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조선의 선비 매천 황현의 죽음의 미학, 매천집
eBook

조선의 선비 매천 황현의 죽음의 미학, 매천집

[ EPUB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정가
3,000
판매가
3,000
추가혜택
쿠폰받기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8년 09월 07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19.10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11.1만자, 약 2.4만 단어, A4 약 70쪽?
ISBN13 9791163471226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다음은 역시 중국인 黃開基가 쓴 梅泉續集 서문이다.

“箕子가 周나라의 신하가 되지 않고, 朝鮮으로 온 뒤로부터 洪範九疇의 道가 동방에서 이루어졌다.
그 뒤로 그 遺風과 餘澤이 오래도록 없어지지 않아, 歷代로 내면이 어질고 외면이 훌륭한 인물들이 연이어 나왔다.
지금의 韓國 사직에서는, 또 창강과 매천의 문장이나 절의를 통해, 이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창강은 幾微에 밝고 선견지명이 있는 사람이라, 관직을 버리고 남쪽으로 갔다가, 國運이 다해 갈 즈음에, 마침내 中華民國에 籍을 두고서, 스스로 少昊金天氏의 가문을 다시 열어, 그 망국의 슬픔을 잊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내가 그와 교유하며, 학문과 도를 논할 수 있게 되었으니, 저에게는 불행한 일이지만, 나에게는 다행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매천의 경우에는 따져 보면, 나와 같은 黃帝의 후손인데, 창강을 따라 옛 本籍으로 돌아오지 않고, 寒貧한 布衣之士로서 도리를 지키는 일을 힘써 자임하였다.
그리하여 엿처럼 달게 독약을 마심으로써, 자신을 개결하게 지켰으니, 이는 불행 중에 더욱 큰 불행이라 하겠다.”

황개기(1790~1856)는 청나라의 정치가로서 중국인이다. 그런 그가 황현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발언을 하는 것은, 아주 印象的이다. 황개기는, 기자가 주나라의 신하가 되지 않고, 朝鮮으로 책봉되어 온 일을 거론한다. 그렇게 기자가 홍범구주를 전해 줌으로써, 조선에서 홍범구주의 정치가 실현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이해는 조선왕조에서도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황현과 자신이 黃帝 軒轅氏의 동일한 후손임을 주장한다. 이는 지극히 中華主義的 思惟方式의 發露라고 할 수 있다. 황제 헌원씨는 중국인에게 마치 ‘조선의 檀君’과 같은 존재다. 그런데 황현의 성씨가 黃氏라는 사실만으로 황제 헌원씨의 후손이라고 한 것이다. 여하튼 이는, 황현이 중국이라는 문명권에 편입되어야 할 인물이면서도, 마치 기자처럼 조선에서 생을 마쳤음을 비유함이다. 적어도 황현의 수준 정도는 되어야 문명적인 중국인일 수 있음을 내포하는 비유라고 할 것이다.
또한 황현이 조선의 멸망을 보면서, 스스로 자결한 忠節을 鼓舞的인 행위로 평가하며 칭송한다. 황현의 행위는 實利가 아닌 名分을 선택한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명분을 위해 충절을 선택하는 것은, 조선왕조가 표면적으로 내세우는 대표적인 정치철학적 지향이었다.
조선왕조에서도 황현의 경우처럼, 적어도 자기의 목숨까지 바칠 정도라면, 나름대로 명분을 추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의 경우 대부분, 명분은 그저 실리의 도구로써 작동하기 십상이다. 현대사회에서도 마찬가지다. 자기의 이득을 위한 삶은, 지극히 본성적인 차원에서 작동하는 심리기제이기 때문이다.
황현의 행위는 洪範九疇의 정치철학체계에서는, 後代에 군주의 권력을 標榜하는 모델로서 흔히 제시되는, 皇極의 원리를 좇는 행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세계의 정치적 상황이 황현이나 황개기의 바람과 같은 것은 아니다.
때문에 현재에 이르도록, 정치적 판단에 있어 명분과 실리는 여전히 늘 문제가 된다. 더욱이 조선왕조의 性理學的 정치철학은 지나치게 명분에 치중하며, 실리를 조화시킬 만한 정치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못 하다.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實學이 등장하기도 한다.
檀君朝鮮과 箕子朝鮮 등에 얽힌 古代史의 문제들은, 현대에 이르러 특히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만큼 그 문제에 내재된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단군조선이나 기자조선에 관한 上古史 재정립의 문제는, 역사문제라는 것이 결국은 정치철학의 문제라는 사실을 인식케 한다.
조선왕조에서는 기자조선을 역사적 事實로 규정했다. 그래서 기자의 홍범을 國是로서 활용했던 것이다. 그러한 政治史的 史實에 대해서, 조선왕조가 멸망하고 수십 년이 지난 후, 기자조선의 실체 자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고려왕조나 조선왕조에서는, 단군조선이나 기자조선의 眞僞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다. 고려왕조는 역사적 史料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했다지만, 조선왕조는 역사에 대해 각별한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오히려 그러한 인식 탓에 예컨대, 세조 때는 受書令으로써 古記로 분류되는 일련의 서적들을 강제로 수거하여 없애버린다.
세조의 수서령은, 주로 기자조선의 역사를 事實로써 확정하는 데 장애가 되는 내용을 담고 있는 歷史書를 대상으로 시행된 것이었다. 受書 대상 텍스트의 목록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古朝鮮秘詞, 大辯說, 朝代記, 周南逸士記, 誌公記, 表訓三聖密記, 安含老元董仲三聖記, 道證記智異聖母河沙良訓, 文泰山ㆍ王居仁ㆍ薛業等三人記錄, 修撰企所 一百餘卷, 動天錄, 磨蝨錄, 通天錄, 壺中錄, 地華錄, 漢都讖記 等이다.
현재로서는 당시 逸失된 서적들에 기술되었던 내용을 확인할 방법은 없으며, 지목된 서적들의 제목으로써 유추할 때, 그 서적들의 대부분이 우리 민족의 上古史에 관련된 歷史書인 것으로 추정된다. 흔히 이러한 문제들은 역사적 史實의 문제이므로, 역사학의 所管인 것으로 판단하기 쉽다. 그러나 역사라는 것은, 역사학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정치철학의 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어떠한 역사적 事實이 歷史書에 史實로서 기술되어, 하나의 歷史가 정립되는 과정은 지극히 정치적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조선왕조의 半島史觀, 日帝의 植民史觀, 중국의 東北工程 등에 의한 역사는, ‘역사를 위한 역사’가 아니라 ‘정치를 위한 역사’임은 周知의 사실이다. 흔히 조선왕조의 반도사관을 日帝 식민사관의 일종이라고 인식한다. 그러나 요동 정벌 명령에 抗命하며 위화도 회군이라는 정치적 결정을 하고,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를 선언할 때 작동한 史觀이야말로 반도사관이다. 본래 우리 민족의 영토이던 요동을 포기하고서, 우리 영토를 ‘록강 이남의 韓半島로 국한시켰기 때문이다.
일제는 그러한 조선왕조의 전통적인 歷史觀에 반도사관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따라서 ‘조선왕조의 반도사관’과 ‘식민사관 중의 반도사관’은 뭉뚱그려질 수 없는 별개의 개념이므로, 명확히 분별하여 살피는 것이 타당하다.
식민사관은 19세기 말 도쿄제국대학에서 시작되었는데, 神功皇后의 新羅征服說과 任那日本府說, 滿鮮史論 등을 내세우다가, 20세기 초 朝鮮侵略이 본격화되자 日鮮同祖論, 他律性論, 停滯性論, 黨派性論 등을 제시하고 있다.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이마니시 류(今西龍)’, 李丙燾 등이 대표자들이다.
일제의 朝鮮史編修會에 재직하던 申奭鎬는, 解放 이후 국사편찬회의 회장이 된다. 이후 이러한 계통을 잇는 植民史學派는 현재까지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美軍政, 左右對立, 韓國戰爭 등의 이유로 인해, 친일파 處斷을 엄정하게 실현하지 못 했기 때문이다.
-하략-

회원리뷰 (0건) 회원리뷰 이동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0건) 한줄평 이동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구매후 즉시 다운로드 가능
  •  배송비 : 무료배송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