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9년 07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34쪽 | 크기확인중 |
ISBN13 | 9791155432150 |
ISBN10 | 1155432150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19년 07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34쪽 | 크기확인중 |
ISBN13 | 9791155432150 |
ISBN10 | 1155432150 |
2020 정상국어 기본서(전3권+부록) 목차 1권 문법국어 제1편 이론문법 제01장 언어와 국어 28 제1절 언어의 개념과 기능 28 제2절 언어의 특성(特性) 32 제3절 언어의 체계와 구조 35 제4절 언어의 분류(分類) 37 제5절 국어의 본질(本質) 38 제6절 한글의 명칭 39 제7절 국어의 특성 41 제02장 말소리: 음운론 45 제1절 음성, 음운, 음절의 개념(槪念) 45 제2절 음운의 종류(種類) 46 제3절 국어의 음운(音韻) 48 제4절 음운의 변동 52 제03장 단어의 형성: 형태론 63 제1절 문장과 문법 단위 63 제2절 단어의 형성 66 제04장 단어의 갈래: 품사론 83 제1절 품사의 개념(槪念) 83 제2절 품사의 분류(分類) 83 제3절 품사의 이해 85 제4절 용언의 활용(活用) 103 제5절 어미 108 제05장 의미와 의미 관계: 의미론 110 제1절 의미의 종류 110 제2절 의미의 사용 112 제3절 단어들의 의미 관계 115 제4절 의미의 변화 119 제06장 문장의 확장: 통사론 122 제1절문장의 개념과 성분 122 제2절 문장의 짜임새 134 제02편 규범국어 01 한글 맞춤법 162 제1장 총칙 162 제2장 자모 166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169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185 제5장 띄어쓰기 235 제6장 그 밖의 것 253 제7장 문장 부호 284 02 표준어 규정 299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299 제1장 총칙 299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302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329 [붙임] 새로 추가된 표준어 목록 349 제2부 표준 발음법 354 제1장 총칙 354 제2장 자음과 모음 356 제3장 음의 길이 362 제4장 받침의 발음 366 제5장 음의 동화 378 제6장 경음화 385 제7장 음의 첨가 391 03 외래어 표기법 395 제1장 표기 원칙 395 제2장 표기 일람표 398 제3장 표기 세칙(영어의 표기) 399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404 04 로마자 표기법 410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410 제2장 표기 일람 411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414 부록 맞춤법 우선순위 OX(1510) 422 01 맞춤법 우선순위 OX 422 02 맞춤법 우선순위 OX(외래어) 436 03 맞춤법 우선순위 OX(표준 발음) 443 04 맞춤법 우선순위 OX(로마자) 449 05 맞춤법 우선순위 OX(띄어쓰기) 453 06 최근 맞춤법 우선순위 OX(100) 455 07 낯선 어문 규정 OX(160) 458 2권 실용 국어 제01편 생활국어 제01장 고전 문법 12 제1절 국어의 역사 12 제2절 국어사의 주요 자료 18 제3절 음운론 21 제4절 형태론 33 제5절 통사론 41 제6절 어휘론 42 제7절 표기법 44 제8절 문헌으로 보는 고전 문법 48 제02장 문장 다듬기 70 제1절 단어 선택의 오용(誤用) 70 제2절 문법 차원의 오용(誤用) 78 제3절 의미 차원의 오용(誤用) 87 제4절 문장성분 차원의 오용(誤用) 93 제03장 표준 언어 예절 104 제1절 친족 가계도 104 제2절 가정에서의 호칭어, 지칭어 105 제3절 직장, 사회에서의 호칭어, 지칭어 125 제4절 경어법 129 제5절 일상생활에서의 인사말 133 제6절 특정한 때의 인사말 137 제04장 말글의 논리적 이해 140 제1절 글의 내용 구조 이해 140 제2절 올바른 글 이해의 방법 143 제3절 ‘글의 구조 및 내용 이해’ 기출 문항 유형 149 제4절 글의 내용 전개 방식과 표현 방식 183 제5절 논증의 방법과 오류 200 제6절 국한문 혼용글(기미독립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209 제05장 쓰기 영역 217 제06장 토론과 토의 223 제02편 어휘 및 관용표현 제01장 고유어 230 제02장 한자어 260 제03장 한자 276 제04장 순화어 293 제05장 어휘 간의 의미 관계 312 제06장 관용어 316 제07장 속담 329 제08장 고사성어 344 3권 문학의 이해와 감상 제01편 문학 일반론 제01장 문학 이론 14 제1절 문학의 본질 14 제2절 미적 범주 16 제3절 문학 작품 해석의 방법 21 제4절 문학의 갈래(Genre) 25 제02장 문예 사조 27 제03장 수사법 및 주요 문학 용어 32 제1절 수사법(修辭法) 32 제2절 문학 용어 및 기타 표현 기법 42 제02편 현대문학의 이해 제01장 시의 이해 75 제1절 시의 언어 75 제2절 시의 운율 86 제3절 시의 심상 88 제4절 시적 화자와 어조, 태도, 거리 93 제5절 시상의 전개와 시어의 역할 105 제6절 유형별로 본 현대시 116 제02장 소설의 이해 152 제1절 소설의 개념과 특성 152 제2절 소설의 3요소: 주제, 구성, 문체 157 제3절 소설 구성의 3요소: 인물, 사건, 배경 172 제4절 갈등의 양상과 소재의 역할 179 제5절 소설의 시점과 거리 186 제6절 기출 문제 및 소설 작품 감상 192 제03장 수필의 이해 228 제1절 수필의 개념과 특성 228 제2절 수필의 유형 229 제3절 수필 작품 감상 233 제04장 희곡 및 시나리오 245 제1절 희곡의 이해 245 제2절 시나리오의 이해 248 제3절 희곡 및 시나리오 작품 감상 252 제03편 고전문학의 이해 제01장 고전문학사 263 제1절 각 시대별 문학의 흐름 263 제2절 고전 문학의 갈래 267 제02장 고대 문학 269 제1절 개관 269 제2절 설화 270 제3절 고대 시가 278 제4절 향가 282 제03장 근대 이전의 문학 296 제1절 고려시대 문학 개관 296 제2절 고려 가요 296 제3절 시조 315 제4절 가사(歌辭) 349 제5절 잡가(雜歌) 372 제6절 민요 375 제7절 가전체(假傳體) 378 제8절 고대 소설 380 제9절 판소리 396 제10절 민속극 403 제11절 고대 수필 406 제12절 한문학 415 부록 - 전 영역 단원별 OX1280제 제1회 언어와 국어 & 말소리:음운론 2 제2회 단어의 형성:형태론 & 단어의 갈래:품사론 10 제3회 의미론 & 통사론 & 한글맞춤법 18 제4회 한글 맞춤법 & 띄어쓰기 & 표준어 규정 & 표준 발음법 26 제5회 외래어 표기법 & 로마자 표기법 & 고전 문법 & 문장 다듬기 & 표준 언어 예절 34 제6회 말글의 논리적 이해 & 쓰기 영역 & 고유어 & 한자어 & 한자 42 제7회 순화어 & 관용어 & 속담 & 고사성어 50 제8회 문학의 이해와 감상 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