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추천의 말
머리말 제1장 왜 덩샤오핑인가? 제2장 부전자전(1904-1918) 제3장 고국을 떠나 프랑스로(1918-1920) 제4장 프랑스 자본가들이 만든 중국 공산주의자(1921-1925) 제5장 러시아에서 배우다(1926-1929) 제6장 불운한 광시 총독(1929-1931) 제7장 대장정(1932-1936) 제8장 안전한 피난처가 된 전쟁터(1937-1945) 제9장 금광이 된 전쟁터(1946-1949) 제10장 남서부의 제왕(1949-1952) 제11장 패배자들의 어깨를 딛고 올라가다(1952-1956) 제12장 마오쩌둥과 함께 약진하다(1956-1959) 제13장 약진이 가져온 피로(1960-1965) 제14장 문화 대혁명이라는 시련(1965-1972) 제15장 돌아온 자본주의 추종자(1973-1975) 제16장 용의 해(1976) 제17장 다시 정상을 향하여(1976-1980) 제18장 절정에 이른 권력(1981-1984) 제19장 실패한 후계자들(1985-1988) 제20장 톈안먼의 비극(1989) 제21장 장막 뒤의 실력자 제22장 더할 나위 없는 원숙함 제23장 덩샤오핑과 중국의 21세기 찾아보기 |
1962년 7월 7일 덩은 공산당 청년동맹에서 초청 연설을 하면서 잘 알려진 몇 가지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청중에게 말했다.
어떤 생산 체제가 가장 좋은지 이야기하자면, 나는 농업 생산을 비교적 수월하고 신속하게 회복시킬 수 있는 체제라면 무엇이든 지지한다. 또 대중이 기꺼이 도입하고자 하는 체제라면 그것이 채택되어야 한다. 만일 아직 합법적인 것이 아니라면, 합법화시켜야 할 것이다. 노란색이든 흰색이든 무슨 상관인가, 쥐를 잡는 고양이가 좋은 고양이다. --- p.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