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추천사
근육학을 시작하며 저자 소개 초음파 사진 보는 법 총론 1. 근육 압통점과 아시혈 2. 압통점(아시혈)의 발생 기전 3. 침의 아시혈 치료 효과 경추부 1. 상부승모근 2. 흉쇄유돌근 3. 두판상근 4. 중사각근 & 전사각근 5. 두반극근 6. 견갑거근 흉부, 견갑대 1. 대흉근 2. 소흉근 3. 능형근 4. 전거근 5. 흉추 다열근 어깨, 상지부 1. 극상근 2. 극하근 3. 소원근 4. 견갑하근 5. 오구완근, 오훼완근 6. 삼각근 7. 상완이두근 8. 상완삼두근 9. 상완요골근 10. 단요측수근신근 & 장요측수근신근 11. 척측수근굴근 요추, 골반 1. 요추 다열근 2. 흉최장근 3. 요장늑근 4. 요방형근 5. 장요근 6. 대둔근 7. 중둔근 & 소둔근 8. 이상근 하지부 1. 대퇴근막장근 2. 대퇴사두근 3. 봉공근 4. 햄스트링근육 5. 슬와근 6. 비복근 7. 전경골근 8. 장지신근 9. 후경골근 10. 장지굴근 11. 장비골근 & 단비골근 12. 단지굴근 INDEX |
초음파 강의를 10년 정도 해오면서 매번 새롭게 느끼는 점은 오래전에 정의된 경혈이 신체 구조의 이해를 통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한의학에서 경혈을 설명할 때 자침의 주의점 등을 기술하면서 그 아래에 위치한 위험구조물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자침의 깊이를 제시해서 안전한 자극을 유도한 부분은 과거에도 해부학을 기준으로 정의한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경혈을 초음파로 탐색하는 과정은 경혈 심부를 확인하여 치료의 목표점을 정확히 확인하고 효과적인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더욱 좋은 방법이 됩니다.
근골격계의 통증이나 기능이상에 대해 한의학에서 경근에 해당하는 근육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방법은 한의학의 기본적인 치료 중 하나입니다. 체표면에서 촉지되는 비교적 크기가 큰 근육의 경우 촉진만으로도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지만, 심부의 근육이나 크기가 작은 근육이 군집된 부위의 경우 촉진만으로는 목표하는 근육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영상기기의 도움을 통해 시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초음파를 이용해 근육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면 치료의 효율도 더 높아지게 됩니다. 한의 임상에서 영상진단은 이제 필수가 될 것입니다. 해부학 구조뿐만 아니라 한의학적 치료를 위한 영상진단과의 융합은 한의학의 위상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것이며, 초음파가 그 역할을 앞장서서 해줄 것이라 믿습니다.현재까지 출간된 근육초음파 관련 서적 중에 가장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영상을 담은 책이라 자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