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
책을 펴내며 제1장 교육 1. 교육의 이해 2. 세계 교육 현황 3. 교육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교육 분야 KOICA 지원 전략과 현황 5. 교육 분야 개발협력 과제 제2장 보건 1. 보건의 이해 2. 국제보건 현황 3.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보건 분야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5. 보건 분야 성과와 과제 제3장 농촌개발 1. 농림수산업 및 농촌개발의 이해 2. 세계 농업 현황 3. 농촌개발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농촌개발 분야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5. 농촌개발 분야 주안점과 과제 제4장 거버넌스 · 평화 1. 거버넌스 · 평화의 이해 2. 세계 거버넌스 · 평화 현황 3. 거버넌스 · 평화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거버넌스 · 평화 분야 KOICA 지원 전략과 현황 5. 거버넌스 · 평화 분야 성과와 과제 제5장 기후행동 1. 기후위기와 기후행동의 이해 2. 세계 기후행동 현황 3. 기후행동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기후행동 분야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5. 기후행동 분야 성과와 과제 제6장 과학기술혁신 1. 과학기술혁신의 이해 2. 세계의 과학기술혁신 현황과 도전과제 3. 과학기술혁신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과학기술혁신 분야 KOICA 지원 전략과 현황 5. 과학기술혁신 분야 성과와 과제 제7장 성평등 1. 성평등(Gender Equality)의 이해 2. 세계 성평등 현황 3. 성평등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성평등 분야 KOICA 지원 전략과 현황 5. 성평등 분야 성과와 과제 제8장 인권 1. 인권의 이해 2. 세계 인권 현황 3. 인권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인권 분야 KOICA 지원 전략과 현황 5. 인권 분야 성과와 과제 약어집 참고문헌 |
KOICA ODA교육원 의 다른 상품
『국제개발협력』 심화편에서 가장 먼저 소개하는 분야는 1장 교육입니다. 교육은 해방 이후 황폐했던 한국이 현재의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대내외에 잘 알려져 있습니다. 1장에서는 교육의 주요 개념과 발전과의 관계 등을 조명하며, 현황 등 인용 자료를 최신화하였습니다. 2장 보건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주요 대상이었던 질병들과 최근의 코로나 팬데믹과 관련된 현황, 이에 대한 KOICA와 국제사회의 개선 방향과 사업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이후 3장에서는 식량위기로 그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는 농촌 개발 분야 현황과 주요 주체, 구체적인 사업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장은 기존의 거버넌스를 KOICA 분야별 중기전략 구분에 맞추어 거버넌스 평화로 개편하여 거버넌스(공공행정)로 분류되는 개념 및 사업 사례뿐 아니라 평화의 개념 및 사례를 함께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어지는 5장은 기존의 환경 분야를 기후행동으로 개편하여 기후행동의 주요 개념 및 개발과의 관계, 현황, 사업 사례를 다루었습니다. 6장 과학기술혁신은 기존의 부록을 확대하여, 팬데믹을 계기로 중요성이 급부상한 디지털 전환 내용을 포함하여 과학기술혁신 현황 및 앞으로의 과제를 기술하였습니다. 7장은 젠더를 성평등으로 개편하여 이 분야에 입문하는 독자가 주요 개념과 현황, 국제사회의 주요 규범과 전략, 사업 사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8장 인권 장에서는 기존판 대비 이론적인 설명을 줄이고 사업 사례를 보강하였습니다. ---본문 중에서 |
국제개발협력을 처음 접하는 독자를 위한
알기 쉽고 보기 편한 국제개발협력의 모든 것! 『국제개발협력』 시리즈 중 심화편은 국제개발협력에서 빼놓을 수 없는 8개 분야인 교육, 보건, 농촌개발, 거버넌스·평화, 기후행동, 과학기술혁신, 성평등, 인권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 발전의 토대인 교육, 날로 중요성을 더해 가는 보건, 생존과 지역 간 균형 발전에 필요한 농촌개발, 국가 간·국가 내 안정을 위한 거버넌스 및 평화, 세계적으로 시급한 과제인 기후행동, 디지털화를 비롯하여 발전의 필수 요소가 된 과학기술혁신, 모든 인간의 평등과 존엄을 위한 성평등과 인권 분야에 대해 기본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아직 국제개발협력이 낯설게 느껴진다면, 『국제개발협력』 시리즈를 통해 바로 시작해 보자. 한 나라가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면의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발전의 대표적 토대인 교육, 감염병 시대에 날로 중요성을 더해 가는 보건, 생존과 지역 간 균형 발전에 필요한 농촌 개발, 국가 간·국가 내 안정을 위한 거버넌스 및 평화, 세계적으로 시급한 과제인 기후행동, 디지털격차 완화를 비롯하여 발전의 필수 요소가 된 과학기술혁신, 모든 인간의 평등과 존엄을 위한 성평등과 인권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노력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빈곤을 극복할 수 있다. 개정판 『국제개발협력 심화편』에서는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분야 8가지를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특히나 과학기술혁신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는 점을 반영하여 과학기술혁신을 독립된 장으로 격상시켜 심층적으로 파고들고 있다. 각 장에서는 해당 분야의 주요 개념 정의에서 시작하여 관련 현황, 국제사회의 주요 주체와 동향, KOICA의 전략과 현황, 사업 사례 및 성과와 과제를 포함하고, 토론 주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자료들을 소개한다. 또 다양한 그래프, 표 자료를 포함하고 있어서 많은 정보를 간략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번 『국제개발협력』 개정판 시리즈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개념과 역사, SDGs 및 주요 주체에 대해 개괄적인 이해를 가진 독자들은 분야별 국제사회의 노력과 방향성을 한눈에 이해하고 현장에서의 사례들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진로와 사업 참여 등 독자들이 필요한 영역 전반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