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장 총론
01 도수교정 02 관절운동 03 사지의 검사법 04 사지의 도수교정 제2장 상지 01 견갑상완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2 견쇄관절(모빌리제이션) 03 흉쇄관절(모빌리제이션) 04 견갑흉곽연결(모빌리제이션, 스트레칭) 05 주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6 하요척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07 수관절(모빌리제이션) 08 수근골(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9 제1수근중수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10 제2∼5수근중수관절(모빌리제이션) 11 중수간관절(모빌리제이션) 12 중수지절관절(MP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13 수지절간관절(모빌리제이션) 제3장 하지 01 고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02 슬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3 슬개대퇴관절(모빌리제이션) 04 상경비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5 거퇴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6 거골(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7 종골(모빌리제이션) 08 주상골(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09 입방골(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10 족근중족관절(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11 중족간관절(모빌리제이션) 12 중족지절관절(MP관절)(마이크로 견인법, 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13 지절간관절(모빌리제이션, HVLA 교정법) |
나카가와 다카오의 다른 상품
남창욱의 다른 상품
김용세의 다른 상품
이 책에서 서술하는 모빌리제이션은 그동안 일반적으로 시행해온 모빌리제이션이 아니다. 일반 모빌리제이션은 관절을 몇 센티미터∼몇십 센티미터씩 크게 움직여 관절가동범위를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그에 비해 이 책의 모빌리제이션은 아주 작게 몇 밀리미터의 폭으로 관절을 움직여서 관절가동성을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그래서 큰 진폭으로 시행하는 모빌리제이션과 구별하기 위해 이 책은 “마이크로 모빌리제이션”과 일반 모빌리제이션을 구별한다. “마이크로 모빌리제이션”은 시술자에게도 환자에게도 가해지는 부담이 거의 없이 수백 그램에서 1킬로그램 정도의 작은 힘을 사용해서, 작은 관절이상에서 생기는 가동성 감소를 회복시키고 ‘최소 힘을 사용해서 최대 효과를 올린다.’
·도서 소개 사지 질환에 대한 머니퓰레이션이 많이 있지만, 저자는 진단이 모호하고 그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점을 인식하였다. 그러한 고민이 충분히 녹아 있고 대안을 찾은 책이다. 그래서 진단으로써 해부학 기반의 가볍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통한 “동작촉진”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고속도저진폭법(HVLA)만이 아니라 ‘마이크로 견인법’과 ‘마이크로 모빌리제이션’을 위주로 하는 “도수교정”을 통해 치료사는 쉽게 교정을 하고, 환자는 불쾌감이나 고통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사지의 도수교정』과 『사지의 동작촉진』의 장점과 활용법 표면과 심층에 대한 해부학 이미지가 풍부하다. 그리고 진단과 촉진의 벡터를 문자만이 아니라 이미지로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는 평면이 아니라 입체적인 이해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진단과 치료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정확한 진단은 더 나은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진단과 치료의 양면을 함께 익혀가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수교정의 과정에서 진단이 모호하거나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동작촉진을 다시 해야 한다. 진단과 치료를 위해 두 책을 상호 참조할 수 있도록 페이지를 기재하여 활용의 편의를 도모하였습니다. 그리고 인덱스 작업도 꼼꼼하게 하였다. ·임상에서 활용법 실제 임상에서 자침이나 혹은 추나를 하기 전 촉진을 더 신경 써서 하게 되고 의문이 생기면 이후 다시 책을 펼쳐서 비교한다. 번거로워 보일지도 모르지만 실제로 “동작촉진”과 “도수교정”은 1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환자를 만져보고 다시 책을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시기를 독자께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