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머리말
제6장 조선 시대 下 01 조선의 르네상스 / 영.정조 시대와 실학의 발달 영조의 탕평책 정조의 탕평책과 문예 부흥 실제 사물에서 진리를 찾아내다 - 실학의 발달 국학 연구의 확대 실용품이자 예술품인 대동여지도 세계로 수출된 [동의보감] "생각해 보세요" 정조의 개혁은 왜 한계를 드러냈을까요? 02 신분 제도를 거부한 허균 / 조선의 사회 신분의 굴레, 반상 제도 신분 상승의 기회 “하늘이 내린 인재를 차별해서는 안 된다” - 사회 변혁을 꿈꾼 혁명가 허균 "생각해 보세요"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 가운데 하나인 지역 갈등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03 자본주의가 싹트다 / 조선 후기의 상품 화폐 경제 농업 혁명이 상품 화폐 경제를 부추기다 공물을 쌀이나 동전으로 대납하다 - 대동법 군포를 쌀이나 돈으로 내다 - 균역법 한양의 사상 활동 장돌뱅이 전성시대 - 장시의 발달 도고 상업으로 갑부가 된 김만덕 상도를 탄생시킨 대외 무역 농민의 계층 분화 민영 수공업의 발달과 민영 광산의 증가 "생각해 보세요" 중농주의 실학자의 토지 제도 개혁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할까요? 04 근대화의 문을 걸어 잠그다 / 흥선 대원군의 세도 정치 타파와 쇄국 정책 안동 김씨 사랑방은 벼슬의 산실 농민들이 유랑만이 되다 - 세도 정치의 폐해 홍경래의 난, 농민 전쟁으로 번지다 천주교가 전파되다 동학이 서학에 대항하다 “백성을 해치는 자는 용서하지 않겠다” - 흥선 대원군의 개혁 “화친은 나라를 파는 행위다” -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생각해 보세요" 흥선 대원군의 쇄국 정책이 근대화를 가로막았을까요? 05 근대화의 첫 단추를 잘못 끼우다 / 강화도 조약과 조선의 개방 민씨 일파, 세도 정치를 되살리다 정권 유지를 위해 서둘러 문을 열다 -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모양새만 갖춘 개화 정책 청이 미국과의 수교를 알선하다 역사의 발전에 역행한 위정척사 운동 "생각해 보세요"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의 통상 개화론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06 근대화된 일본에 사로잡히다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임오군란으로 흥선 대원군이 복귀하다 민씨 일파의 반격과 청의 내정 간섭 온건 개화파와 급진 개화파 김옥균의 삼일천하, 갑신정변 "생각해 보세요" 위정척사파와 개화파는 왜 대립할 수밖에 없었을까요? 07 백성의 투쟁이 개혁의 불을 지피다 /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동학의 교세 확대와 교조 신원 운동 동학 농민 운동의 불길이 타오르다 전술적 실패의 산물, 갑오개혁 동학 농민 운동 제2차 봉기 조선의 국모가 스러지다 - 을미사변과 을미개혁 "생각해 보세요"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08 “직접 일어설 수밖에 없다” / 국권 침탈과 구국 운동 을미사변과 을미의병 아관 파천과 대한 제국의 수립 독립 협회의 초대 위원장은 이완용이었다 언론과 국학의 발달 근대 교육을 통한 민족 운동 조선에서 치른 전쟁 -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간도와 독도 문제 루스벨트의 딸, 홍릉의 석상에 올라타다 을사늑약과 을사의병 군대 해산과 정미의병 구국의 총소리가 만주를 뒤흔들다 - 의열 투쟁 실력 양성과 무장 투쟁의 선봉, 신민회 "생각해 보세요" 항일 의병의 총대장 이인영이 “불효는 곧 불충”이라면서 고향으로 내려간 행동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09 경제를 빼앗기면 나라도 빼앗긴다 / 열강과 일제의 경제 침탈 노다지를 잡아라! -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 침탈 방곡령과 상권 수호 운동 일제, 조선의 돈과 땅을 장악하다 빚으로 넘어가는 나라를 구하자! - 국채 보상 운동 일제의 식민지 수탈 산미 증식 계획과 병참 기지화 정책 "생각해 보세요" 식민 지배 하에서 일제가 토지를 약탈한 방법과 정당성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찾아보기 |
Park Cha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