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저자의 글|역사는 오늘날을 이해하는 키워드입니다갈래별 글쓰기이 책의 생김새와 쓰임새세계 지도
01 게르만족 이동과 중세 성립역사 탐구|1 게르만족 이동과 서로마 제국 멸망 2 여러 나라로 나누어진 유럽, 그리고 중세 역사 해석|1 게르만족은 왜 서쪽으로 이동하였나? 2 게임으로 부활하는 북유럽 신화역사 토론|게르만족 이동은 서구 유럽 문명에 도움이 되었을까? 02 비잔티움 제국과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역사 탐구|1 천년 제국 비잔티움 2 유스티니아누스 1세 3 웅장하고 찬란했던 비잔티움 문화역사 해석|비잔티움 황제 레오 3세가 성상 숭배 금지령을 내린 까닭은?역사 토론|비잔티움 제국이 천 년 이상을 멸망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03 무함마드와 이슬람교역사 탐구|1 무함마드(마호메트) 2 무슬림이 해야 하는 다섯 가지 의무? 3 인샬라와 《꾸란》역사 해석|무슬림들이 돼지고기를 먹지 않고 낙타를 중시하는 까닭역사 토론|종교에서 먹지 말라고 하는 음식을 꼭 먹지 말아야 하는가? 04 팽창하는 이슬람 제국 역사 탐구|1 옴미아드 왕조(우마미야 왕조) 2 아바스 왕조역사 해석|1 한 손에 칼, 한 손에 꾸란? 2 이슬람 제국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까닭은?역사 토론|왜 이슬람교는 ‘한 손에 칼, 한 손에 꾸란’이라는 이미지로 우리에게 알려졌을까? 05 프랑크 왕국과 카롤루스 대제 역사 탐구|1 프랑크 왕국 성립 2 카롤링거 왕조 3 서로마 황제가 된 카롤루스 대제역사 해석|프랑크 왕국이 분열하게 된 까닭은?역사 토론|프랑크 왕국이 다른 게르만 국가와 달리 오래 발전할 수 있었던 가장 큰 까닭은 무엇일까? 06 중세 서유럽을 바라보는 눈, 봉건 사회역사 탐구|1 중세 봉건 사회를 앞당긴 노르만족 2 봉건 사회역사 해석|중세 유럽 시대에 기사는 누구나 될 수 있었을까?역사 토론|노르만족인 바이킹은 해적이었을까? 07 교황권과 황제권 대립역사 탐구|1 황제가 교황에게 무릎을 꿇다 2 임명권 다툼을 보름스 협약으로 끝맺다 3 아비뇽 유수역사 해석|수도원 생활과 클뤼니 개혁 운동역사 토론|성직자 임명권은 누가 가져야 옳은가? 08 신은 그것을 원하신다, 십자군 전쟁역사 탐구|1 성지 예루살렘을 되찾기 위하여, 십자군 전쟁 시작 2 십자군 전쟁 전개 과정(제1차~제4차) 3 십자군 전쟁 결과역사 해석|왜 많은 사람들이 십자군에 참여했을까?역사 토론|십자군 전쟁은 유럽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쳤을까? 09 영국 대헌장과 양원제 역사 탐구|1 대헌장(마그나 카르타) 2 의회가 탄생하다 3 의회 민주주의가 발달하다역사 해석|대헌장은 민주주의 시작을 알리는 문서일까?역사 토론|의회 민주주의가 영국에서 가장 먼저 발달한 까닭은 무엇일까? 10 중앙 집권화를 위해, 백년 전쟁과 장미 전쟁 역사 탐구|1 백년 전쟁이 일어나다 2 잔 다르크 등장 3 장미 전쟁(1455~1485년)역사 해석|신무기 대결장이었던 백년 전쟁역사 토론|백년 전쟁에서 프랑스가 승리할 수 있었던 가장 큰 까닭은 무엇일까? 11 쇼토쿠 태자와 다이카 개신 역사 탐구|1 쇼토쿠 태자(574~622년) 2 다이카 개신역사 해석|1 백제 성왕은 왜 일본에 많은 선진 문물을 전해주었을까? 2 텐노(天皇, 천황)?닛뽄(日本, 일본)?와(和, 화)?신토(神道, 신도)역사 토론|일본 사람들이 주장하는 고대 일본 역사는 믿을 수 있을까? 12 수나라와 당 태종, 그리고 측천무후역사 탐구|1 수나라 문제와 양제 2 당나라 건국과 성장 3 중국에서 유일한 여황제 측천무후역사 해석|대운하 건설로 멸망한 수나라와 그 혜택을 받은 당나라역사 토론|중국 역사가들은 왜 측천무후를 ‘여황제’라고 부르지 않는 것일까? 13 현종과 양귀비, 그리고 당나라 멸망역사 탐구|1 현종과 양귀비 2 당나라 멸망 3 당나라 문화역사 해석|당나라를 멸망시킨 절도사역사 토론|당나라 수도인 장안이 국제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14 잉카 제국과 아스텍역사 탐구|1 잉카 제국 탄생과 멸망 2 잉카 문화 3 아스텍 제국역사 해석|신비롭고 불가사의 한 문명역사 토론|중남미 문명은 왜 세계 4대 문명 발생지에 포함되지 못했나? 15 5대 10국과 송나라역사 탐구|1 절도사가 세운 나라 5대 10국 2 송나라 건국 3 화려하게 빛난 송나라 문화역사 해석|왕안석 신법은 왜 실패하였나?역사 토론|요나라와 금나라는 왜 송나라를 멸망시키지 않았을까? 16 칭기즈 칸, 가장 큰 나라를 세우다역사 탐구|1 칭기즈 칸, 몽골 제국을 세우다2 쿠빌라이 칸과 원나라 3 마르코 폴로역사 해석|막강한 몽골 군대와 동과 서를 잇는 몽골 제국역사 토론|몽골이 넓은 땅을 통치하는 강력한 제국이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17 중세 일본, 막부 시대 역사 탐구| 1 나라(奈良)시대, 헤이안(平安)시대 2 가마쿠라(鎌倉) 막부, 무로마치(室町) 막부?3 전국 통일과 세 영웅역사 해석|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성격 비교역사 토론| 도요토미 헤데요시는 크리스트교 추방령을 왜 내렸을까? 18 저무는 중세 시대 역사 탐구| 중세가 몰락하다 역사 해석| 왜 유럽에 흑사병이 널리 퍼졌나?역사 토론| 중세가 몰락한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
글모난돌역사논술모임
관심작가 알림신청모난돌역사논술모임의 다른 상품
그림민재회
관심작가 알림신청민재회의 다른 상품
역사 탐구 | 중세 봉건 사회를 앞당긴 노르만족 (6단원)
서유럽 사람들에게 가장 큰 피해를 끼친 것은 노르만족이었다. 이들은 영국, 프랑스, 지중해, 러시아를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들을 침입하면서 약탈을 하였다. 노르만족은 바이킹이라고도 불리는데, 북쪽에 살았기 때문에 날씨가 추워 농사짓기 어려웠고 인구가 늘어나자 먹고 살기 힘들어져 따뜻한 남쪽 땅을 찾아 유럽으로 내려오기 시작하였다. 바이킹은 배를 만들고 조종하는 기술이 뛰어나 무역을 하기도 했지만, 물건이나 먹을 것을 강제로 빼앗기도 해서 서유럽 사람들은 해적으로 여기며 무서워했다. 프랑크 왕국이 분열되면서 바이킹들의 해적질은 계속되었고, 유럽 사회는 점점 혼란스러워졌다. 따라서 힘 있는 사람들은 성을 쌓고 무기를 갖추어 보호하였고, 힘이 없는 사람들은 그들에게 의지하면서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렇게 중세 서유럽 사회에 봉건 사회가 시작되었다. 역사 해석 | 이슬람 제국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까닭은?(4단원) 이슬람교는 만들어진 지 100여 년 만에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그들이 짧은 시간 안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까닭은 비잔티움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 등이 오랜 전쟁으로 약해졌기 때문이다. 또 인종, 신분, 계급 등에 관계없이 모든 무슬림은 알라신 앞에 평등하다는 이슬람교의 종교적 특징 때문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슬람 제국이 정복한 지역에 부과한 세금이 이전 세금보다 가벼웠기 때문에 정복 지역 주민들로부터 환영을 받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역사 토론 | 중세가 몰락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18단원) 중세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된 것은 한 가지 원인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원인이 뒤섞인 결과였다. 중국에서 화약이 들어와 총이나 대포가 이용되면서 칼을 든 기사 계급이 몰락하면서 봉건 영주가 힘을 잃었다. 또 상공업의 발달로 농노들은 도시로 이주하였고, 부자가 된 사람들이 늘어나 스스로 도시를 다스려 나갔다. 십자군 전쟁의 실패는 사상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교회가 분열되었고 종교개혁을 통해 신교가 등장하였다. 이로 인해 봉건 영주와 교황이 권위를 잃어 왕권이 강화되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세가 몰락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흑사병 때문이다. 흑사병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자 일손이 부족해져, 봉건 영주들이 경제 기반을 잃고 말았다. 그리고 흑사병으로 죽은 성직자들 자리에 능력 없는 사람들이 앉게 되자 사람들이 교회를 믿지 않게 되면서 중세 사회는 몰락하게 되었다. 역사에 비추어 보는 세계 | 바다에 잠기는 섬 투발루(6단원) 서양 중세 시대 민족 대이동을 했던 노르만족처럼 오늘날 투발루 사람들은 나라를 떠나 새로운 곳을 찾아야 한다. 투발루 국민들이 자기 나라를 떠날 수밖에 없는 까닭은 섬이 점점 바다로 가라앉으면서 농사를 짓지 못하게 되고, 마실 물조차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섬이 바다로 가라앉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지구 온난화 때문이다. 그리고 지구 온난화 현상은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나가야 한다. --- 본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