.2. 사슬형 3.4.1.2.3. 방사-사슬형 3.4.1.3. 다의어의 의미 배열 3.4.2. 동음이의어 3.4.2.1. 동음이의어의 유형 3.4.2.2. 동음이의어의 발생 3.4.2.3. 동음이의성과 다의성의 구분 3.4.2.3.1. 어휘적 방법 3.4.2.3.2. 형태적 방법 3.4.2.3.3. 조어적 방법 3.4.2.3.4. 의미적 방법 3.4.2.3.5. 통사적 관계 3.4.3. 동의어 3.4.3.1. 동의어의 유형 3.4.3.1.1. 의미적 동의어 3.4.3.1.2. 문체적 동의어 3.4.3.1.3. 의미적-문체적 동의어 3.4.3.2. 동의어 계열 3.4.3.3. 동의어의 발생 원인 3.4.3.4. 동의어의 기능 3.4.3.5. 문맥적 동의어 3.4.4. 반의어 3.4.4.1. 반의어의 분류 3.4.5. 의미장, 주제 그룹 및 어휘 의미 그룹 3.5. 러시아어 어휘의 분류 3.5.1. 기원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3.5.2. 러시아어 고유 어휘 3.5.3. 차용어 3.5.4. 모방어 3.6. 능동적 축적과 수동적 축적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3.6.1. 낡은 어휘 3.6.2. 신조어 3.7. 사용 영역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3.7.1. 일반적 사용어 3.7.2. 제한적 사용어 3.7.2.1. 방언 어휘 3.7.2.2. 직업 어휘와 특수 어휘 3.7.2.3. 은어적 어휘 3.8. 문체적 특성으로 본 러시아어 어휘 04 조어론 4.1. 서론 4.1.1. 조어론의 정의 4.1.2. 조어론의 대상과 과제 4.1.3. 언어 체계에서 조어론의 위치 4.2. 조어론의 기본 개념 4.2.1. 비파생 어간과 파생 어간 4.2.2. 파생모어 어간과 파생어 어간 4.2.3. 비파생어, 파생어, 파생모어 4.2.4. 조어짝 4.2.5. 조어 유형 4.2.6. 형태 음운적 모델 4.2.7. 조어 범주 4.2.8. 조어 사슬 4.2.9. 조어 파라디그마 4.2.10. 조어족 4.2.11. 조어 수단 4.3. 조어론의 일반적 특성 4.3.1. 조어적 분석과 형태소적 분석 4.3.2. 단어 형성과 형태 형성 4.3.3. 조어 연구의 두 가지 방법 4.4. 파생의 종류 및 방향 4.4.1. 파생의 개념 4.4.2. 파생의 종류 4.4.2.1. 직접 파생과 간접 파생 4.4.2.2. 근원적 파생과 비근원적 파생 4.4.2.3. 단일 파생과 비단일 파생 4.4.2.4. 규칙적 파생과 비규칙적 파생 4.4.3. 형식적 파생과 의미적 파생의 불일치 4.4.4. 파생의 방향 4.4.5. 통사적 파생과 어휘적 파생 4.4.5.1. 통사적 파생 4.4.5.2. 어휘적 파생 4.4.5.2.1. 제한적 파생 4.4.5.2.2. 급변적 파생 4.5. 조어 방법 4.5.1. 어휘 통사적 방법 4.5.2. 형태 통사적 방법 4.5.3. 어휘 의미적 방법 4.5.4. 형태적 방법 4.5.4.1. 접미사 첨가 4.5.4.2. 접두사 첨가 4.5.4.3. 후치사 첨가 4.5.4.4. 형용사와 형동사의 명사화 4.5.4.5. 복합 4.5.4.6. 유착 4.5.4.7. 약어 05 형태론 5.1. 형태론의 대상과 기본 개념 5.2. 문법적 범주 5.2.1. 문법적 형태 5.2.2. 문법적 의미 5.2.3. 문법적 의미의 표현 수단 5.3. 품사 5.3.1. 개관 5.3.2. 품사의 분류 5.3.2.1. 의미적 기준 5.3.2.2. 형태적 기준 5.3.2.3. 통사적 기준 5.4. 형태론적 범주 5.4.1. 상 5.4.1.1. 상의 범주적 특성 5.4.1.2. 상의 의미 5.4.2. 상과 행위 방법 5.4.3. 시제 5.4.4. 태 5.4.5. 법 5.4.6. 격 5.4.6.1. 격 체계 5.4.6.2. 격 의미 06 통사론 6.1. 통사론이란 무엇인가? 6.2. 통사론에서 관계의 종류 6.3. 어결합 6.3.1. 통사 단위로서 어결합 6.3.2. 어결합에서 통사적 관계 6.3.2.1. 일치 6.3.2.2. 지배 6.3.2.3. 부가 6.4. 통사론의 기본 단위로서 문장 6.4.1. 문장에 대한 정의 6.4.2. 문장과 그 특성 6.4.3. 문장 연구의 두 가지 방법 6.4.3.1. 어결합적 통사론 6.4.3.2. 의사소통적 통사론 6.5. 문장의 유형 6.5.1. 발화 목적에 따른 문장의 분류 6.5.2. 기능에 따른 문장의 분류 6.5.3. 구조적 특성에 따른 문장의 분류 6.5.4. 단문 6.5.4.1. 이성분 문장 6.5.4.2. 일성분 문장 6.5.4.2.1. 특정 인칭문 6.5.4.2.2. 부정 인칭문 6.5.4.2.3. 일반 인칭문 6.5.4.2.4. 무인칭문 6.5.4.2.5. 미정형문 6.5.4.2.6. 명명문 6.6. 문장 연구의 세 측면 6.6.1. 문장의 형식적 조직 6.6.1.1. 문장 성분에 대한 전통적 연구 6.6.1.1.1. 문장의 주성분 6.6.1.1.1.1. 주어 6.6.1.1.1.2. 술어 6.6.1.1.2. 문장의 부차적 성분 6.6.1.2. 문장 성분에 대한 현대적 연구 6.6.1.3. 문장의 구조 도식 6.6.1.3.1. 서술적 최소로서 구조 도식 6.6.1.3.2. 명명적 최소로서 구조 도식 6.6.1.3.3. 문장의 확장된 구조 도식과 그 유형 6.6.1.3.4. 문장 구조 도식에서 확장소의 유형 6.5.1.3.5. 최소 도식의 구성 성분 6.6.1.3.6. 문장 최소 도식의 목록 6.6.2. 문장의 의미 조직 6.6.2.1. 의미 구조에 의한 의미 기술 6.6.2.2. 명제에 의한 의미 기술 6.6.3. 문장의 의사소통적 조직 6.6.3.1. 문장의 실제 정보적 분절 6.6.3.2. 문장의 실제 정보적 분절의 표현 수단 6.6.3.3. 발화의 유형 6.6.3.4. 문장의 실제 정보적 분절과 문법적 분절 07 통사 의미론 7.1. 서론 7.2. 해석 의미론 7.3. 생성 의미론 7.3.1. 격 문법 7.3.2. 의미 구조 이론 7.4. 결합가 이론 참고문헌 용어해설 찾아보기 러시아어 한글 표기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