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012 PROLOGUE
변화의 파도 속 한국 경제, 나아갈 길은? SECTION 1 : GLOBAL ECONOMY 018 2025 세계경제 전망 2024년이 저문다…2025년의 세계경제는 026 주요국 경제 주요국 경제, 2025년에는 어떤 길 걷나 038 선진국 중앙은행 선진국 중앙은행, 피봇(Pivot) 시작됐다 050 환율전쟁 글로벌 환율전쟁, 얼마나 뜨겁게 전개되나 058 2025 세계 산업 전망 세계 산업… 2025년에는 어떻게 전개되나 SECTION 2 : INDUSTRY TREND 066 반도체 수요 증가와 공급 축소 가능성 주목 070 2차전지 업황 위기 속 실적 회복세, 진입하는 K-배터리 074 통신 증시에 찬바람 불면 생각나는 통신주 078 스마트폰·통신장비 스마트폰·PC도 기저 효과 못 누려… ‘온디바이스 AI’가 희망 082 전기전자·가전 반등의 키는 AI와 중국 086 인터넷·소프트웨어 회복 더딘 인터넷, 정상화되는 게임 090 엔터테인먼트·레저 BTS 컴백, K-팝 엔터주 반등 호재로 094 미디어·광고 드라마 제작업의 반전 시나리오, 미디어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098 유통 ‘유통의 부활’ 오프라인의 역습과 이마트의 기회 102 운송 시장 재편ㆍ주주환원, 호재 기다리는 2025년 106 증권·보험·기타 금융 ‘당분간 헤어질 결심’… 비급여·실손보험의 개혁 기대해야 110 은행·신용카드 밸류업 모멘텀 지속되고, 증익 현상도 이어질 전망 114 유틸리티 SMR·원전 투자, 2025년의 숨은 강자? 118 자동차·타이어 스마트카가 주도하는 2025년의 패러다임 변화 122 조선·중공업·기계 중국의 거센 추격, 격차를 유지하기 위한 숙제들 126 제약·바이오 빅파마의 M&A 딜 증가하는 2025년 130 석유화학 회복 국면 진입한 정유·석유화학 134 음식료·담배 소비 양극화와 인구 감소에 대처하는 자세 138 철강·금속 장기화되는 글로벌 철강 시장 부진 142 건설·건자재 “터널 끝났다” 반등의 실마리가 보이는 2025년 146 지주회사 변화는 이제 시작, 핵심은 소유·경영 분리 150 스몰캡 금리인하기 중소형주: 로볼과 성장주로 양수겸장 SECTION 3 : INVESTMENT STRATEGY 156 거시경제·금리 정책 모멘텀에 따른 경기 연착륙 속 물가 점진적 안정 기대 158 투자전략 다가올 버블장세, 현실을 잊기 위한 ‘상상력의 버블’ 160 데일리 시황 극단으로 가는 투자심리, 승자독식 심화할 것 162 글로벌 투자전략-미국·선진국 금리인하와 경기확장: S&P 500 성장주의 기회 164 글로벌 투자전략-중국·신흥국 2025년 중국 경제의 대전환, 재정 확장과 인조 내수의 힘 166 채권 채권 비중 확대의 적기, 기준금리 인하와 실질금리 하락 주목 168 신용분석 금리인하 사이클 속 투자심리 안정 기대 170 글로벌 자산배분 2025년 미국 주식시장의 가성비 떨어진다 172 글로벌 ETF 변화에 대응하는 ETF 투자전략 174 원자재 2025년 원자재 시장은 상저하고(上低下高) 176 ESG 2025년 ESG 투자를 위해 알아야 할 사실 세 가지 178 SPECIALIST 〈2025 산업대전망〉을 만든 한경 베스트 애널리스트 |
한상춘의 다른 상품
한경비즈니스의 다른 상품
SECTION 1 GLOBAL ECONOMY
세계경제 성장을 뒷받침해 온 중국마저 저성장 기조에 들어서면서 산업시장의 동력이 빠르게 식고 있다. 2024년 세계경제는 고물가, 고금리 여파로 회복세가 둔화하리란 시각이 큰 가운데, 한상춘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겸 한경미디어 국제금융 대기자가 세계경제를 분야별로 살펴봤다. SECTION 2 INDUSTRY TREND 2024년 산업 트렌드 BIG5를 톺아보고, 반도체·디스플레이부터 이차전지, 자동차, 통신, 제약, 조선, 건설, 유통, 미디어·광고까지 20개 분야의 주요 산업 기상도 분석으로 국내외 시장 동향과 투자 인사이트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SECTION 3 INVESTMENT STRATEGY 스몰캡부터 거시경제, 시황, 채권, 신용, 원자재, ESG, 그리고 글로벌 ETF와 주요국 투자까지 13개의 다양한 투자 전략과 함께 핵심 기업의 동향도 담아 한층 더 강화된 전문성에 유익함을 더했다. |