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부 학교생활
1. 학교 갈 때 부모님과 떨어지지 않으려고 해요 2. 규칙을 지키는 것을 어려워해요 3. 수업 시간에 다른 곳으로 가려고 해요 4. 거짓말을 잘해요 5. 나쁜 말이나 욕을 자주 사용해요 6. 학교에서 말을 안 해요 7. 화장실이 싫다고 용변을 참아요 8. 무조건 울음을 터트려요 9. 교실에서 자기 성기를 만져요 10. 정리 정돈을 잘하지 못해요 11. 의욕과 에너지가 모두 부족해요 12. 급식을 잘 먹지 않아요 2부 또래 관계 1. 친구들의 놀이에 끼지 못해요 2. 한 명의 친구와만 놀려고 해요 3. 친구를 몰래 꼬집고 괴롭혀요 4. 친구들과 용돈을 쓰고 싶어 해요 5. 혼자서 놀고 싶어 해요 6. 학교에서 친구가 괴롭힌다고 느껴요 7. 학교에서는 괜찮은데, 집에서는 화를 내요 8. 분위기를 잘 파악하지 못해요 9. 거절을 잘하지 못해요 [정말 궁금해요] 친구와의 갈등에 어디까지 개입해야 하나요? 3부 학습 1. 스마트폰에 집중해서 공부를 안 하려고 해요 2. 질문이 너무 많아 수업을 방해해요 3. 수업 시간에 교실 안을 돌아다녀요 4. 배웠는데도 아직 한글을 못 떼었어요 5. 글씨 쓰는 것을 싫어해요 6. 소근육 발달이 늦어 활동 참여가 힘들어요 7. 주어진 시간 내에 과제를 하기 어려워해요 8. 1등, 100점에 집착해요 9. 발표를 힘들어해요 10. 발표를 너무 하려고 해요 [정말 궁금해요] 줄넘기를 꼭 가르쳐야 하나요? |
김나영 의 다른 상품
아플 때만 관심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아이는 관심을 받고 싶을 때마다 자신도 모르게 몸이 아프게 됩니다. 두통, 복통, 현기증 등이 일반적인 증세입니다. 이러한 증세는 다른 사람들이 볼 때 꾀 병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당사자는 실제로 통증을 느낍니다. 하지 만 그 원인이 신체적이 아니라 심리적이라는 점이 일반적인 증상과 다른 점입니다.
--- p.30 만약 아이가 나쁜 말과 욕을 하며 쉽게 진정하지 못한다면, 아이가 마음껏 화내도 괜찮은 공간에서 진정할 수 있도록 함께 기다려줍니다. 이 공간에는 부드러운 인형이나 빈백 등을 두면 도움이 됩니다. “네가 진정되고 대화할 준비가 되면 알려 줘. 여기서 기다리고 있을게.”라고 말하고, 아이나 부모님이 다치는 행동할 때만 제지합니다. --- p.50 학교에서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은 우선 불안 또는 긴장감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친구들이나 선생님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느끼는 아이는 학교의 화장실을 피하려 할 수 있습니다. --- p.64 너무 부끄러움이 많고 소극적이어서 혼자 노는 아이들은 긴장 푸는 법을 연습하면 도움이 됩니다. 긴장되어 친구 관계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힘들어하면, 아이가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해 줍니다. 호흡하기, 편안한 기분을 느꼈던 장면 떠올리기 등을 연습합니다. --- p.149 자신의 물건을 달라는 친구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아이에게는 계속해서 물건을 주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상대방이 기분 나쁘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거절하는 법을 말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p.183 수업 시간에 자꾸 돌아다니고, 가정에서도 돌아다니는 아이들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더욱 관심받고 더욱 칭찬받는다는 것을 경험하게 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올바른 행동에 대해 칭찬받는 경험이 쌓여간다면 말로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스스로 이 규칙을 금세 깨닫고, 부모님의 긍정적인 관심을 받기 위해서 올바르게 행동할 것입니다. --- p.212 연필을 잡는 손힘이 너무 세다면, 연필을 쥐고 종이를 누르는 힘이 너무 강하다는 뜻입니다. 완벽하게 잘하고 싶은 마음이 큰 아이, 혹은 불안이 높거나 에너지 수준이 높은 아이들은 필압이 셀 수 있습니다. --- p.229 아이들에겐 글씨를 쓰고 종이접기를 하는 것이 마음처럼 안되고 힘든 일인 만큼,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아이에게 “힘내!”, “열심히 하는구나!”, “충분히 잘하고 있어!”라고 말하는 것 말고도 함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도와주고, 행동을 읽어주며, 아이의 말을 따라 하면서 맞장구를 쳐주는 것입니다. --- p.2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