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당신 또는 당신의 아이도 명문대생이 될 수 있다!1장 체대 못 가는 학생은 있을 수 없다처음부터 실패하는 체대 입시는 없다 친구 따라 체대 입시 준비하면 망한다 1년 전 준비가 학교 레벨을 가른다아이에 대한 무한 신뢰가 서울대로 이끈다 체대 입시는 전략이 99%다 사교육비 1억 원을 아끼는 선택 입시를 넘어 졸업 후 진로까지 설계하라2장 100% 합격을 위한 체대 입시 전략체대 입시 준비를 고2 때 끝내야 하는 이유3학년 초에 체대 입시를 위해 해야 할 일 학생부종합전형은 입학과 동시에 준비한다입시요강 분석은 ‘데이터 + 트렌드’‘전략적인 면접 수업’으로 대비하라‘클리닉지수’로 대학을 공략한다어차피 실질 경쟁률은 3 대 1 실기는 수능 전에 완성해야 한다 재수를 해야 할 학생과 하면 안 되는 학생 3장 무조건 합격하는 체대 입시 키포인트체대 입시 근육’을 키워라‘수학’은 체대 입시엔 필요하지 않은 걸까 정확한 목표대학이 있는가? 부담 요소를 집중적으로 공략하라고효율 체크리스트를 실행하라 누구나 오는 ‘슬럼프’ 탈출 노하우‘실기’가 체대 입시의 전부?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뚝심 있게좋은 체대 입시학원 선택이 합격의 90% 4장 체대 입시의 신과 함께한 합격 스토리110 대 1의 경쟁률 나는 이렇게 뚫었다(한양대) 국영수탐탐 78899에서 42213등급으로(숙명여대)저는 정시만 답이 있는 줄 알았어요(동국대)확고한 믿음이 체육교육과로 이끌다(고려대)본인도 포기한 학생을 학종으로 합격시키다(이화여대)면접이 전략이다(연세대 특기자전형)부록 체대 입시 특급전략 101. 체육대학 전형에 대한 오해 세 가지2. 용어를 알아야 대학이 보인다1 - 입시용어3. 용어를 알아야 대학이 보인다2 - 실기용어4. 수시와 정시, 어떤 전형이 유리할까?5. 특기자전형 바로 알기6. 수능과 실기, 뭐부터 준비해야 하나7. 실기 준비 시작의 시기8. 기초적인 신체 능력을 평가하는 기초실기9. 복합적인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기능실기10. 실기배점표를 분석하면 합격률이 올라간다
|
김민중 의 다른 상품
“엄마, 저 체대 가고 싶어요.”체대. 이름만 들어도 뭔가 나와는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이 가는 대학인 것만 같다. 운동선수, 국가대표 등 어린 시절부터 꾸준하게 운동을 목표로 한 사람들만이 가는 대학. 하지만 정말 그럴까? 그렇지 않다. 생각보다 운동을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은 사람들이 체대에 더 많이 지원한다. 그리고 체대에 가고 싶어 하는 사람은 나 또는 내 자녀일 수도 있다. 만약 생각지도 못했는데 갑작스레 내 자녀가 체대에 가고 싶다고 한다면 또는 본인이 운동을 전혀 안 했지만 운동 경기가 좋아서, 운동 관련 지식이 재밌어서 가고 싶다면 어떤 전략을 갖고 체대 입학을 준비해야 할까? 이 책은 아무런 정보 없이 막연하게 시작했던 체대 입시생들이 확고한 목표 의식을 가지고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시 준비의 방향과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다양한 긍정적인 합격 사례들을 통해 현실적인 입시 전략법을 제안한다. 아무 체육대학이라도 가면 좋겠다는 아이의 생각을 완전히 깨버리고 능동적으로 행동하여 SKY를 포함한 명문대 합격을 위한 핵심적인 전략을 소개한다.1장에서는 체대에 가고 싶지만, 정보가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 입시 초반에 어떤 식으로 계획을 잡고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2장에서는 입시요강 분석법, 실질 경쟁률과 입시 트렌드 파악하는 방법, 입시 준비 시기와 목표를 잡는 방법 등 합격을 위한 체대 입시 전략을 짜는 방법들이 구성되어 있다.3장에서는 고효율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실천하는 방법, 나에게 딱 맞는 대학 전형 고르는 방법, 슬럼프를 현명하게 탈출하는 방법 등 체대에 가기 위해 실질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공략법과 조언들이 담겨 있다.4장에서는 100대 1 경쟁률을 뚫고 한양대 간 스토리, 모의고사 7~9등급인 학생이 숙명여대에 합격한 스토리 등 저자와 함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원하는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부록에서는 입시용어, 실기용어, 수시, 정시, 실기 등 체대를 준비하기 전 기본적으로 꼭 알아야 할 기본 상식들과 특급전략 비법이 담겨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