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문은 만상에 대한 ‘연애술사’이다. 지극한 연애는 과도한 기운을 요구하며, 고조된 표현과 예민한 감성을 끊임없이 개발하게 만든다. 그의 시가 시조라는 틀 안에서 운영되면서도 시조라는 틀의 한계를 깨트리거나 확장하거나 넘어설 수 있는 것도 이런 그의 몸과 정신의, 또는 말들의 활달한 움직임 때문일 것이다. 그의 시조가 새로울 수밖에 없는 힘이 여기서 나온다. 그렇다. 그의 시를 통해 우리 시조가 지금 대단히 예민한 상태에 다다라 있음을 본다.
- 이하석 (시인)
90년대 우리 시조단에서 이종문은 가장 개성 넘치는 하나의 현상으로 그 존재를 각인시켜놓았다. 그의 시를 대하다 보면 실낱같은 경락 하나만으로 세상의 아픈 곳을 찾아내는 소문난 명의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그 만큼 시대와 세상을 향한 그의 진단은 정확했고 그의 촉수는 예리하였다. 언제나 그의 시에서는 풍자와 해학, 그리고 역설의 파노라마가 펼쳐지고, 그는 그 뒤에서 유유자적하게 중도(中道)를 가늠하는 신의 손이 된다.
- 민병도 (시조시인)
이종문 시인은 그 동안 한문학자라는 선입견이 무색할 정도로 독특한 미학의 성채를 구축해왔다. 전통 정서인 '해학'을 현대시조의 미학으로 완벽하게 되살려낸 것은 그만의 성취이자 분명한 개성이다. 그가 궁구한 해학은 역설과 직관, 우의와 상징 같은 여러 요소들을 아우른다. 그러면서 그 바탕에는 자연과 결속한 인간애가 진하게 녹아 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시세계를 ‘잘 발효된 해학의 인간시학’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 박기섭 (시조시인)
통쾌하다. 남들이 ‘부자유시’라고 버리고 달아난 시조 율격을 타고, 부자유는커녕 방종하달 만큼 이종문은 자재롭다. 엎어지고 자빠지고 뒹굴다 못해 그 율격 위에 물구나무서고, 그 위에서 먹고 자고, 흉만 아니라면 다른 볼 일마저도 그 위에서 볼 판이다. 우직한 듯 간드러지고, 익살인양 처연하고, 그러한가 돌아보면 능청 속에 다시 섧다. 종심소욕(從心所欲) 불유구(不踰矩)가 이 밖에 또 있을까.
- 김사인 (시인)
이종문 시인의 시를 읽다 보면 옛 어른들이 왜 ‘시절가조(時節歌調)’라고 이름을 붙인 줄 알겠다. 물과 바람에도 마디가 있어서 완급과 감돎이 생기고, 응축과 이완이 알을 슨다. 소리마디에서 가락과 율동이 생겨나서 스밈과 번짐의 춤사위를 펼친다. 북편과 채편 사이에 이렇게나 큰 우주의 웃음을 북통에 담아놓았는데, 초승달처럼 웃다 보면 문득 내가 잡고 있는 북채가 울음의 뼈마디인 걸 느끼게 된다.
- 이정록 (시인)
이종문은 쾌활하지만 삶의 어둠을 예리하게 통찰하는 내적 힘을 지닌 시인이다. 그러나 그는 삶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고 특유의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대응한다. 그 대응 방식은 읽는 이에게 재미와 통쾌함을 함께 느끼게 한다. 이종문의 시는 리듬의 다양한 변주를 통해 무거움과 가벼움, 어둠과 밝음, 쾌활함과 잔잔함, 유머러스함과 비애감의 조화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 그가 독자적인 상상력과 목소리를 통해서 보여준 개성미학은 시조의 서정미학이 자칫 답습하기 쉬운 고답적 성향을 넘어선 커다란 성과로 생각된다.
- 엄경희 (문학평론가·숭실대 교수)
이종문의 시조가 행갈이가 활달하고 자유로운 것은 자유시의 체취나 취향이라기보다는 정형시적 응축과 직관적 깊이로 행간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조가 지닌 외형은 현대시조의 개성적 분열이자 창신에 부합한다. 운율과 행갈이, 즉 운율과 의미적 뉘앙스에 따른 행간의 배치는 그가 운용하는 시조의 자유자재한 형식으로 독특한 감각을 품는데 적절한 대응을 보인다고 하겠다. 그것이 그만의 인상적인 감각들을 수용하는 시조 형식의 독특한 아우라가 되지 않을까 싶다.
- 유종인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