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1. 영광의 무게 _ 천국과 인간의 영원한 가치 2. 전시의 학문 _ 전쟁 중에도 학문에 힘쓰는 이유 3. 나는 왜 반전론자가 아닌가? _ 전쟁에 대한 태도 4. 변환 _ 방언과 초자연적 현상 이해 5. 신학은 시詩인가? _ 신학을 보는 관점 6. 내부패거리 _ 특권층 지향 욕구 통찰 7. 멤버십 _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를 넘어 8. 용서 _ 참된 용서 실천 방법 9. 실언 _ 하나님의 주권 인정하기 편집자의 글 |
저C. S. 루이스
관심작가 알림신청Clive Staples Lewis
C. S. 루이스 의 다른 상품
역홍종락
관심작가 알림신청홍종락의 다른 상품
1941년 6월 8일에 세인트메리 교회에서 설교한 내용인 〈영광의 무게〉는 교부들의 글과 같은 반열에 놓아도 될 만큼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1938년 10월 22일 옥스퍼드 세인트메리 교회에서 전한 〈전시의 학문〉은 그리스도인의 일상에서 중요한 질문을 단도직입적으로 제시하고 풀어 나간다. 〈나는 왜 반전론자가 아닌가?〉는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도에 옥스퍼드 반전론자 협회에서 강연이다. 〈변환〉은 1944년 5월 28일 성령강림절에 설교한 원고로 프로이트와 자연주의자들의 물질주의적 사고에 반대하는 논증을 편다. 〈신학은 시인가?〉는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하나님을 합리성의 근거로 제시하며, 〈내부패거리〉는 1944년 12월 14일에 런던 대학 킹스 칼리지에서 행한 연례 기념 강연으로 배타적인 특권 집단에 소속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적하며, 〈멤버십〉은 우리가 교회의 멤버라는 의미가 무엇인지, 개인주의나 집단주의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용서〉는 일상생활에서 우리를 끊임없이 자극하는 사람들을 왜, 어떻게 용서할지를, 〈실언〉은 1956년 1월 29일에 행한 루이스의 마지막 설교로서 자신의 삶에서 일시적 욕망이 영적인 삶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어떻게 씨름하는지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