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라는 단어는 부모가 아이를 길러야 한다, 부모가 제대로 가르치지 않으면 아이는 똑바로 자라지 못한다는 어감이 강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아이들 스스로 성장하는 부분이 더 큽니다. 어린이집 가기와 젖떼기, 배변 훈련, 친구들과의 사귐에서 아이들은 스스로 ‘멋진 오빠, 멋진 누나가 되고 싶어!’라는 의욕을 품습니다. 자기 힘으로 성취하려는 의욕과 힘, 즉 자기성장력이 모든 아이에게 갖춰져 있는 것입니다. 아이가 보여주는 ‘걷잡을 수 없는 행동’의 이면에는 ‘성장하고 싶어!’ 하는 진짜 마음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p.17~18
잘 놀다가 갑자기 화를 내는 것은 엄마와의 마음 주고받기로 마음속에 숨겨두었던 괴로운 기분이 밖으로 표출되었기 때문입니다. ‘즐거운 마음의 표출’과 ‘괴로운 마음의 표출’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습니다. 둘 모두 자기성장력의 에너지원입니다. 즐거운 기분이 갑작스레 분노의 기분으로 변하더라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엄마와 함께하는 시간이 즐거웠기에 꼭꼭 숨겨두었던 나쁜 기분까지 엄마에게 보여주고 싶어진 것입니다. 아이가 화를 낸다는 것은 엄마의 노력이 보상받았다는 뜻입니다.
--- p.62~63
아이들도 성장 스트레스로 고민합니다. 아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려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으나, 스트레스에 연연한 나머지 과보호로 변질된다면 자녀와의 관계에 문제가 생깁니다. 스트레스에는 울음이 즉효입니다. 아이들은 울면서 스트레스를 발산합니다. 그 뒤에 엄마가 안아주고 위로해준다면 상처는 자연스레 치유됩니다.
--- p.71
떼쓰기는 제1차 반항기라고 하는 세 살 전후에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닙니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입학, 또는 이사 같은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에 ‘이젠 형(또는 언니)이니까 어리광 부리면 안 돼’ 하고 결심하는 성장 시점에서의 스트레스 등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이 된 후에도 학년이 올라가 반이 바뀌고, 담임선생님이 바뀌고, 가정 내의 분쟁 같은 환경 변화에 순응해야 한다는 스트레스에서 떼쓰기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떼쓰기에 대처하는 것은 육아의 기본입니다. 떼쓰기 배후에는 ‘성장’에 대한 아이의 욕구가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 p.99
당신 마음속에 앉아 있는 ‘아이’는 “외로워!”, “무서워!” 하며 떨고 있습니다. ‘엄마’를 기다리며 당신의 마음 깊은 곳에서 웅크리고 있습니다. 여기서 ‘엄마’는 실제 어머니가 아닙니다. 엄마에게서 기대하는 역할을 해줄 ‘엄마 역’입니다. 당신의
모성도 ‘엄마 역’이며, 당신의 괴로운 마음을 받아주는 가족 중 누군가도 ‘엄마 역’입니다. 당신 주위의 ‘엄마 역’들이 다정하게 당신 마음을 안아주었을 때, 당신이 숨겨왔던 ‘아이’는 눈물과 함께 미소를 되찾습니다. 그리고 당신도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무력감과 고립감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 p.134
말이 더딘 아이들의 마음속에도 여러 가지 감정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말이 더디기에 혼자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많고, 따라서 감정이 격해져 남몰래 상처받는 일이 더 많습니다. 가슴속에 도사리고 있는 울고 싶은 마음이 언어라는 표현을 가로막는 강력한 제동장치가 됩니다. 그 마음을 이해해주고 다가갔을 때 아이는 숨겨왔던 마음을 털어놓으며 밝은 곳으로 나오려고 애씁니다. 말로 표현하지 못하더라도 울음소리와 몸짓으로 자기 마음을 전하려고 노력합니다.
--- p.162~163
장애아동일수록 마음이 섬세합니다. 그 섬세한 마음을 표현하고 싶어도 몸이 따라주지 못합니다. 아이에게 부족한 부분을, 답답해하는 부분을 부모님이 살펴주고 배려해준다면 심각하다고 생각되는 문제들이 의외로 쉽게 해결되곤 합니다. 아이가 안고 있는 마음의 수수께끼를 확인하는 순간,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아이의 인내와 근심이 전해집니다. 이를 계기로 다시 용기를 얻어 아이와 관계가 회복된 부모님이 무척 많습니다.
--- p.191
‘울고 싶은 마음’을 계속 숨기고 끌고 갔다가는 타고난 힘과 자신만의 장점이 발휘될 수 없는 심리적 상태가 되고 맙니다. 본래 모습을 되찾기 위해서는 괴로운 마음을 해방시켜야 합니다. 이때 가장 좋은 자기회복 메커니즘은 ‘눈물’입니다. 눈물로 자신을 치유한다는 점에서 아이나 어른이나 다를 것이 없었습니다. 아프다, 슬프다, 불안하다, 자신이 없다, 분하다……. 이런 마이너스 감정이 눈물로 풀어지면 타고난 자기회복력이 발동하면서 생각도 긍정적으로 바뀝니다. 진심으로 웃고 있다는 표정이 얼굴에 나타납니다. 따라서 어른이 되었더라도 얼마든지 울어도 좋습니다.
--- p.21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